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99%가 헷갈려하는 동음이의어
송호순 지음 / 페이스메이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인의 99%가 헷갈려하는 동음이의어

"동음이의어 사전"










뉴스 기사 혹은 책을 읽을 때 간혹 동음이의어로 인해 내용을 잘못 이해하거나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블로그에 글을 적거나 이메일을 작성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단어의 뜻이나 맞춤법에 신경을 쓰곤한다. 잘 모르는 내용은 검색을 해서 새롭게 알게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런 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책 한 권을 만났다. 쉽게 헷갈릴 수 있는 동음이의어와 비슷한 소리를 내지만 다른 뜻을 가진 말들을 한 권의 사전으로 엮어낸 <한국인의 99%가 헷갈려하는 동음이의어>이다.

모쪼록 여기 동음이의어들을 확실히 이해해 많은 분들이 한자어의 숨은 뜻을 익히는 재미와 함께 자기 주도적으로 스스로 알아나가는 즐거움을 누리길 소망합니다.

'일러두기' 중에서

우리말의 동음이의어가 헷갈리는 이유는 바로 한자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사용된 한자의 뜻을 알고 이해한다면 쉽게 그 뜻을 이해할 수 있지만 한자를 잘 모르는 우리 세대는 혼란스럽고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저자 송호순은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고 한자와 관련된 강의를 하고 있다. <필수국어 어휘 500>, <한자문통설 1,2,3급>, <상공회의소 한자시험 국가공인급수> 시리즈 등의 책들을 써냈다.



*****



완전 반대되는 뜻을 가진 동음이의어의 경우는 문맥을 살펴봐도 혼란스러운 경우도 종종 있기에 미리 알아두면 좋다. 평상시에 나를 혼란스럽게 했던 동음이의어들을 몇 가지 아래에 담았다.





동음이의어에 혼란을 느꼈던 가장 첫 순간은 바로 '연패'다. 스포츠 기사나 뉴스를 접하면 만나는 이 단어는 매우 혼란스러운 단어였다. 분명 뉴스의 맥락은 팀이 경기에서 연속으로 이긴다는 뜻인데 '연패'라고 하니 당황스러웠다. 상대팀이 연패한다는 말을 잘못 들은게 아닌가 내 귀를 의심하기도 했다.




매도라는 단어는 이제는 자주 접하는 단어이지만 처음 들었을 때는 이해가 어려웠다. 한자의 뜻을 보고 그 뜻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우리가 한자를 모두 외울 수는 없지만 혼란스러운 단어가 어떤 한자를 사용했는지를 안다면 다음에 더 쉽게 생각나게 된다.





비슷한 소리를 내지만 다른 뜻을 가진 단어들도 다루고 있다. 아직도 결재와 결제가 혼란스럽다. '신용카드 결제', '서류 결재'를 외우는게 더 빠를 것 같다. '자기 개발'은 잘못된 표현이며 '자기 계발'이 맞는 표현임을 꼭 기억해 두자.



'성대 모사'라는 표현이 정확한 표현이다. 그림이나 문학 작품에서 대상을 '묘사'한다는 표현을 기억하자.











'컬쳐300 으로 부터 제품을 무상으로 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솔직하게 작성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