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리소설로 철학하기 - 에드거 앨런 포에서 정유정까지
백휴 지음 / 나비클럽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에드거 앨런 포에서 정유정까지



추리소설과 철학의 만남이 무언가 낯설게 느껴진다. 저자 백휴의 이력을 보면 왜 이 낯설게 느껴지는 조합이 생겨났는지 이해할 수 있다. 서강대 철학과와 연세대 철학과 대학원을 졸업해 오랜 기간 철학을 진심으로 공부했다. 또한 추리소설을 쓰는 추리소설가이다. '한국추리문학상' 신예상 및 대상을 수설하고 평론을 한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이해가 된다. 추리소설과 철학은 저자가 가장 큰 관심을 갖는 두 분야의 만남이며 저자 자체가 철학하는 추리소설가이기에 때문이다.

이따금 천재 탐정의 예리한 눈빛을 볼 때 허허벌판에 선 인간의 당혹감을 즐기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나만의 착각일까?

<추리소설로 철학하기> 책을 읽다보면 참으로 놀랍다. 저자 백휴는 추리소설 광이라 칭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추리소설을 읽었음을 알 수 있다. 하긴 추리소설 평론가이니 추리소설을 읽는 것이 직업인 셈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추리소설을 단순히 언급한 것만 추려도 상당하다. 12명의 추리소설 작가를 다루면서 작가의 소설들을 섭렵하지 않고서야 이런 내용을 다룰 수 없음을 책을 읽으면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한 작가의 추리 소설들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관찰하고 분석해 철학적 관점과 결부시킨다.

애거사 크리스티의 기본 정서는 노스탤지어 nostalgia다. 누가 뭐래도 마음이 과거라는 콩밭에 가 있는 것이다. 노년의 인간에게 대부분 나타나는 보편적 정서지만 크리스트의 경우 개인에게 국한될 문제는 아닌 것 같다. (중략) 그녀의 작품에서도 한없이 뒤를 돌아보는 듯한 만년의 쓸쓸한 모습이 드러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p50

애거사 크리스티, 참으로 유명한 고전 추리 소설의 대가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가 특히 유명한 듯 한데 아직 읽지 못했다. 그녀에 대한 관심으로 이 챕터를 가장 먼저 펼쳐봤다. 코넌 도일의 셜록 홈즈와 애거사 크리스티의 미스 마플을 비교하는 부분이 인상깊었다. 셜록 홈즈를 이해하기에 자연스럽게 미스 마플에 대해 그려졌고 더욱 그녀의 소설이 궁금해졌다. 도시를 누비는 셜록 홈즈와 대비되는 미스 마플의 정적이면서도 안분자족하고 싶은 마음을 볼 수 있다.

크리스티의 정신적 퇴행의 풍경을 감상한 어느 평자는 추리소설을 '도피문학'이라 규정했다. 도시적 디오니소스적인 힘을 표현한 모더니즘으로부터의 도피라는 것이다. (p51) 현대 예술이나 전통적인 규칙을 거부하고 새로운 표현 양식을 찾는다는 '도피문학'이란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디오니소스적인'은 그리스 신화의 술,미술,음악,춤,열정 등을 상징하는 디오니소스 신과 관련된 것으로 '열정이 넘쳐나는'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모더니즘'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전통적 형식과 규칙을 거부하고 현대적이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표현하는 예술, 문학,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 운동이다.

개인적인 식견이 부족한 나로서는 이 문장을 읽자마자 온전히 뜻을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문맥상으로는어느 정도 이해할 수는 있으나 단어 하나하나의 뜻을 온전히 알지 못하는 입장에서 멈칫거리게 됨은 어쩔 수 없었다. 이 부분이 이 책의 강점이자 단점일 수 있다. 지식이 풍부하다면 읽는데 큰 무리가 없겠으나 그렇지 않다면 나처럼 멍한 당혹감을 맛볼 것이다.

니체의 말처럼 원본이 없는 곤혹스러운 형국이 아닌가. 가면 밑에 또 다른 가면이 숨어 있을 뿐이라면 범인을 찾아내 사건의 진상을 밝혀야 하는 추리소설이라는 장르가 성립할 것인가? (p53) 애거사 크리스티와 니체의 철학의 연결짓는 부분이다. 니체는 원본 따위의 세계란 없다고 주장했으며 애거사 크리스티의 <죽은 자의 어리석음>을 통해 가면 뒤에 감춰진 살인자의 본모습 역시 가면의 모습이라면 어찌할 것이냐는 철학적 물음을 던진다.

가면이라고요?

사람의 얼굴은 결국 가면 같은 게 아니겠습니까?

그렇다면 그 밑에 숨어 있는 것은?

본바탕의 남자 또는 여자이겠지요.

-애거서 크리스티, 홍묘선 옮김, <슬름의 관>, 자유시대사 p63 -

p65

<추리소설로 철학하기>의 가장 중요한 축은 추리 소설의 작가와 작품에 흐름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점이다. 작가의 생각과 철학을 소설과 결부지어 재가공하는 사유를 한 단계 발전 시켜 나간다. 작가에 대한 애정이 없다면 혹은 철학에 대해 애정이 없다면 결코 이런 내용이 나오기란 힘들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추리 소설 작가의 철학이 추리 소설 곳곳에 묻어 나오고 우리는 알게 모르게 그러한 작가의 철학에 스미듯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책은 일독으로 넘길 책은 아닌 듯 하다. 관심있는 작가에 대한 챕터를 한 번 읽고 책에서 언급하는 책을 거꾸로 찾아 보는 것을 권한다. 그리고 다시 이 책의 내용을 읽으면 좀 더 새롭게 다가올 것임이 자명하다. 아는만큼 보이는 법이며 책에서 언급하는 추리 소설을 완파하고 다시 접했을 때 비로소 작가 백휴와 말을 섞을 수 있는 수준이 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