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군대다 - 여성학적 시각에서 본 평화. 군사주의. 남성성, 청년학술 56
권인숙 지음 / 청년사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학위논문을 위해서 씌여진 책이다. 많은 주석들이 좀 지루한 감을 주긴 하지만...곳곳에 첨가되어있는 인터뷰들이 지루함을 희석시키고 흥미를 이끌어낸다.

 

늘 궁금했었다. 우리나라에서 군대의 의미는 무었일까? 얼마나 뿌리깊게 군대 문화를 우릴 지배하고 있는 것일까?

" 군대 갔다와야 사람되지" 이런류의 말을 수도없이 듣고 자랐고

그 사람된다는 군대를 가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쓰는 또다른 "사람"들을 무수히 봐왔다.

우리가 즐겨 쓰는 '인권의 사각지대'라는 말에서 '사각지대'도 군대 용어라는 사실을 아는가?

 

내가 이책에서 관심있게 보았던 부분은 두가지 였는데

1. 학생운동에서의 군대문화

2. 군대내 남성간 성폭력  

이었다.

 

학생운동세력안에서의 군대적 체계와 수평적 연대 관계보다는 수직적 명령하달체계였었고  군부독재를 비판하고 그 세력과 투쟁하면서도 조직안에서는 폭력성과  '일상적 파시즘'이 멋지듯이 여겨지기도 했다. 여성은 철저히 배제되었으며 여성의 주위상황과 조건을 고려하지 않은채 남성과 똑같이 되기를 무의식속에 강요했다.

집에 일찍 들어가는 여성은 투쟁성이나 사상성을 의심받았다.

같은 조직생활에서도 여성은 어머니같은 이미지로 다른 남성들의 뒷바라지 역할을 해야했다. 그것이 미덕이었고  당연한 일이었다.

 

반성하지 않는 역사는 발전이 없다.

되돌아 곱씹고 고찰하지 않는 조직은 쇠락의 길로 갈뿐이다.

다시 생각하고 성찰이 필요하다. 이것이 이 책이 가지는 미덕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두번째, 군대내에 성폭력이 있는가?  남성들만 있는 교도소 안에서의 강간이야기는 유명한 "소생크 탈출"이라는 영화에서도 거론되고 있고 군대내의 성폭력도 알고 있는 이야기이기는 했다.

그런데 왜 이 문제가 쉬쉬하며 넘어갈수 있는가?

 

"성폭력의 피해자가 된다는 것은 남성임을 부정하는 것과 동일하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 저자의 말이다. "피해자로서의 자신을 바라보고 알리는 것은 치명적인 남성성의 훼손으로 여겨진다"는 것이다.

그럼 가해자는 뭐라고 하는가?

" 성폭력의 이유로 가장 빈번하게 주장한 것은 장난이고 그리고 친근감의 표현이 뿐 "

가해자는 게이는 아니다 . 피해자 역시 마찬가지다. 남성만의 공간이는 특수한 상황이 그들을 그렇게 몰고간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권력의 표현과 위계질서의 확립(?)의 수단으로 성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예전보다는 군대도 많이 좋아지고 군대밥도 맛있어지고 사회 분위기도 좋아졌다지만...

아직도 남아있는 폭력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군대갔다와야 된다는 그 "사람"의 의미와

여성들을 주변인으로 만들었던 군대문화같은 사회와 학교에서의 조직생활에 대한 성찰이 필요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