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가메시 서사시 - 인류 최초의 신화 현대지성 클래식 40
앤드류 조지 엮음, 공경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가메시 서사시


인류 최초의 신화

마블의 새로운 작품 <이터널스>에 한국 배우 마동석이 길가메시 역할로 나왔다. 길가메시는 나는 처음 듣는 이름이었으나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학작품이라 할 수 있다. 길가메시는 오랜시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아온 고전 중의 고전으로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고 희곡, 소설, 오페라 등으로 알려진 영웅이자 신화의 인물이다. <이터널스>를 보기 전에 가볍게 읽기 위해 책을 펼쳤으나 가볍게 접근하기에는 길가메시에 담긴 내용의 무게감이 상당했다.

먼저 책의 구성이 일반 책과는 매우 다르다. 본문의 번역 형식이 독특한데 대괄호, 이탤릭체, 말줄임표 등을 통해 맥락상 복원, 부정확한 복원, 해독 불가 부분 등으로 최대한 원문에 가깝게 표현하고 있다. 길가메시의 이야기는 쪼개진 수많은 점토판에 수메르어 혹은 아카드어로 이야기가 적혀 있다. 조각난 점토판들의 내용을 해석하고 연결지어 하나의 이야기로 재조합되었고 점토판의 발굴과 복원은 아직도 현재 진행중이다. 조각난 점토판에 숨겨진 길가메시 이야기를 찾아가는 그 과정이 정말 신기하고 새롭고도 흥미롭다.


길가메시는 [그의 궁전] 시녀들에게 말했네

"사내들 중 누가 가장 헌칠한가?

누가 가장 빛나는 사람인가?"

"길가메시가 사내들 중 가장 헌칠합니다!

[길가메시가 가장] 빛나는 사람입니다!" VI-175

p103

[1] 야생 황소처럼 호령하며, 머릴를 꼿꼿이 들고

수메르 땅의 고대 도시국가 우루크, 이 도시를 통치하는 왕 '길가메시'. 반은 사람 반은 신인 그는 아무도 대적할 이가 없는 초인적인 힘을 가졌다. 왕의 압제가 심해지자 신들은 길가메시의 힘을 누르기 위해 야생 인간 엔키두를 창조해 길가메시와 대적하게 한다. 길가메시와 엔키두는 싸우고 길가메시가 이기는데 이를 계기로 둘은 친구가 된다. 둘은 명성과 영광을 찾아 삼나무 숲의 훔바바를 무찌르는 여정을 떠난다. 엔키두는 훗날 병으로 죽음에 이르게 되는데 이에 길가메시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영생의 꿈을 갖게 된다. 영생의 답을 얻고자 길가메시는 세상의 끄트머리에서 인간의 몸으로 영생을 얻은 우타나피쉬티를 만나게 된다. 결국 불로초를 얻게 되지만 뱀에게 빼앗긴다.

물론 신화의 형태를 띈 허구의 이야기이지만 길가메시가 실존 인물이었다는 추측도 있다. 그 사실 관계가 어찌되었든 <길가메시 서사시>가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가 무엇인지 생각해 봤다. 모든 것을 다 가졌지만 단 하나 영생을 갖지 못한 길가메시는 결국 죽는 운명을 받아드린다. 그리고 사후에 신이 되는 길가메시다.

길가메시는 일종의 성장 소설이 아닐까. 폭군에서 지혜자가 되며, 영생을 갈구하는 여정을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된다. 친구 엔키두의 죽음을 목도한 길가메시의 고뇌가 녹아있다. 인간의 한계를 경험하고서야 깨달음을 얻는 길가메시의 모습은 전 인류의 과제일 것이다. 한없이 부족한 인간의 성장은 언제나 재미난 이야기이자 철학적 주제다.

당신이 찾는 생명을 당신은 찾지 못할 거요

신들이 인류를 창조했을 때

그들은 인류에게 죽음을 나누어 주었고

생명은 그들이 차지했소. iii-5

p3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