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를 내려면 원칙을 비틀어라
제이크 브리든 지음, 김태훈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5년 4월
평점 :
절판


성과를 내려면 원칙을 비틀어라 제이크 브리든 지음


균형, 협력, 창의성, 탁월성, 공정성, 열정, 준비 7가지의 통념이 존재한다. 단어 자체는 완벽하다. 회사 생활에서 균형적이어야 하며, 서로 협력해야 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탁월한 선택을 하며, 공정성을 가지고 열정을 쏟아내고,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 이러한 원칙이 모두 옳은가?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당연히 옳고 문제 없는 것이라 생각했다. 분명한 하나는 지금까지 옳다고 생각한 원칙들을 이제는 비틀고 다시 생각해야 할 때가 왔다. 우리는 원칙의 덫에 빠져 잘못된 선택을 하고 있을지 모른다. 


TIPPING SACRED COWS : 부제는 "신성한 소를 뒤집어라"이다신성한 소가 무엇언가인도에서 숭배되는 소를 빗댄 말이다인도에서는 소가 법이고 진리이며 숭배의 대상이다사람보다 소가  중요하며 그것에 의문을 가지는 인도 사람은 없다

 

"우리가 가장  안다고 생각하며그래서 절대 검증하거나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 스토리들은 대부분이 잘못된 것들이다."

 

우리가 미덕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에 발목이 잡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일을   협력해야 한다는 미덕에 발목이 잡혀 빠르고 옳은 결정을 하지 못하고 결정을 미루게 되는 것처럼 말이다. 회사 생활을 하면서 100% 완벽한 사람은 없다. 결점없는 결정을 하기 위해 생각하고 그 결정을 미루는게 옳을지 아닐지는 시간이 지나봐야 알 수 있기 때문에 이게 정답이라고 확신하기는 참 쉽지 않다. 고심 끝에 내린 결정이 항상 맞다고 할 수 없는 것이 세상엔 굉장히 많은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 회사 내에서도 여러 부서가 존재한다. 부서마다 성과도 다르고 그 성향도 매우 다르다. 누가 잘했고 못했고를 판가름하기도 사실 매우 어렵다. 모든 것은 결과를 두고 평가가 이루어 지는 냉혹한 곳이기 때문에 더욱 어렵다. 나중의 결과도 중요하지만 중간의 진행 과정도 문제가 없어야하기 때문에 쉽사리 옳다 그르다를 판단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원칙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옳지 못한 결정을 하는 경우도 더러 생길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균형은 누구나 미덕이라 생각할 것이다하지만 균형은 성공을 방해하는 요소라고 저자는 말한다. 과감한 균형의 힘이라고 표현된 대런과 엔의 예화가 있다. 엔은 기존 고객과 새로운 고객에게 동일한 시간을 할애하고 균등하게 대하는 반명, 대런은 새로운 고객에게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고 기존 고객은 새로운 고객에 비해 덜 시간을 할애한다. 지금까지의 나의 생각은 당연히 엔과 동일했고, 그게 정답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마치 도덕을 중시하는 어리석은 과거의 논리자와 같은 느낌이다. 과거의 틀에 얽메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처사라 생각되었다. 나도 바뀌어야 한다. 과거와 다르다. 원칙을 비틀지 않으면 머무는데 그치지 않고 오히려 도태되는 세상인 것이다.


 "결국, 현실적으로 효과를 본 아이디어는 기존 아이디어를 그냥 합친 것이었다."


우리는 누구나 창의적이어야 하며, 그래야 살아남을 수 있다며 새로운 것을 강조하곤 한다. 하지만 저자는 이러한 원칙을 비틀고 있다. 나도 사실 창의성은 언제다 옳다고 생각했다. 창의성,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칭찬받아야 하지만 이러한 창의성의 덫에 빠져서는 안된다. 창의적이라고 무조건 믿고 도전 했다가는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내 삶의 경거망동했던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에 부끄러움이 밀려온다. 찬찬히 돌아보고 생각해보니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발목을 잡는 경우가 더 많았던 것 같다. 기존의 올바른 것들을 잘 활용하는 것은 비지니스에 더 가치있고 잘 부합하는 것을 깨우쳐야 하는 순간이다.


소니는 비지니스 초반 워크맨으로 시대의 흐름을 장악했던 기업이다. 항상 새로운 도전에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함께 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 초반 공세는 어마어마했으나 지금의 소니는 그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까지 왔다. 새로운 도전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좋았으나 그 창의성은 역효과를 가져왔다. 리더의 단지 혁신이나 자기 만족, 자축의 순간만을 추구한 소니의 자세가 그들의 발목을 스스로 붇잡았다. 창의성은 옳다는 기존의 원칙은 항상 옳은 것은 아니었다.



이 책은 우리가 옳다고만 생각했던 원칙에 대해 다른 방향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해하기 쉬운 이야기와 더불어 원칙만을 고수해서는 안되는 잘못된 우리를 지적한다. 사회 생활을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비지니스에 몸 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읽었으면 하는 책이다. 스스로를 되돌아 보고 냉정하게 생각해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기계발서이다. 앞에서 이끄는 리더들은 정독이 필요한 책이다. 자신감을 북돋워 줄 수 있으며 잘못된 자신의 모습을 꼬집어 줄 수도 있다. 우리 시대의 비지니스 맨들에게 이 책을 추천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