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빅 커리어 - 업의 발견 업의 실행 업의 완성, 개정판
박상배 지음 / 다산북스 / 2018년 1월
평점 :
빅 커리어
나의 10년 뒤를 생각해 보다
다람쥐 쳇바퀴 돌듯 평범한 직장인의 삶을 살고 있다. 어제와 똑같은 하루를 살며 변화를 모색하지만 여전히 같은 쳇바퀴 안에 있다. 나름은 치열하게 현장에서 고군분투 하고 있다. 이 회사에서 일한지 이제 7년정도 되었다. 그런데 지금부터 10년 뒤의 나의 모습은 어떠할까. 내 주변의 나보다 10년 선배들의 모습을 보면 내가 바라고 내가 목표로 하는 미래의 모습인가라는 물음에 쉽사리 답이 나오지 않는다. 그들의 삶이 잘못되었다기 보다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삶인가에 대한 의문이 드는 것이다.
시시각각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안에서 생존 자체가 힘든 세상이다. 40대에 명예 퇴직을 당하는 경우도 있고 회사가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안정을 추구하기에 대기업이나 공무원을 꿈꾸는 희망없는 사회다. 나 역시 안정을 추구하기에 발전된 미래를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 쳇바퀴 안에서 빠져나와야 하는 것인가? 그럼 이 상황에서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단 말인가?
변화를 거창하게 생각하고 부담스러워 할 필요는 없다. 일단 일상에서 작은 변화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일상의 작은 변화는 어떤 형태로든 일의 변화를 불러오고, 결국 성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 다른 사람으로 살아보기 -(p121)
큰 변화를 말하지 않는다. 그저 사소한 변화를 추천한다. 책상을 정리하고,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고, 동료들에게 갑작스레 커피를 쏜다. 이처럼 사소한 변화는 일의 변화, 일상의 변화를 가져오고 나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한다. 그 변화가 힘들 수 있지만 변화하지 않으면 그저 언제나 머무르는 고인 물이 된다.
현장을 강화하는 1-1-1 법칙 (p202)
1. 하루 한 시간 방해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집중해 일을 한다.
2. 하루 한 번 어제와 다른 일을 시도한다.
3. 하루 한 사람(고객, 동료)의 요구를 해결한다.
여러 법칙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 나는 1-1-1법칙이 가장 관심이 갔다. 무언가 실행하기 쉬워 보이기도 하고 나에게 적용할 수 있는 법칙이라 여겨졌다. 매일 이 법칙을 기억하고 수행한다면 언젠가 발전되어 있는 내 자신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되었다. 세번째 법칙을 매일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있겠지만 노력하는 자체만으로 의미가 있어보인다.
"어떤 것을 선택할 때 저만의 기준이 있습니다. 바로 이 일이 재미 있을까, 없을까를 생각하는 것이죠. 재미가 없으면 오래 갈 수 없습니다. - 야마모토 사장 (p212)"
나의 일이 재미있는가.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이 정말 재미 있는 일인가. 항상 생각하고 또 생각하는 말이며 큰 공감이 되었다. 진정으로 내가 원하는 일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것만으로 큰 전환점이 된다. 지금 내가 몸 담고 있는 엔지니어라는 직업이 진정으로 내가 원하고 즐거운가에 대한 생각을 통해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도 한다. 당장 큰 변화는 없을지라도 내 미래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질문이라 생각한다.
"저는 나이가 들어서도 계속 일하는 것이 꿈입니다. 그런데 직장에서는 그 꿈을 이루기가 어렵다는 것을 자각하게 되었지요.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창업을 하고자 합니다. -김수용 대표 (p244)
사실 창업에 대한 꿈은 많은 직장인들의 로망일지도 모른다. 모두가 이루고 실행하고 싶지만 쉽사리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나도 그처럼 언제가 될지 모르겠다. 그런데 이러한 생각을 통해 차츰 창업에 대한 꿈을 키운다면 현실로 오는 날이 있지 않을까?
빅 커리어는 대단한 한방으로 만들어내는 퍼포먼스가 아닙니다. 당신이 속해 있는 현장에서 하루에 단 1퍼센트의 시간을 어제와 다른 관점으로 질문하는 과정 속에 싹이 뜨는 것이지요. 사람은 늘 어제와 같은 방식으로 접근하고 생각하는 일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래서 새로운 방식으로 현장을 바꿔 성과를 내고 싶어 하는 분들을 위해 이 책을 썼습니다. (p253)
빅 커리어에 대한 저자의 가장 중요한 문구라 생각된다. 대단한 한 방이 아닌 어제와 다른 관점의 질문이 빅 커리어의 핵심이다. 다른 방식의 접근, 다른 방향으로의 생각이 결국은 새로운 미래를 말들어 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