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_일을 쓰는 여자 - 우리는 어떻게 더 인정받고, 전보다 덜 흔들리면서, 마음껏 성장할 수 있을까?
마셜 골드스미스.샐리 헬게슨 지음, 정태희.윤혜리 옮김 / 에이트포인트(EightPoint) / 2020년 2월
평점 :
품절


내_일을 쓰는 여자

열심히 일한다고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다?!





성공의 길목에 서있는 여성들이 많다. 상당한 여성 리더들이 위용을 자랑하며 곳곳에서 능력을 발휘한다.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들에 의해 형성된 현재의 사고방식들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해 진정으로 원하는 성공을 거머쥘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책 <내_일을 쓰는 여자>를 만났다. 실제 사례들을 통해 설명하고 있어 이해가 쉽고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부분들도 많아 큰 도움이 된다.



나는 남자이며 회사원이다. 엄청난 성공을 목표로 하지 않고 워라벨과 롱런을 추구한다. 성공으로 나아가는데 크나큰 관심이 없다. 그런 내가 이 책을 읽은 가장 큰 이유는 여성들이 사회에서 어떤 사고 방식으로 업무에 임하고 접근하는지 궁금했다. 여자 동료들이 많은 편에 속하는 글로벌 회사이기에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에서 책을 읽기 시작했다. 그런데 여성뿐만이 아닌 내 자신에게 해당되는 내용들이 상당히 많았다. 엄청난 성공을 바라보고 있지는 않더라도 현재 나에게 요구되는 자세들이 많았고 큰 도움이 되었다.



자신을 돌아보고 성장의 길로 나아가고 싶은 여성, 뭔가 잘 안 풀리는 것만 같은 남자 직장인, 원하는 직위에 올라 리더의 역할을 수행중인 팀장 등 회사 생활을 하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들이 많다.

여성은 자기 능력과 경험을 이야기할 때 주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일은 한 번도 맡아본 적이 없어서 제가 자격이 될지 모르겠습니다.'라는 말도 많이 하죠. 반면 남성들은 '나는 A라는 일을 잘 하기 때문에 당신이 요구하는 X,Y,Z도 잘 해낼 겁니다.'라고 말합니다.

p110

자신을 어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원하는 자리가 있을 때 적극적으로 말하고 자신이 잘 해낼 수 있음을 어필해야 한다. 말하지 않으면 모른다. 그리고 기회가 왔을 때 자신감을 보여야 한다. 새로운 일을 시작했을 때 어려움은 누구나에게 온다. 그저 새로운 일을 받기 전에 자신감을 보이느냐 보이지 않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남자인 나 역시도 '그저 열심히 일하면 알아 주겠지'라는 마음이 있었다. 허나 내가 해낸 일들을 정리해서 팀장에게 어필하지 않으면 전혀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된 이후에는 내가 해낸 일들을 정리하고 기록해둔다. 내가 얻고자 하는 목표에 대해 언급함으로써 어필하는 노력은 누구나에게 필요하다.

저는 그동안 근면성실하게 일한 덕에 지금에 이를 수 있었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실상을 깨닫고 보니 인맥 관리를 잘할 덕에 성공한 거였어요. 인맥 관리 능력이야말로 제가 승진한 비결이었죠. 이걸 깨닫고나니 자신감이 생겼고, 새 상사에게 더 큰 임무를 맡을 준비가 됐다고 말할 수 있었어요. 무엇보다도 제가 준비됐다는 사실을 저 스스로도 알 수 있었습니다.

p138

성별을 떠나 근면성실하게 일하는 사람들은 많다. 그러한 능력만으로는 승진을 하기에는 부족하다. 여러 요인들이 있지만 인간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함께 일하는 동료 및 고객들과의 관계가 좋은 사람이 더 크게 성장한다. 주변의 평판은 내가 승진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여성들은 인간관계에 능한편이다. 그러나 이러한 친한 관계를 성장의 도구로 인식하지 않으며 그저 친한 관계 만들기에만 관심이 있다. 이를 적극 활용한다면 성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평판 조사 과정에서 베라의 약점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 동료와 부하직원들은 그녀의 열정과 그간 이룬 업적에 경외심을 표했지만, 그녀의 완벽주의 성향이 부담스럽다는 말을 덧붙였다. (중략) '베라는 정말 열심히 일하고 그만큼 성과가 훌륭하다. 하지만 직원들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한다. 그녀는 실패를 두려워한 나머지 너무 세세한 것까지 통제하려 들었고, 그 모습에 직원들은 지쳐버렸다.'

p191

완벽주의적 성향을 가진 여성 리더들이 많다. 기대에 부응하고 인정받기 위해 완벽 주의적 성향의 아이들이 공부도 잘하고 성공의 길에 가깝게 다가간다. 이런 아이들은 회사에서도 완벽 주의적 성향을 보이고 이 성향이 자신의 발목을 잡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완벽함으로 성공 가도에 올랐지만 이 완벽함은 타인을 힘들게 하고 스스로도 힘들게 할 수 있다. 물론 좋은 성향이지만 무엇이든 과하면 체한다. 부하 직원에게 관대하고 믿음을 주는 리더가 되도록 해야 한다.


*****


여성은 남성과 다른 재능을 가지고 있다. 남성보다 리더의 재능이 더 탁월하기도 하고, 인간 관계에 본능적으로 탁월하다. 꼼꼼하게 일을 처리하는 경향이 많다. 남자보다 더 탁월한 분야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저 묵묵하게 일하면 알아 주겠지라며 자신을 어필하지 않고 인간 관계를 업무에 활용하지 않으며 지나친 완벽 주의로 주변 사람을 힘들게 하기도 한다. 여성들은 좋은 무기를 지니고 있지만 이를 잘 활용하지 못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성이든 남성이든 자신의 무기를 잘 파악해서 잘 활용해야 한다.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을 깨닫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수도 있다. 이 책은 냉정하게 자신을 되돌아 볼 수 있도록 도우며 성장의 길로 나아가는 길잡이가 되는 책이다. 회사 생활을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