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떻게 인생을 살 것인가 - 하버드대 인생학 명강의
쑤린 지음, 원녕경 옮김 / 다연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어떻게 인생을 살 것인가
여덟 명의 대통령, 44명의 노벨상 수상자, 30명의 퓰리처상 수상자를 배출한 하버드대학교!
결과가 보여주는 것처럼 하버드는 특별한 곳이다. 공부 잘하는 사람들이 들어갈 수 있는 곳이거니와 공부를 잘해야만 졸업할 수 있는 곳으로 정평이 나있다. 하버드 대학교의 이미지는 한국 사람인 우리에게 세계 1위 대학교로 익히 머릿속에 박혀 있다. 하지만 더 깊숙히 알고 싶고 그들이 궁금하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공통점이 있다. 성공하는 사람들을 많이 배출한 하버드 인재들이라면 그 공통점이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일 가능성이 크다.
제목부터 의미심장하고 읽기에 어렵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의외로 내용이 재미있고 읽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었다. 내용도 흥미롭고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하며 읽는 부분이 많았다. 때로는 내 자신을 자책하기도 하고 변화해볼 가치를 느끼는 좋은 말들이 많았다.
'지금 자면 꿈을 꿀 수 있지만, 공부를 하면 꿈을 이룰 수 있다.'
살인적인 공부를 감행하며 하루 5시간의 잠도 이루지 못하고 공부에 매진한다. 하루 이틀의 문제가 아니다. 꾸준한 공부만이 성공으로 가는 길이다. 나 자신을 반성하게 한다. 과연 하버드생들을 보고 내가 열심히 공부했다라고 말할 수 있을까? 내 자신이 한없이 부끄러워지는 순간이다. 나의 대학시절 그저 학점 받는데 열중했지 배움의 자세는 아니었다. 최정상에 올라가지 못하는 이유는 우리 모두가 알고 있다. 공부를 안한 탓이다.
"우리 학교 학생들은 다들 맨 앞자리에 앉는 걸 좋아해요. 맨 앞줄에 앉아야 자신을 드러내 주목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주목을 받아야 다른 사람에게 높이 평가받을 기회가 생기고 또 다른 사람의 눈에 들 수도 있으니까요."
맨 앞자리에 앉았던 적이 언제였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그저 평범하게 뒷자리에 앉아 앞사람 뒷통수를 피해가며 칠판을 봤었다. 얼마나 어리석었는가. 한국 사람들은 튀는 사람을 싫어하는 이상한 문화가 있다. 수업 시간에 질문하는 아이는 따돌림을 당하기도 하고 이상한 눈초리로 바라보기도 한다. 한국의 문화부터 무언가 문제가 많은 듯 하다. 자신을 드러내 주목을 받아야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자신감. 바로 그 자신감은 실력에서 나온다. 실력과 자신감의 조화가 이루어질 때 그 빛을 발할 수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상대는 쉴 새 없이 책장을 넘기고 있다!"
경쟁 심리를 자극하는 하버드 도서관에 가면 볼 수 있는 글귀라고 한다. 경쟁은 잠재력을 이끌어 내고 의욕을 불태울 수 있으며 성장을 돕는 기분좋은 약이다. 패배를 맛보아도 좋다. 그 패배를 발판삼아 나의 잠재력을 더욱 끌어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긍정, 자신감, 좌절에서 벗어나기... 참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다. 성공할 때까지 계속 나아가는데 어찌 성공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고통 역시 우리가 경험해야 할 인생의 일부입니다. 괴로워하며 견디기보다는 담담하게 즐기는 편이 낫지요."
하버드대 재학생 중 80퍼센트가 최소 한번의 극심한 고통을 겪었으며, 그중 47퍼센트는 그 고통으로 정상적 일을 할 수 없었던 경험이 최소 한번 있었으며, 10퍼센트는 자살을 생각했다고 한다. 최고를 향해 달려가는 하버드생들도 이러한 고통을 겪고 있다.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다. 아니 오히려 그들보다 우리가 더 편할지 모른다. 고통은 당연한 인생의 일부이기에 담담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사실 말이 쉽지 고통을 겪어 내기란 참 어려운 일이다. 고통을 즐기고 그 안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자가 진정한 '강자'이다.
하버드 정신
좋은 성격, 자신감, 좌절을 이겨내는 힘, 마인드 컨트롤, 열정, 실행, 자제력 등 10가지 하버드생의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 그들의 노하우를 엿볼 수 있으며 부담없이 볼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10가지 모두를 갖고 있다는 것은 쉽지 않고 신의 경지라 생각한다. 10가지 중 5가지만이라도 3가지만이라도 지금의 나를 바꾸는 키가 된다면 이 책은 나에게 정말 값진 책이 될 것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상대는 노력하고 있다. 어서 공부하자. 괴로울지라도 담담하게 이겨내리라. 도전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