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의 서재]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마흔의 서재
장석주 지음 / 한빛비즈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마흔. 나에게는 아직도 십년이 넘게 남은 세월. 마흔의 나는 어떤 책을 읽고 있을지, 어떤 책으로 책장을 채워갈지 생각하게 되는 제목에 한참을 표지만 읽다 넘긴 책에서는 마흔도 아직 늦지 않은 나이라고 말한다. 마흔은 인생의 절반이라는 문장에 결코 늦은 때가 아니다, 아직 살아온 만큼의 세월이 남았으니 꿈을 가지라는 저자의 말이 나에게는 너도 늦지 않았다, 그러니까 꿈을 가지고 노력해라라는 뜻으로 보여 가벼운 마음으로 집어들었던 처음과는 달리 집중해서 읽게 되었다.


처음에 '삶을 쉬어가게 하는 책읽기'라는 문장에 어떤 책들이 나올까 기대하고 폈었는데 평소에 책은 많이 읽지만 주로 소설에만 한정되어 있던 나에게는 너무 어려워보이는 책 제목들이라 조금 혼이 나가는 듯한 느낌이었다:D 이런 책으로 삶을 쉬어갈 수 있나? 읽으면 더 머리가 아파지는 거 아닌가? 싶어서 하지만 삶의 쉬어감이란 머리를 쉬게 하는 휴식 뿐만이 아니라 급하게 앞으로 달리기만 했던 삶을 조금 속도를 줄이고, 뒤도 돌아가며 살아가게 하는 쉬어감의 의미도 있지 않을까 싶어 이런 책을 미리 읽어두면 여유를 가지고 살 수 있을 것 같단 생각이 들었다.


1장을 읽으면서 아직 나는 인생의 절반도 살지 않았는데 뭐가 그리 조급한지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 물론 내가 남들보다 뒤쳐져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내가 이렇게 뒤쳐진 채로 내일 당장 생을 마감할 것도 아닌데 너무 조급해하고 초조해하는 것인가, 하는.

이 장에서는 마음가짐에 대해 많은 것을 느꼈다. 내 마음을 어떻게 다스리고, 삶을 단순하면서도 행복하게 살 수 있는지를 여러 책 속의 내용을 통해 배울 수 있었다.


2장에서는 독서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할 수 있었다. 나는 누구에게나 책읽는 것이 취미라고 말하고, 많이 읽는 편이기도 하지만 읽는 책은 굉장히 한정되어 있다. 소설 중에서도 미스터리나 추리소설을 많이 읽는 편이고, 또 영미문학이나 일본 소설이 그 주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 이 책에서 읽은 책 제목만 봐도 머리가 핑 돌았던 거겠지... 요즘엔 그나마 노력해서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많이 읽으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이 장을 통해 독서의 중요성을 다시 깨닫고 취미로도 좋지만 정말로 삶을 바꾸기 위해서 어떻게 책을 읽어야하는지를 배울 수 있었다. 이왕 삶을 바꿀거면 좋아하는 일로 바꾸면 노력하기가 쉬울 것 같아서 앞으로도 힘들 때마다 이 장을 자주 읽어야겠다는 생각.


3장과 4장에서는 삶을 어떻게 살아야하는지를 생각하게 됐다. 책을 통해 삶이 변한다는 것, 그리고 변하게 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삶으로 인해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읽을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이 책이 가장 좋았던 점은 각 장의 제목과 그 시작에 붙은 짧은 글들, 그리고 소제목들과 그 소제목에 붙은 짧은 글들만 읽어도 생각할 것이 많아지고 이미 좋은 책을 한 권 읽은 느낌을 받았다는 것이다. 아침에 일어나 차례만 한 번 꼼꼼히 읽어도 그 날 하루를 굉장히 새로운 마음 가짐으로 살 수 있을 것 같은 느낌.


마흔이 되기 전에도 몇 번 더 읽을 것 같지만:) 마흔이 되어서 읽었을 때는 지금의 내가 읽었던 것과 느낀 점이 다르겠지? 그 때 나는 이 책에 나온 책들 중 몇 권을 읽었고, 가지고 있을지가 궁금해진다. 마흔이 기대되게 만들어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