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리버 여행기 (무삭제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7
조너선 스위프트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걸리버 여행기

거짓을 통해 진실을 말하는 풍자문학의 진수




누구나 어린 시절 동화 속 걸리버를 기억한다. 소인국에 간 걸리버가 소인들에 의해 결박당한 채 깨어나는 장면을 기억하고 있다. 어린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걸리버 여행기가 실제로는 풍자 문학의 정수라는 사실에 적지않게 당황했다. 조지 오웰의 찬사를 받는 걸리버 여행기는 성인이 되어 읽어볼만한 고전이다.



지금까지 기억 속의 걸리버 여행기는 소인국 여행뿐이었다. 하지만 책으로 만나는 걸리버 여행기는 총 4부로 구성되어 있고 여러 나라를 여행하는 걸리버를 만날 수 있다. 우리에게 익숙한 릴리핏(소인국) 여행기로부터 브롭딩낵(거인국), 라퓨타(날아다니는 섬), 발니바비, 럭낵, 글럽덥드립, 일본 여행기, 후이늠국(말의 나라) 여행기 까지 만날 수 있다.



한 권의 책 안에 여행기, 판타지, 정치 풍자, 여성 풍자 등을 녹여 담았으며 흥미진진하고 재미있는 묘사와 이야기가 펼쳐진다. 상상력을 자극하는 동시에 풍자와 해학을 담은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는 아는만큼 더욱 재미있고 높은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내가 누워 있는 곳에서 약 4미터 떨어진 곳, 내 오른쪽 귀 위쪽에서 한 시간 이상 뭔가 두드려 만드는 소리가 났다. 사람들이 일을 하고 있는 것 같았다. 고정 핀과 결박 줄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그쪽으로 머리를 돌려보니, 땅에서 약 45센티미터 높이의 임시 가설 무대가 세워져 있었다.

p22

소인국 릴리펏에서 깨어난 걸리버의 모습이 그려진다. 어린 시절 읽었던 걸리버의 모습을 상세한 설명으로 읽으니 머릿속에 상상의 나래가 펼쳐진다. 분명 허구의 세상을 묘사하는 글인데도 매우 상세하며 생동감있다. 정말 겪은 일을 글로 옮겨 놓은 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킬 정도로 상황 묘사가 구체적이다. 내가 정말 그 상황이 되었으면 어떨까를 생각해보며 책을 읽게 된다. 작은 사람들의 크기를 가늠해 보기도 하고, 거인국에서는 나 홀로 작은 사람일 때 어떤 기분일지를 생각해보게 되었다.



릴리펏에서 걸리버는 많은 공을 세운다. 적의 공격에서 나라를 구하고 화재로 인해 소실될 뻔한 상황을 모면하고 물심양면 릴리펏을 도왔다. 그러나 걸리버를 견제하고 시기하는 세력들에 의해 걸리버는 궁지에 몰리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선한 걸리버일지라도 이해관계에 의해 이치에 맞지 않는 이상한 법에 의해 배척의 대상으로 변모하는 상황이다.

나의 작은 친구, 그릴드릭, 자네는 자네 조국에 대하여 아주 그럴듯한 찬양의 말을 했지. 하지만 자네는 무지, 나태, 악덕이 입법자 자격을 얻기 위한 필수 요소임을 아주 명확하게 입증했어. 법률은 그 법률을 왜곡하고 혼란을 주고 회피하려는 자들의 개인적 이익과 능력에 의하여, 임의로 설명되고 해석되고 적용되었지. (중략) 자네 나라의 국민들 대부분은 가장 해로운 자그마한 벌레 같은 족속일세. 자연이 일찍이 땅 위에 기어 다니도록 허용한 벌레들 중에서 말이야.

p162

상상력을 자극하는 여행 이야기와 더불어 걸리버 여행기는 교묘한 풍자의 정수를 보여준다. 거인국 브롭딩낵에서 왕이 걸리버에게 하는 말을 통해 영국에 대한 비판을 펼친다. 걸리버는 자신의 조국을 사랑하고 옹호하려하지만 왕은 실랄하게 비판한다.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을까. 저자는 영국을 옹호하는 애국자임을 밝히고 자신이 힘을 쓸 수 없는 거인국에 가서 영국이라는 나라에 대해 왕에게 냉정한 평가를 받는 이 모습에 감탄이 절로 났다. 역사상 최고의 풍자 문학이라 칭송받아 마땅해 보인다.


라 퓨타(la puta)는 스페인어로는 '창녀'라는 뜻이다. 그러나 그보다는 라틴어 puto에서 온 단어일 가능성이 높다. puto는 '곰곰이 생각하다', '심사숙고하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라퓨타는 '추상적이고 사변적인 생각에 잠기는 사람들의 땅'이라는 뜻이 된다.

p197

라퓨타의 뜻을 설명하는 각주 부분이다. 단어의 뜻을 함께 설명하고 있어 이해를 돕고 있다. 라퓨타를 묘사하는 부분은 재미있고 신기했다. 치기꾼과 멍하니 사색을 즐기는 사람 등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사람들과는 다른 마치 외계의 한 행성 같은 라퓨타를 묘사하고 있다. 자석에 의해 떠다니는 라퓨타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대목 또한 흥미로웠다. 이 책에서만큼은 정말 실존하는 세계인 것이다.

독자는 이런 이야기를 아주 멀리 떨어진 어떤 나라의 이야기라기보다, 유럽이나 영국에서 벌어진 이야기라고 판단할지 모른다. 하지만 여자의 변덕스러움은 어떤 지방이나 국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어디를 가든 똑같을 것이라고 쉽게 상상할 수 있다.

p203

여자에 대한 풍자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새로운 장소인 라퓨타에 머물고 있는 걸리버는 애인에게 달려가는 한 여인의 이야기를 통해 여자의 행동을 풍자한다. 정치적 풍자와 더불어 여성에 대한 풍자까지 서슴치 않는다. 책을 읽다보면 여성에 대한 풍자를 넘어서 여성 혐오적 관점을 가진 저자의 모습을 발견한다.

전반적으로 이 짐승들의 행동은 무척 질서정연하고 이성적이며, 대단히 예리하고 신중했기에 나는 마침내 이 말들이 마법사가 분명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들은 틀림없이 어떤 계획이 있어서 저런 모습으로 둔갑했으리라.

p277

후이늠국(말의 나라) 여행 역시 매우 흥미진진하다. 말들이 사람처럼 사고하고 대화를 하며 살고 있다. 음식은 풀, 귀리 등을 먹기에 걸리버는 적응하기 어렵다. 그러나 말들이 살아가는 세상이 인간 세상보다 더 인간적이다. 사람보다 더 나은 말의 세상은 서로 조롱하거나 비난, 험담, 강도, 정치인, 파벌 등이 없다. 우리가 바라는 유토피아가 바로 이런 곳이 아닐까 싶은 말의 나라다. 인간이란 참 복잡하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도 참 복잡하다. 우리의 인간성에 대해 유토피아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보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