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무삭제 완역본) - 현대판 프로메테우스 현대지성 클래식 37
메리 셸리 지음, 오수원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켄슈타인

진정한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

프랑켄슈타인이라고 하면 머리에 나사가 달린 흉측한 괴물의 형상을 기억한다. 어린 시절 보았던 어느 애니메이션이 나의 어렴풋한 기억에 남아 있다. 나의 기억 속 어렴풋한 형체의 프랑켄슈타인은 언제나 읽고 싶었던 고전이었으며 드디어 읽게 되었다. 의외의 사실은 내 기억 속의 괴물의 이름은 프랑켄슈타인이 아니며, 프랑켄슈타인은 괴물을 탄생시킨 사람의 이름이었다.

흉측한 기형에 혐오스러운 외모에 키가 비정상적으로 큰 괴물의 모습을 마주한다면 나 역시 두려움에 도망가기 바쁠 것이다. 생명 발생 원인을 찾은 프랑켄슈타인에게는 미적 감각이라곤 전혀 없었나 보다. 생명체를 탄생시키는데 몰두하느라 피조물의 얼굴을 예쁘게 만들 생각은 전혀 못한 듯 하다. 창조주도 아담을 만들 때 정성껏 온 마음을 담아 만들었을텐데 프랑켄슈타인은 자신이 만드는 생명체에 대한 애정보다는 두려움이 더 앞서 있었다.

프랑켄슈타인 소설을 읽으며 생각해 볼 문제가 많다. 인조인간, 복제인간, 유전공학 등 자연 출산에 의해 탄생되지 않은 과학적 힘으로 탄생한 인간의 형상을 한 생명체에 대한 상상력으로 탄생한 다양한 소설 혹은 영화가 있다. 그런 아이디어의 시초가 바로 이 프랑켄슈타인이 아닐까 싶다. 현실로 이 문제를 가져올 때 윤리적 문제가 언제나 불거지는 부분이지만 항상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분야다. 실제 복제양이 탄생하는 걸 보면 이미 생명공학 및 과학적 분야에서는 충분히 실현 가능한 현실로 느껴진다.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중노동과 피로로 점철된 수일 밤과 낮이 지난 후 나는 드디어 생명 발생의 원인을 알아냈습니다. 아니, 오히려 생명 없는 물체에 생명을 불어넣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해야 정확하겠지요.

p60

생명 발생 원인이 무엇인지는 자세히 나오지도 않거니와 SF적 요소이니 말하기 어려운 부분일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매우 흥미롭고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 대목이었다. 허구라지만 괜히 흥분되기도 했다. 생명을 불어 넣는다는 표현이 조물주가 된 것만 같다. 그러나 이 생명에는 책임이 따른다. 그저 생명을 불어 넣는다고 끝이 아니다. 새로운 시작이다. 이 중요한 시작점에 프랑켄슈타인은 엄청난 실수를 저지른다.

나는 당신의 피조물이니, 내 본래의 왕이자 주인인 당신에게 심지어 순하게 복종까지 할 생각이오. 당신 역시 제 역할을 해준다면 말이오. 오, 프랑켄슈타인, 다른 모든 이들을 공정하게 대우하면서 나 하나만 짓밟지는 말아주시오. 나야말로 누구보다 그대의 공정함, 심지어 관대함과 사랑을 받아 마땅한 존재란 말입니다. 기억해주시오. 나는 당신이 만든 존재라는 것을. 나는 당신의 아담이어야 하는데 오히려 타락한 천사가 되어버렸소.

p126

프랑켄슈타인이 만든 괴물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정말 당황스럽고 혼란스러울 것이다. 덩그러니 세상에 태어났는데 보살피는 이 하나 없는 상황을 견딘다는 자체가 매우 공포스럽게 다가온다. 자신의 창조주에게 버림 받았고, 희망을 갖고 다가선 이들에게 역시 자신의 모습은 그들을 위협하는 괴물의 모습으로 비춰질 뿐이었다. 그러나 죽음에서 사람을 구했지만 괴물의 모습에 사람들은 총을 겨누었다. 복수와 증오의 감정이 차오르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누구보다 착한 심성을 가졌고 언어를 습득하고 지식도 쌓았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를 이해하려조차 하지 않고 괴물로만 여겼다.

인간이 날 연민의 눈으로 봐주지 않는데 왜 나는 그래야 하는지 말해보시오. 나를 저 얼음 틈바구니로 밀어 넣어 당신이 직접 만든 내 육신을 망가뜨리더라도 당신은 그걸 살인이라 하지 않겠지. 인간이 날 경멸하는데 왜 나는 인간을 존중해야 하는 거요? 인간이 친절을 주고 받으며 함께 살아가게만 해준다면 나 또한 해는커녕 나를 받아준 데 감사의 눈물을 흘리며 도움을 되는 일이라면 뭐든 할 것이오.

p186

프랑켄슈타인을 설득하는 괴물의 절규와도 같은 말이다. 사람들에게 괴물로 취급 받더라도 외롭지 않게 여자 피조물을 만들어 달라고 괴물은 프랑켄슈타인에게 부탁한다. 자신을 이해해주는 같은 처지의 사람이 있다면 모두 감내하겠다는 섬세한 감성의 소유자인 것이다. 그저 단 한 사람만을 바랐다.

프랑켄슈타인 역시 자신의 손으로 탄생시킨 괴물에 매우 당황스럽겠지만 책임감이 결여된 모습임에는 분명하다. 소설의 대화를 통해 자신이 창조해 낸 생명의 결정권이 창조자에게 있다고 자연스럽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괴물의 말을 통해 이 자연스러운 사고가 매우 잘못되었음을 설파한다. 프랑켄슈타인의 감정 역시 혼란스럽다. 자신이 의도하지 않았으나 결국 자신의 손으로 악마를 탄생시킨 것이다.

괴물의 부탁을 들어주고자 나름 열심히 노력했으나 생각에 생각을 거듭할수록 두려움이 밀려왔다. 괴물이 자손을 만드는 상황이 올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까지 닿았고 결국은 여자 피조물을 만들지 않기로 결심한다. 그렇게 괴물의 분노는 극에 달한다.

그를 살해함으로써 내 범죄 행각도 끝이 났군요. 불행으로 점철되었던 내 존재 역시 끝을 향해 가고 있소! 오, 프랑켄슈타인! 관대하고 헌신적인 자여! 이제 와서 그대에게 용서를 빈다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 나는 그대가 사랑하는 모든 걸 파멸시킴으로써 돌이킬 수 없이 그대를 파멸시켰는데. 아! 싸늘하게 식었군. 내게 대답을 주지는 못하겠군요.

p286

비극은 과연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일까. 처음은 사고였다. 그저 자신을 이해해주길 바라는 아이를 고른 것일 뿐이었다. 발버둥치는 아이의 목을 조른 살인자가 된 것은 순식간이었다. 자신의 탄생시킨 프랑켄슈타인에게도 자신이 살아갈 수 있는 길을 열어달라고 하나의 부탁을 했지만 철저하게 파괴당했다. 그간 받아왔던 고통과 복수심, 증오심은 모두 프랑켄슈타인에게 향했다.

이 소설은 과연 비극일까. 단순히 비극이라 말할 수 없는 묘한 마무리다. 이 소설의 제목은 프랑켄슈타인이지만 이 책의 주인공이 과연 괴물인지 프랑켄슈타인인지 분간할 수 없다. 그 이름없는 괴물에 연민의 마음이 생겨날 수 밖에 없고, 행복한 삶을 살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렇게 괴물은 자신의 삶을 살아갈 것이다. 지금까지는 불행했지만 앞으로의 그 삶이 행복했으면 좋겠다.


고전 소설을 읽다보면 간혹 책에 영향을 준 소설들이 등장한다. 저자가 직접 언급해 소개하기도 하고 책 내용에 자연스럽게 끼워 넣어 소개하기도 한다. 아래의 책들이 이 책에서 소개되었다. 꼭 읽어보고 싶다.

저자 메리 셸리가 명작이라 꼽은 책들

그리스 비극 <일리아스>

셰익스피어의 희곡 <폭풍우>, <한여름 밤의 꿈>

밀턴 <실낙원>

괴물이 헛간에서 읽은 책들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실낙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