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럼쟁이 월터의 목소리 찾기 국민서관 그림동화 273
앤 킴 하 지음, 서남희 옮김 / 국민서관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끄럼쟁이 월터의 목소리 찾기(앤 킴 하, 국민서관)



책을 읽으면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은 MBTI이다. 다른 지표가 어떻게 나올지는 모르겠지만 하나 확실한 것은 주인공 월터는 태도 지표 첫번쨰에서 외향-내향 중에 구분한다면 내항형으로 바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 같다.

보통 외향적이면 발표도 잘하고, 친구도 많고 내향형보다 더 좋은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물론 이것에 반대하는 주장도 있다. 조용한 사람은 말하기보다는 경청하는 경향이 있고, 인내력이 강하며,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분석력, 해결능력 등을 지닌다고 한다. [콰이어트](수전 케인) 이야기다.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는 작가 캐서린 쿡 브릭스(Katharine C. Briggs)와 그녀의 딸 이자벨 브릭스 마이어스(Isabel B. Myers)가 카를 융의 초기 분석심리학 모델을 바탕으로 1944년에 개발한 자기보고형 성격 유형 검사이다. MBTI에서는 두 개의 태도 지표(외향-내향, 판단-인식)와 두 개의 기능 지표(감각-직관, 사고-감정)에 대한 개인의 선호도를 밝혀서 4개의 선호 문자로 구성된 개인의 성격 유형을 알려준다. 따라서 MBTI 검사 결과로 생길 수 있는 성격 유형은 모두 16가지가 된다.



부끄러움: 부끄러워하는 느낌이나 마음

“혹시라도 엉뚱한 말이 나오면 어떡하지?”

“저 애들이 날 비웃으면 어떡하지?”

“날 보고 겁먹고 달아나면 어떡하지?”

부끄러움 하면 생각나는 일화가 있다. 고등학교 1학년때 담임이신 국어 선생님께서 국어 책을 읽다가 나를 지목해서 질문을 하셨다. 보통 질문을 받으면 일어서서 답변하는 것이 당시 교실의 룰이었던 것 같다. 질문에 대한 답을 알고 있는 것이었는데 자리에서 일어서는 순간 반의 모든 아이들의 이목이 나에게 집중되면서 부담감이 급상승했던 것같다. 아는 것도 제대로 답변 못하고 얼굴이 빨개져 자리에 앉았던 기억이 아직도 남아있다. 나만 아니라 누구든 비슷한 경험이나 기억나는 장면이 남아있을 것이다.



“내 친구 그만 괴롭혀!”

그날부터 월터는 어딘지 모르게 바뀌었어요.

자신을 더 많이 표현해요.

위험한 친구를 위해서 용감하게 나서는 장면은 부끄러움이 많았던 월터에게는 커다란 용기였다. 짧은 이야기 속에서도 가장 결정적인 장면이 아닌가 한다. 이때부터 월터는 방관자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의 일을 자신의 일처럼 여겨 방관하지 않는 것은 결국 자신에게 이로운 일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제 월터는 어제의 월터가 아니다. 월터의 노래에 조금 시끄러울 수는 있을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