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두사의 시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메두사의 시선 - 예견하는 신화, 질주하는 과학, 성찰하는 철학
김용석 지음 / 푸른숲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화와 과학과 철학의 만남이라! 과학계에서 먼저 제기한 ‘통섭’논의에 대한 철학계의 화답인가? 철학자 김용석의 에세이는 가볍지 않다. 그렇다고 무겁지도 않다. 과학과 인문학에 다소 조예가 있는 사람에겐 좀 진부하게 보일 수도 있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지적인 유희를 펼치고 있는 글모음이다. 그리스.로마신화를 새롭게 해석하여 현대과학에 투영하고 철학적 성찰로 마무리하는 식이다. 에세이라고 하지만 상당히 지적인 사람이 아니면 읽기가 만만찮다. 뭐 그렇다고 아예 학술적인 수준의 글쓰기도 아니다. 좀 애매하다. 어떤 독자는 읽고 감탄하겠지만 어떤 독자는 짜증내기 딱 좋은 정도.

 그리스.로마신화에 나타난 인간의 욕망을 재해석하여 현대과학이 제기하고 있는 철학적 문제들을 조망해 보는 시도는 참신하다 할 수 있다. 한데 이런 시도가 현실에서 무슨 의미를 지니는지는 의문이다. 마치 고루한 영화평론가의 현학적인 영화평론을 읽는 느낌이라고 할까. 숨어있는 상징과 의미를 찾아 내 기가 막히게 꿰어 맞추는 영화평론을 읽다 보면 감탄이 절로 나지만 다 읽고 나면 좀 허탈해지는 딱 그 느낌. 그래서 영화가 재미있다는 거야, 재미없다는 거야? 차라리 단도직입적으로 현대과학이 야기한 철학적 문제들에 직접 대안을 제시해 보면 좋지 않을까?

 이런 글을 기가 막히게 잘 쓰는 양반이 이어령이다. 정말이지 그 현란한 말발은 예술이다. 어쩌면 그렇게 잘 갖다 붙이는지! 세상 아무리 복잡한 문제라도 그의 입을 통하면 명쾌하게 정리된다. 그런데 그의 글은 과학적이지도 그렇다고 문학적이지도 않다. 딱히 아니라고 말할 수 없을 뿐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식 말장난일 뿐이다. 그의 현란한 수사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차라리 투박한 소설 한 권이 우리 인생을 훨씬 풍요롭게 한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이 책을 읽고 영감을 얻을 과학자가 있을까? 이 책을 읽고 감탄할 철학자가 있을까? 하물며 밥벌이에 매달리기도 벅찬 일반인들이야! 더구나 이 책은 이어령의 책들만큼 쉽고 재미있지도 않다. 읽는 동안만이라도 즐거워야 하는데 머리만 아프다. 물론, 영화평론이 영화를 만들고 감상하는데 좀 더 도움을 주긴 한다. 철학인지 평론인지 모르겠지만 이런 식의 글쓰기가 지적유희의 기쁨을 주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런데 그러려면 좀 더 쉽고 재미있고 분명하게 써야 한다. 대중을 대상으로 한 에세이라면 더더욱 그래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