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원을 팝니다 - 지구의 미래를 경험한 작은 섬 나우루
칼 N. 맥대니얼 외 지음, 이섬민 옮김 / 여름언덕 / 2006년 9월
품절


얼핏 보면 나우루는 쉽게 피할 수도 있는 근시안적 오판 사례의 하나에 불과하다. 탐욕과 부패, 짧은 안목이 운명을 가르는 거은 온 지구가 마찬가지다. 문제와 해법은 명백해 보였다. 생태계 파괴와 무절제한 자원 소비의 어리석음을 깨달을 때 우리의 행도잉 바뀌고 환경이 지속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어리석음이 득세하는 경향이 있다. -18쪽

나우루 이야기는 힘, 개발, 탐욕, 눈앞의 이익을 위해 미래를 팔아 버린 이야기다. 우리 자신의 과거이면서, 우리의 미래가 될 가능성도 있는 이야기다. 나우루 사람들은 서구인들에게서 글로벌 시장 경제 게임을 배우고는 자신들도 이에 뛰어들었다. 이 비극적인 이야기는 우리 문화의 '불'이 휩쓸고 가는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기회다. -22쪽

나우루는 약 2천 년 동안 천 명의 인구가 유지되었다. 대개는 사춘기 직후에 결혼을 하기는 하지만, 대다수 여성들은 자녀를 두셋만 낳았다. 수태 후부터 아이가 걸음마를 하는 시기까지 성교를 금기시하는 것 때문에 출생률이 낮기도 했지만, 안정적인 인구를 유지한 데는 가뭄의 힘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나우루인들은 기후와 생물 자원 여건에 맞춰 수천 년 동안 인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문화를 형성하기에 이른다. -33쪽

농업이 제대로 되려면 반드시 필요한 인광석.
1899년 당시 퍼시픽아일랜드사는 고품질의 구아노를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바람에 인광석의 새로운 공급원을 찾아야 하는 상황이었다.
=> 이때 발견된 것이 나우루의 돌 코프라였다. -59쪽

사람들은 싱싱한 생선과 코코야자, 판다누스 열매 등 전통 음식을 버리고 수입 식품을 택했다. 네 시간이면 섬 한 바퀴를 돌 수 있는데도 자동차가 보편화되었다. -67쪽

1976년~81년의 자료를 토대로 한 나우루 남성들의 평균 수명은 50년에 미치지 못했고, 태평양의 다른 섬들보다도 낮았다. 사고가 주원인이었다... 더욱이 나우루인들은 지구상에서 가장 비만한 편에 속한다. 이들의 당뇨 발병률은 25세 이상에서 30퍼센트, 그 이상의 연령층에서 약 50퍼센트로, 세계 최고 수준에 근접해 있다. 암과 심장병이 흔하고, 알코올중독은 심각한 수준이다. -71쪽

서구의 영향을 받기 전까지, 나우루는 열대의 낙원이어서가 아니라 지속적인 거주가 가능한 곳이었기에 사람이 수천 년 동안 살았다. -72쪽

열대의 낙원이 사람이 살 수 없는 거친 산호 무덤으로 변했다. 우리의 슬픈 역사는 인간이 자신을 길러 주는 대자연을 무시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온 세상에 통렬하게 보여 준다.
-킨자 클로두마, 나우루 전 대통령-7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