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사회 윤리 똘레랑스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72
하승우 지음 / 책세상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똘레랑스"란 말을 처음 들었을 때 어감이 너무 이상했다. 뭐 저렇게 생겨먹은 말이 있어?....그러나 몇 해지난 지금 우리 사회에 정말 필요한 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이 말을 처음 접한 건 홍세화라고 하는 사람의 책을 접하면서 부터다..홍세화씨의 글을 참 좋아한다. 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사,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 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 빨간 신호등까지...

이 책은 우리사회에 꼭 필요한 윤리라 지적하면서 똘레랑스라고 하는 말의 근원 부터 우리 사회에 적용가능한 개념임을 역설하고 있다. 내가 이해하는 똘레랑스는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다.. 상대가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음 전제로 이야기를 시작하면 불협화음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물론 현실에 오면 많은 문제에 직면한다. 그래서 더욱 필요하지 않겠는가... 홍세화씨가 그려내는 프랑스에 대해 막연한 동경을 한적이 있는 것 같다. 지하철 노조가 2달 이상 파업을 해도 시민들이 불편해하면서도 노조를 지지하는 모습, 언론에서는 노동자들의 상황과 파업의 배경을 설명하는 보도가 나오는 곳, 경찰의 시위를 경찰이 막고..카페에서 열띤 토론이 이루어지는 나라...등등등

상대를 인정하는 것은 참 머리로 생각하면 쉬운 일이어도 실제로 잘 되지 않는 일 인듯 하다. 우리 사회의 여러 문제점도 논의의 바탕에 이 똘레랑스를 카펫처럼 깔고 시작하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