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급등 사유 없음 - 세력의 주가급등 패턴을 찾는 공시 매뉴얼
장지웅 지음 / (주)이상미디랩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주가 급등 사유 없음

"세력의 주가 급등 패턴을 찾는 공시 메뉴얼"





DART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이다. 기업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이 시스템은 주식을 하는 사람이라면 가장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 '세계 어느 나라도 기업에 대한 정보를 한국처럼 인터넷으로 바로 확인할 수는 없다'고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말했다.



주식 투자를 위해서는 다양한 방면으로 공부해야 한다. 다양한 용어에 익숙해져야 하고 차트를 볼 줄도 알아야 한다. 모두가 다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전자공시 DART다. 공시를 확인하는 것으로 부터 우리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책에서는 공시로부터 세력이 가담한 종목을 미리 찾아 충분히 수익을 내고 고점 직전에 빠져 나올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정말 솔깃한 정보가 아닐 수 없다.



저자 장지웅은 15년간 다수의 상장사와 자산운용사, 창업투자회사, 벤처캐피털 등 기업의 인수합병을 주도했다. 이후 세계적인 컨설팅펌과 투자은행에 자문을 제공, 이상투자자문사의 사외이사, 주식교육 전문 채널 이상스쿨 대표강사, 이상미디랩 대표, 이상투자그룹 이사 등 다양한 활동 중이다. 전자 공시에서 세력의 흔적을 찾는 테크닉을 공유하며 일반 투자자를 위해 정보를 아낌없이 책에 담았다.

1. 최대주주변경 공시에서 꼭 확인할 것은 지분인수목적이다.

2. 세력이 M&A를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식은 두 가지다.

시가 총액을 늘린다: 사업적 요소와 자산 평가를 토대로 기업 사이즈를 확장하는 중기적 접근

주가만 띄운다: 단발적인 이슈나 이벤트로 시장의 심리를 활용한 순간적 주가 부양

지분인수목적, 경영 참여입니까? (p72)

최대주주변경 공시에서 지분인수목적을 확인할 수 있는데, '사업영역 확장 및 경영 참여' 혹은 '단순 투자' 등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실제 사업 확장, 경영 참여로 주가가 상승할 수 있으나 세력이 가담하면 실제 기업의 미래에 관심을 두지 않고 단기적인 주식 수익에 목적이 있다. 이를 잘 구분하여 적재적소에 투자하고 수익을 거둬야만 피해없는 주식 투자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하자.

경영 참여 목적으로 최대주주가 변경되면 작업 시작 단계로 보고 주목하자. 특히 사모투자합자회사, 투자조합의 외형으로 최대주주가 변경되면 매수 타이밍으로 볼 수 있다. 단, 이미 30%이상 급등한 상태라면 매수하면 안 된다.

최대주주변경과 사모투자합자회사 (p83)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시점이 매수 시점이 될 수 있다. '사모투자합자회사'의 구조의 최대주주를 주목해야 한다. 세력의 자금이기 때문이다. 최대주주변경 이벤트의 경우 반드시 '유상증자'가 수반되지만 실패시 주가가 정체되며 전체 계획이 실패하며 이후에도 계속 불발됨을 기억하자. 추가로 '투자조합'의 형태로 최대주주가 등장한다면 부동산 관련 기업 인수다. 조합원 자금이 투입되면서 기업가치 증대와 주가 상승이 생겨난다.


52주 신저가 갱신 종목으로 세력이 밥상 차릴 때 공략할 수 있는 틈새 공식

- 외국인 순매수 유입으로 주가 7% 이상 상승 (매수 타이밍)

- 적자가 늘었는데 매출 증가를 공시하면서 급등 혹은 상한가를 형성

- 최대주주변경을 수반하는 유상증자 공시

- 외국계 증권사가 매수창구 상위로 등장

- 매도는 유상증자 물량의 신주상장 시점, 급등 전 시세에서 2배에 이르는 가격대, 투자경고종목 지정예고 공시가 나올 때 정도로 대응

52주 신저가 갱신 후 외국인 순매수에는 먹을 게 있다 (p174)

한국 주식시장은 외국인 수급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흔히 알고 있다. 그런데 시총 2천억원 미만의 종목에서 외국인 순매수가 들어오는 경우는 매우 주의해야 한다. 세력이 신탁 계약으로 외국계 창구를 통해 매수주문을 넣는 경우이니 따라 붙으면 안된다. 그런데 반대로 52주 신저가 갱신 후 외국인 순매수는 수익을 낼 수 있는 매수 타이밍이므로 잘 이용해야 한다.


특정 종목이 시세를 급하게 분출하면 한국거래소는 해당 기업에게 '현저한 시황변동에 대한 조회공시 요구'를 한다. (중략) 한마디로 '주가 급등 사유에 대해서 우리는 모른다', '우리가 보기엔 주가 급등 사유가 딱히 없다'고 세력이 시치미를 떼는 것이다.

아무도 모른다. "주가 급등 사유 없음" (p206)

세력은 실제 코스피 5개 정도, 코스닥 100개 정도 종목에서 활동한다고 한다. 그 중 15%정도로 세력의 작전이 성공한다고 한다. 생각보다 성공률이 낮아 좀 놀랍기도 하다. 다양한 이유가 있으나 세력의 실패가 뭔가 통쾌하기도 하다. 실제 주가가 상승할 때 그 이유를 스스로 분석하라고 요구한다고 한다. 세력에 의해 주가가 올랐으니 '사유 없음'으로 응답한다고 하니 틀린말은 사실 아니다. 급등 종목에 달려든 투자자들에 의한 상승이니 사유 없음이 더 정확할지도 모르겠다.


*****

주식 초보를 주식과 어린이를 합쳐 '주린이'라고 표현한다. 나 역시 주식을 잘 모르는 주린이다. 낯선 용어가 아직도 상당히 많고 공부를 하더라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내용도 많다. <주가 급등 사유 없음>은 세력의 주가 급등 패턴을 공시에서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주린이도 한 번쯤 읽으면 견해가 넓어지고 세력에 대해 약간의 감을 잡을 수 있는 정도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주식에 대해 어느 정도 아는 사람은 이 책을 통해 세력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 및 공부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한다. 공시에 대한 이해가 수반된다면 주식에 대한 시야가 더 넓어진다. 책에 자주 등장하는 CB(전환사채), BW(신주인수권부사채), EB(교환사채), 유상증자 등의 이론은 회계사들도 어려워 한다고 한다. 온전히 이해하기 보다 흐름을 느낀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 세력의 패턴을 익혀 공시를 통해 매매 타이밍을 찾는 일이 중요한 것이다. 세력의 비밀을 책에서 직접 확인하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