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표 - 교유서가 소설 2022 경기예술지원 문학창작지원 선정작
이대연 지음 / 교유서가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표

이대연 작가의 <부표>, <전> 두 단편 소설이 담겨있다.

생과 죽음의 경계에 선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부표>는 현실에서 정말 있을 법한 이야기를 담담하고 사실적으로 담고 있다. 아버지에 대한 감정과 자신의 업이 자연스레 연결되어 생생함을 더하고 있다. <전>은 과거 인조 반정의 시대에 대한 역사 소설에 허구를 더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역시 생과 죽음의 갈림길에서 등장인물들의 처한 상황이 매우 고되며 그 감정들이 잘 느껴지는 소설이었다.


부표

첫번째 소설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매우 담담하게 그렸다. 하지만 그 담담함 속에 아버지에 대한 원망과 한편으로는 이해가 느껴지는 글이다. 일확천금을 꿈꾸며 거금을 보여주겠다는 아버지는 원양어선, 화물선을 타며 돈을 벌었다. 하지만 그 돈은 어디로 사라졌는지 가족에게 일확천금은 돌아오지 않았다. 아버지는 교통사로로 예전과 같은 삶을 살 수 없었다. 아버지의 죽음은 허망했으며 가족들에게 전해진 보험금 역시 고작 3천만원에 불과했다.

사 톤짜리 거대한 돌덩이 두 개가 쇠사슬 끝에 매달려 허공으로 떠올랐다. 침추까지 인양하면 어려운 고비는 넘긴 셈이었다. 작업반원들이 바빠졌다. 일부는 침추에 갈라지거나 파손된 부분이 없는지 확인하고 일부는 낡은 쇠사슬을 끊고 새 쇠사슬로 교체했다. 새 등부표에 연결된 쇠사슬이었다.

p29

바다의 부표를 교체하는 일을 업으로 삼고 있다. 거대한 크레인으로 오래된 부표를 끌어 올려 새 부표로 교체를 하는 일이다. 자칫 끔칙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일이다. 일의 진행 과정이 나름 상세하게 다뤄지고 있는데 내가 마치 그 현장에 있는 듯 생생하게 느껴졌다. 업의 자체가 생과 사의 갈림길에 서있는 셈일 수도 있다.

아버지의 죽음과 부표의 교체 작업이 묘하게 교차한다. 새로운 부표를 다는 작업으로 새 생명을 얻는 과정이라 할 수 있는데, 아버지의 뇌사 판정으로 타인에게 아버지의 장기가 전해지는 과정이 또 다른 새 생명과도 같이 느껴진다.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는 그 과정은 새로운 삶이자 죽음인 것이다. 그 경계를 담담하게 그리고 있어 더욱 실감나게 느껴지는 게 아닐까 생각했다.


(傳)

첫번째 소설

인조반정의 역사적 사실의 기반에 허구를 더해 단편 소설 <전>이 태어났다. '배대유'의 방으로 '무명'이 침입한다. '무명'의 한 손에는 '시방'의 머리가 들려 있었다. '시방'의 졸기를 써달라며 찾아왔다. 졸기는 죽은 이의 평가를 더한 일종의 전기이다. 반정의 과정에서 왕을 지키다 죽음을 맞은 시방을 위한 졸기인 것이다.

화로를 내려놓고 방문을 닫는데 무명이 꿈을 꾸는지, 앓는 소리를 내며 얼굴을 잔뜩 찌푸렸다. 그대는 꿈속에서도 싸우는 것이오? 정여립의 제자이면서 이몽학의 친구였던 사람, 강변칠우와 교류하며 허균과 광해를 죽이려 했던 사람, 누구보다 앞장서 왜군과 싸웠던 사람. 그렇게 전란과 민란을 오가며 한 갑자를 살아온 사람. 그의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은 듯했다. 그는 또 무슨 힘으로 남은 생을 살아갈 것인가?

p67

둘의 관계는 죽음과 생의 교차점에서 두 번의 인연이 있었다. 졸기를 쓰는 배대유는 이 죽음에 대해 어떻게 적어야 할지 어렵다. 생과 사의 갈림길에서 필사의 노력과 고뇌 아래 녹록치 않는 당시 상황을 설득력 있게 펼치고 있다.

역사 소설이기에 사용되는 단어들이 나에게 낯선 부분이 종종있었다. 사극 드라마에서는 자막으로 그 뜻을 전하기도 하는데 이 소설에는 그런 부분이 없어 나의 어휘력의 부족함을 살짝 느꼈다. 대략 그 뜻을 이해하나 설명하라면 하기 힘든 단어들이랄까. 살짝의 핑계를 대본다. 그럼에도 무명이란 인물이 뭔가 생생하고 매력적으로 다가왔음이 이 소설이 나에게 특별한 부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