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 미트 - 인간과 동물 모두를 구할 대담한 식량 혁명
폴 샤피로 지음, 이진구 옮김 / 흐름출판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린 미트

고기의 미래 '청정 고기'를 맛보다




가축으로 부터 고기를 얻기 위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문제들이 있다. 토지 사용, 물 소비, 곡식 소비, 온실가스 배출, 항생제 문제, 질병, 폐기물 처리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된다. 우리는 그저 식탁에서 맛있게 고기를 먹기만 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생명 윤리 문제, 자연 환경 파괴 등의 문제가 있다는 점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이 책을 읽기 전까지 고기에 대한 별다른 생각이 없었다. 잘 몰랐다는 표현이 정확할 것 같다. 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이 생각 이상이었다. 기존의 고기가 인간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해를 입히기도 한다. 항상제 및 환경 문제는 직접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빠른 시일 안에 우리는 마트에서 청정 고기를 만날 수 있지 않을까. 기존의 고기 생산 체제에서 완전히 벗어난 새로운 시도의 청정 고기는 많은 기업이 관심을 갖고 열정적 투자가 이루어 지고 있다.

우리는 30년 안에 더 이상 어떤 동물도 죽이지 않고 모두 동일한 맛의 청정고기나 식물성 고기를 먹게 되리라 믿습니다. 언젠가 우리는 할아버지 세대가 고기를 먹기 위해 동물을 죽이던 모습을 돌아보며 옛날에는 그런 시절도 있었다고 이야기할 것입니다.

p29

5년 혹은 10년, 늦는다면 30년 안에 새로운 패러다임은 우리 생활 안에 녹아들 것이다. 지금은 시작 단계에 불과하지만 이미 청정 고기 제조는 성공했다. 청정 고기를 사용해 만든 1개에 33만 달러짜리 햄버거 시식회는 매우 성공적이었다. 상용화를 위한 복잡한 과정을 해결하고 소비자 인식이 좋아진다면 무리없이 청정 고기를 식탁에서 만나는 날이 도래할 것이다.



세상은 변한다고 역사가 말해준다. 고래 기름을 얻기 위해 수많은 고래들이 사냥되었으나 등유의 발견으로 고래 사냥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에디슨의 전구가 개발된 이후 등유는 찾아 보기 힘들다. 과거의 이동 수단이었던 말과 마차의 시대에서 사람들은 모두 빠른 말을 원했다. 핸리 포드의 내연 기관에 의해 길거리에서 말을 찾아보기 힘들어 졌다. 이렇게 시대는 새로운 개발에 의해 점차적으로 변모한다. 비윤리적이며 각종 문제를 안고 있는 공장식 사육이 청정 고기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날이 머지 않았다.

현대화된 무두질의 특징으로서 이때도 폐수는 그냥 하수도로 흘려보내게 된다. 환경법이 느슨한 인도, 방글라데시 등 대규모 가죽 생산 국가에서 이런 일이 흔하다. (중략) 2009년 가죽 공장 때문에 갠지스강이 심각하게 오염되자 정부는 인도 가죽의 중심지 칸푸르에서 규정을 심각하게 지키지 않는 작업장을 100곳 이상 강제 폐쇄했다.

p129

가죽을 만드는 일이 환경을 파괴할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치 못했다. 가죽을 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두질이 필수적이다. 과거와 달리 현대는 화학적 방식으로 무두질을 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화학적 폐기물이 발생하고 이는 심각한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된다. 그런데 이런 청정 고기 생산 방식처럼 실험실에서 청청 가죽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소 도축도 필요가 없다.



실험실에서 생산된 가죽은 사람이 먹는 청정 고기만틈의 거부감도 없다. 필요한 가죽을 요구에 맞게 비교적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실제 거미줄로 옷을 제작해 판매한 일이 있다. 실험실에서 생산되는 가죽이 의류 및 패션 업계의 미래가 되는 날은 바로 코 앞에 있다. 매우 기대되는 분야다.

배양 고기의 이점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이런 질문만 했을 때는 대학생 응답자 가운데 61퍼센트가 '아마도 먹을 것이다' 또는 '꼭 먹겠다'라고 답변했다. 배양 고기의 윤리적, 신체적, 환경적 이점을 들었을 때는 동일하게 답변한 사람이 77퍼센트로 치솟았다.

p174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나 역시 인위적으로 실험실에서 만들어지는 고기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다. 하지만 그 실체를 알고 나니 오히려 더 건강하고 사람에게 이로운 고기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저 정보를 접했을 뿐인데도 청정 고기에 대한 나의 인식이 180도 달라졌다. 그렇기에 나는 청정 고기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충분히 개선될 수 있다고 본다. 그저 시간의 문제가 아닐까.



한 가지 의외의 사실은 청정 고기에 대해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더 관심을 보인다는 데 있다. 고기 자체에 관심이 없는 채식 주의자들이 오히려 청정 고기에 거부감을 보인다. 유전자 조작 혹은 인위적 생산으로 치부하기에 그런 듯 하다. 반대로 공장식 사육에 거부감을 갖고 고기를 먹지 않는 채식 주의자 혹은 고기 반대 주의자들은 청정 고기를 환영한다.

간드, 판드야, 다타는 실제로 효모세포를 만들어 우유 단백질을 생산할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중략) 그리고 2014년 6월, 판드야는 <뉴사이언티스트>의 '빅 아이디어' 코너에 "소를 키우지 마세요, 그래도 우유는 마실 수 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글을 실었다.

p247

젖소에게서 우유를 얻기 위해 소의 임신기, 착유기 유지, 호르몬 및 항생제 사용 등 윤리적 문제들 역시 발생한다. 방금 태어난 송아지와 어미소를 분리 시키고 젖이 잘 나오도록 하는 방식은 말만 들어도 비윤리적이다. 이런 일련의 과정은 모른채 우리는 우유를 마신다. 표모 세포를 만들어 우유 단백질을 만든다는 방식은 획기적이다. 우유를 젖소가 아닌 맥주처럼 만드는 방식을 연구한다. 청정 고기를 만드는 것보다 훨씬 간단하다고 한다.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고기 소비 역시 증가한다. 세계 고기 소비는 점차 늘어가면서 환경은 파괴되고 비윤리는 자행되고 있다. 클린 미트는 우리의 미래다. 우리가 적극적으로 받아들어야만 하는 미래의 방향이다.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는 항상 있어왔다. 본능적으로 인간은 낯선 것에 거부감을 보인다. 아직 가야할 길,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 있지만 허무맹랑한 이야기들이 아닌 현실적인 과학이다. 우리의 식탁이 어떻게 달라질지 벌써부터 흥분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