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실험, 무엇이 문제일까? 10대가 꼭 읽어야 할 사회·과학교양 14
전채은.한진수 지음 / 동아엠앤비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물실험 무엇이 문제일까?(전채은, 한진수, 동아엠앤비)

동물 복지에서 실험 윤리까지, 인간과 동물의 공존 해법과 미래

70대 할아버지가 남자는 이래야 돼, 여자는 이래야 하지 이렇게 말하니 10대 손자는 할아버지 요즘 사람들 생각이 바뀌어서 그런 말씀 하시면 안돼요 한다. 성인지 감수성이 할아버지가 살았던 시대와 지금이 다른 것이다. 그리고 변화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동물에 대한 사람들의 감수성도 많이 변화했다. 그냥 동물로 보지 않고 일상을 같이 살아가는 반려 동물이라고 부른다. 2020년 말 현재 한국에서 반려동물 기르는 반려가구는 604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약 29.7%, 반려인은 1,448만 명으로 ‘반려인 1500만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주말에 산책을 하다보면 반려견과 산책하는 분들을 과거보다 훨씬 많이 봅니다. 반려견의 목줄을 하고 변 봉투를 들고 다니시고, 큰 개의 경우는 입마개도 합니다. 동물을 키우면서도 에티켓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물론 아직 동물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부분도 있습니다. 동물연대의 보고서에 따르면 길을 잃거나 버려진 동물이 12만 마리에 육박압니다. 이는 전년보다 9.1% 줄어든 수치다. 하지만 한 해 유실∙유기동물 수가 10만 마리를 넘어서는 상황은 2017년 이후 5년째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어떤 문제가 있으면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법률이 꼭 있는 것 같아 찾아 보았습니다. 

「동물 보호법」이 있고, 실험 동물에 관해서는 실험동물에 관한 목적을 시작으로 하여 다른 법과의 관계 실험동물운영위원회의 설치, 운영, 과징금 등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 등이 있습니다. 동물보호법 개정안은 ① 동물학대자 소유권 제한, ② 동물실험 관련 규제 강화 ③ ‘맹견’에 대한 규제 강화 ④ 개식용 금지 관한 내용이 발의된 상태라고 합니다. 

제1조(목적) 이 법은 실험동물 및 동물실험의 적절한 관리를 통하여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성 및 신뢰성을 높여 생명과학 발전과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

책은 1부 동물 실험의 역사, 2부 동물 실험 관련 법률 및 논쟁, 3부 동물 실험의 종류, 4부 동물 실험에 관한 찬반 양론, 5부 실험 동물 복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장이 끝날 때마다 <꼭꼭 찝어 생각 정리하기>가 있어 질문과 답으로 그 장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동물 실험의 복지를 위한 중요한 원칙을 알고 넘어가야겠습니다. 3R은 동물보호법 제23조에 나옵니다. 대체(Replacement), 감소(Reduction), 개선(Refinement)이 그것입니다. 


학생들과 [동물 실험]에 대한 정의, 역사, 법률, 종류 등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한 후에 토론 수업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동물 실험에 대한 반대 논리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인간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동물을 일방적으로 이용할 권리가 없다는 것입니다. 반면 동물 실험 찬성입장은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위해서는 동물실험이 꼭 필요하다는 논리로 맞서고 있습니다. 



COVID-19의 확산으로 인간과 동물, 환경의 관계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여론도 생겼다.(중략)

진화의 핵심은 우리 인간도 동물이며, 인간이 고통과 통증, 스트레스를 받는 생명체인만큼 동물도 생명체라는 사실이다.

[동물실험 무엇이 문제일까?] 맺음말 중에서



인간과 동물, 환경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입니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