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 138억 년 전 빅뱅에서 시작된 별과 인간의 경이로운 여정 서가명강 시리즈 9
윤성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

우주와 별에 대한 궁금증이 폭발한다




서가명강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 시리즈 아홉번째 책으로 <우리는 모두 별에서 왔다>를 읽게 되었다.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윤성철 교수의 천문학 이야기를 담았다.



서울대학 교수의 강의 내용을 담았기에 아주 쉬운 내용은 아니다. 그러나 대중을 상대로 하는 서가명강이기에 마냥 어렵게 다룰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는 노력이 엿보인다. 천문학이 지구과학 분야라고만 생각했으나 물리, 생물, 화학을 아우르고 있다. 천문학은 내용 자체가 다양한 과학적 법칙과 이론을 기반으로 하기에 종합 과학 분야라 할 수 있다.



빅뱅우주론, 천동설, 지동설, 전자, 양성자, 중성자, 원자, 초신성 등 매우 낯선 단어들이 등장한다. 들어본 적은 있지만 설명해보라 하면 난감해진다. 이런 우리를 위해 책 서두에 해당 단어들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하고 있으니 너무 겁먹지 말자.

인간은 별의 먼지에서 탄생했다. 인간의 몸 안에는 광활한 우주의 역사가 그대로 체현되어 있다. 우주의 진리는 평범한 인간 안에 있다.

p10

우주가 궁금하다. 직접 볼 수 없는 수십광년이나 떨어진 그 미지의 세계는 손에 닿을 수 없기에 약간 멀리 했다. 천문학은 이토록 알면 알수록 재미있고 신기하며 호기심을 자극하는 분야도 없을 것이다. 우주의 진리가 평범한 인간 안에 있다는 말에 어서 빨리 책을 읽고 싶어 진다.

케플러의 발견 덕분에 지동설은 드디어 천동설보다 더 정확하게 행성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이론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그리고 1608년 이 승부에 쐐기를 박도록 이끌어준 중요한 사건이 일어난다. 네덜란드의 안경장 한스 리페르헤이가 망원경을 발명한 것이다. 이 소식을 접한 갈릴레이는 1609년 스스로 망원경을 제작해 천체를 관측하기 시작한다.

우주의 진정한 민낯 (p55)

망원경의 발명이 없었다면 지금 우리가 아는 우주에 얼만큼이나 다가 설 수 있었을까. 지금은 정말 당연한 망원경이 그 당시에는 정말 획기적인 발명이었음은 물론이며 인류의 발명이다. 우주의 중심이 지구냐 태양이냐 하는 것으로 논쟁을 벌이던 시절인 만큼 망원경의 발견은 천문학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하였음을 부정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우리의 DNA를 구성하는 원소인 수소, 산소, 질소, 탄소, 인, 황이 없었다면 우리가 지금 보는 형태의 생명체는 존재할 수 없었다. 특히 탄소는 화학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안정적인 분자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 원소이기에 생명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

우주의 실험실, 별 (p168)

천문학 강의에 화학은 빠질 수 없는 학문이다. 우주에 존재하는 생명체들을 구성하는 원소들은 익히 들어 알고 있는 것들이다. 우주의 어느 곳에 우리가 알지 못하는 원소의 존재가 있지 않을까 하는 내용의 영화들을 종종 만나본다. 아이언 맨이나 슈퍼맨을 볼 때 등장하는 우주에서 온 지구상에 없는 원소가 엄청난 에너지를 보유한다는 내용은 우리들의 흥미를 불러 일으킨다. 생명체가 단 몇 개의 원소로 구성이 된다는 사실에도 놀랍고 인간이 이 원소를 바꾸기 위한 연금술에 부단한 노력을 했으나 모두 실패했다는 점도 흥미롭다.


결국 우리 모두에게는 빅뱅과 별과 물질의 순환을 통해 이루어진 전 우주의 장엄한 역사가 새겨져 있다. 그러니 만약 하늘의 별에 관해 알기 원한다면 저 하늘을 보기 전에 먼저 거울 앞에 선 우리 자신을 바라보는 시간을 갖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거울에 비친 당신은 우주 역사의 체현이다.

우주 역사를 체현하는 인간 (p200)

태초에 우주가 탄생한 방식인 빅뱅이론은 참 흥미롭다. 추측하는 이론이지만 매우 그럴싸하다. A4용지가 매끄럽지만 사실 확대해서 보면 그 면이 완전히 매끄럽지 않다는 것에 기반한 설명에 아주 이해가 쉽다. 밀도의 차이와 중력의 작용으로 빅뱅 이후 현재의 우주의 모습으로 서서히 변화되었다는 추측은 매우 과학적이다. 그 우주의 탄생과 지금의 나의 연결고리는 정말 놀라운 일이 아닌가.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는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다. 우리 은하에 외계 행성계가 수천억 개가 있고, 그 중 일부에는 지적 생명체가 있다면, 왜 우리는 외계 문명의 증거를 아직 찾지 못했을까? 이 질문은 흔히 '페르미의 역설'이라 불린다.

페르미의 역설 (p228)

외계인은 정말 존재할까? 수많은 추측들 속에서 외계인의 존재를 두고 논쟁을 벌이기도 하고 UFO를 찍은 사진이 나오는 등 모두가 흥미롭게 생각하는 주제다. 이 넓고 넓은 우주에 다른 생명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믿기 어렵지만 아직 그 존재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페르미의 역설 또한 설득력있다. 외계인의 모습을 추측해보는 것만으로도 참 재미나다.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오랜만에 우주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니 설레는 마음이 샘솟는다. 어린 시절로 돌아간 듯한 기분이 들고 밤하늘을 보고 싶어진다. 알면 알수록 궁금해지는 우주와 별에 대한 이야기는 누구나 호기심을 갖고 접근할 수 있는 상식과도 같은 분야가 아닐까. 상식이라고 하기에는 분명 어렵고 난해한 이론들이 많지만 그저 그 어려움을 즐기는 것도 나쁘지 않다. 이 책을 통해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에게 듣는 고퀄리티 강의를 모두 수강해보시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