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지
박제상 지음, 윤치원 엮어옮김 / 대원기획출판 / 200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성경을 읽으면서 절벽같이 깊은 심연을 몇 계단씩이나 오르내리며 아연하여 하였던 기억이 있다.

저자는 특히 어려운 카발라와 하도낙서 및 고대의 점성술과 천부경과 한단고기를 넘나들며 우리 한민족의 창세기인 부도지를 해석하는데 혼신의 힘을 기울이고 있다.

종교의 상태를 너무 눈에 보이는 유물론적으로 이해를 시킬려고 부단히 노력했으나, 정작 종교적인 깊은 체험에 날로 삶의 목적을 발견하는 자들에게는 참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들을 쏟아내고 있다.

성경의 불가사의한 창세에 관한 의문들을 너무 간단하게 부도지라는 이해하기 지극히 어려운 책과 사막의 점성술을 접목시킨데는 찬사를 보낸다.

중국 고대의 삼황오제를 거론하면서 "금문의 신비"라는 책을 좀 참고 하였으면 더 설득력 있는 글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하며 오행을 비판하면서 한의학자로서 황제내경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것도 참으로 아쉬운점이 많았다.

오행을 무시하면서도 기반에는 그 오행에 따라 의견을 펼친 글들이 짬짬이 들어나서 의아해 하기도 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저자가 이렇게 방대하게 부도지를 해설하고 특히 범 세계적인 안목으로 의견을 개진한 모습에 기립하여 박수를 보내드린다.

아직 이해 못하는 부분들이 많지만 두고 두고 읽고 이해하고자 노력한다면 저자가 의도하는 바를 조금이나마 알 수 있을 것 같다.

한동석의 우주변화의 원리 라든지 소강절의 황극경세서를 옆에 두고 같이 읽어 본다면 아마도 같은 맥락에서 얻는바가 있을것 같은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무열전 - 나무에 숨겨진 비밀, 역사와 한자
강판권 지음 / 글항아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무와 관련된 궁금한 이야기가 한문해설과 곁들여져 매우 흥미있고 재미나게 꾸며져 있습니다.

 관한 특성도 익히고 그에 관련한 고사도 아주 해박한 지식으로 풀어 지식의 다른 장을 펼쳐 보내게 해준 저자에게 깊은 감사들 드립니다.

시립 도서관에서 빌려다가 일주일만에 후다닥 읽고 다시 간직하고자 구입하였습니다.

어렵고 외워지지 않는 나무에 관련한 조어들이 있어서 다시한번 필요할 때 보기 위해서였습니다.

언어와 한문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반드시 소장해도 후회하지 않을 책이라 여겨 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과학혁명의 구조 까치글방 170
토머스 S.쿤 지음, 김명자 옮김 / 까치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패러다임이란 방편을 말하는 것일까? 구조적으로 변하는 것은 모양도 달라보이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진 1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잊혀져 가고 있는 이야길 살포시 집어내어 활개 옷을 펴듯이 걸듯이 드러낸 작가에게 고맙기만 하다. 일제의 압박을 통해 우리 것이 모두 잠겨지고 잃어 버림을 당할 바로 직전에 궁중 한켠과 지구 한 모퉁이에 타 올랐다가 스러진 군상들의 삶을 어찌 이리도 잘 조근조근 일으켜 세웠는지...

민중의 꽃들이 피고 스러지면서 일궈낸 그 열매들이 이 역사를 지탱하는 모양이다.  백년전의 한 세상을 뒤지고 다니며 옛 고인과 이야기를 나누며 이 글을 써 내려간 작가의 순간 삶이 경이롭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 한국소설 3인전! 신경숙.황석영.김훈 작가의 강연회에 초대합니다!

장길산을 십 수년도 훨씬전에 여름휴가때 한질 구입하여 식구들 다 휴가 보내고 배깔고 엎드려 읽다가 다시 흥에 겨우면 일어나 읽고 하며, 그 기간을 구름에 둥둥 떠 다니듯이 보냈던 기억이 있습니다.

바리데기는 그 후 한참이 지나 강산이 한번 두번 바뀌고 나서 다시금 구름 위에 노니는 맘으로 보았습니다.

사람의 한이 서려있는 마음속에 스며 있는 그늘이 있는 삶의 이야기, 한 시대에 같이 공존한다는 사실이 참으로 뿌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