[eBook] 이상호 기자 X파일
이상호 지음 / 동아시아 / 2012년 8월
판매중지


신입기자 시절, 한 선배는 내게 물엇다. '역사의 발전을 믿느냐'고. 18년을 두고 만지작거리는 화두를 던져 준 선배. 그는 떠났지만, 책을 통해 되묻는다. '역사의 발전을 믿지 않고 어떻게 기자를 할 수 있느냐'고. 그리고 혼잣말로 남긴다. '역사의 발전을 믿는 기자가 얼마나 큰 용기를 감당해야 하는지 그때는 미처 몰랐다'고.-9쪽

알고도 보도하지 않는 것은 기자에게 범죄 그 이상이다. 법을 어기면 감옥에 갇히고 말지만, 양심을 속이면 세사잉 온통 감옥이 된다.-42쪽

형은 아직도 돌아올 기미가 없다. 칡을 캐오겠다며 삽과 쌀부대를 챙겨 산에 올라간 게 반나절 전인데 아직 소식이 없다. 해는 뉘엿뉘엿 서산으로 향하고 밥때를 넘긴 배에선 진작부터 꼬르륵 소리가 야단이다. 장사하러 나간 엄마는 아직도 멀었다. 형제가 모두 잠이 들어야 엄마는 돌아오신다. 간우리 위에 새겨진 무늬를 이리저리 엮어 상상의 그림을 그리던 나는 초등학교 2학년. 형은 아무래도 늦을 것 같다. 소년은 더 이상 허기를 못 참고 어두컴컴한 부엌에 들어간다. 들고 나온 건 밥 한 덩이와 김치 종지. 방바닥에 주저앉아 차갑게 굳은 밥을 서너 숟갈 떴을까? 소년은 빨간 김칫국물 위로 희끗한 밥풀을 발견했다. 밥풀을 집어내려던 소년은 깜짝 놀라 젓가락을 놓치고 말았다. 그곳엔 밥풀 대신 하얀 배추벌레가 꿈틀대고 있었다. 당황한 소년은 한참을 서럽게 울었다. 그리고 일어나선 하수구에 김치 종지를 쏟아 버렸다. 30년이 넘도록 소년은 단 한 번도 그날 일을 입 밖에 내지 않았다. 그날의 울음은 무슨 빛깔이었을까? 물러날 곳 없는 막다른 곳의 두려움. 가난과 구차한 삶에 대한 부끄러움, 홀로여야 했던 외로움이 한데 얽혀 그날의 간유리처럼 그저 -56쪽

희뿌연 빛깔로 기억될 뿐이다. -태영 부회장과 만나는 자리인지 모르고 불려 나갔던 술자리, 로비 사건의 현장에서 떠올린 어린 시절의 기억!-56쪽

더는 비겁하게 살지 말자. 더 이상 두 번째 줄에 서지 말자. 올라오는 차 안에서 다짐했다. 이후 소송에 걸리는 일이 더욱 빈번해졌고, 상관과의 충돌이 잦아졌다. 하지만 행복했다. 더 이상 부끄러움과 살을 섞고 싶지 않았다. -배달호의 죽음 앞에서-102쪽

"개죽음, 필요하면 이런 경우 개죽음이라도 달게 받겠어. 그게 내 꿈인 거 알잖아. 누군가 죽어야 한다면 내가 죽을 거야."-153쪽

'때'와 '명분'이 함께 올 수 있을까? 둘이 일치할 수 있으면 명분이 역사 속에 빛날 수 있을 것인가? 모두가 때가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지금이라고 말하리라.-26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