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고고학의 진짜 매력을 알다
저자 강인욱은 현재 경의대 사학과 교수로 고고학을 강의하고 있다. 초등학교부터 고고학자를 꿈꾸며 살아왔고 매년 러시아, 몽굴, 중앙 아시아 등을 다니며 자료를 조사한다. 고고학에 평생을 바쳐 살아온 강인욱 교수의 고고학의 경험과 자신의 생각을 나누며 함께 고고학 여행을 떠난다.
어디론가 여행을 가는데 옆 자리에 고고학의 심취한 사람 하나가 앉았다. 그리고 나에게 고고학에 대해 알기 쉽게 이야기한다. 그림을 보여주면서 흥미를 유발하고 자신의 생각도 이야기 해주니 기나긴 여행이 매우 흥미롭다. 고고학에 큰 관심이 없었지만 알뜰살뜰한 설명이 나를 고고학에 관심 갖게 만든다
고고학은 쉽게 설명하면, 유물을 연구해서 과거 사람들의 살아가는 모습, 지식, 문화 등을 밝히는 것이다. 인간은 왜 그렇게 과거 사람들의 모습에 관심이 많았을까? 단순한 호기심 때문에? 그렇지 않다. 그건 바로 과거를 생각하고, 이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인류의 진화하는 숙명에 기인한다.프롤로그 중에서 (p22)
고고학은 쉽게 설명하면, 유물을 연구해서 과거 사람들의 살아가는 모습, 지식, 문화 등을 밝히는 것이다. 인간은 왜 그렇게 과거 사람들의 모습에 관심이 많았을까? 단순한 호기심 때문에? 그렇지 않다. 그건 바로 과거를 생각하고, 이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는 인류의 진화하는 숙명에 기인한다.
프롤로그 중에서 (p22)
고고학에 대해 관심을 갖고 책을 읽어본 적도 없다. 그저 내 관심 밖의 일이었다. 최근 역사와 관련된 책을 하나씩 읽으면서 역사란 참 재미있는 학문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고고학은 역사와 그 맥락이 비슷하다. 과거의 문헌과 물건을 통해 과거를 연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고고학을 통해 역사가 드러나기에 역사와 고고학은 뗄 수 없는 관계인 것이다. 이 책을 통해 고고학에 한 걸음 다가가 본다.
고고학 발굴에서 시간의 무게를 가장 견디지 못하는 것이 바로 시각적인 아름다움, 색채이다. 사진이나 책은 가장 먼저 색부터 바랜다. 아무리 아름다운 옷이라고 해도 땅속에 버려지면 얼마 지나지 않아 원래의 색을 잃어버린다. 때문에 색이 잘 남아 있는 유물을 발견하면 강렬한 인상으로 남게 된다.6 빛바랜 유물에 숨어 있는 화려함 (p117)
고고학 발굴에서 시간의 무게를 가장 견디지 못하는 것이 바로 시각적인 아름다움, 색채이다. 사진이나 책은 가장 먼저 색부터 바랜다. 아무리 아름다운 옷이라고 해도 땅속에 버려지면 얼마 지나지 않아 원래의 색을 잃어버린다. 때문에 색이 잘 남아 있는 유물을 발견하면 강렬한 인상으로 남게 된다.
6 빛바랜 유물에 숨어 있는 화려함 (p117)
과거의 빛바랜 유물을 꺼내는 고고학자들은 현재의 모습을 보는 동시에 과거의 가장 화려했던 시절의 모습을 떠올린다고 한다. 색이란 참 얄궂다. 과거의 화려했던 모습은 사라지고 흙빛, 갈색빛만 남은 유물들은 원래의 모습과는 꽤 다를 것이다. 죽은 사람을 대신했던 석인상은 원래 옷을 입히고 채색을 했다고 한다. 지금은 돌의 모습만 남아 있으니 마네킹과 같은 셈이다. 고고학이란 학문이 이럴 것이다. 마네킹을 보고 옷이 입혀진 과거를 찾는 일이다.
고고학적으로 보면 귀이개를 가장 오래 전부터 사용한 건 중국이었다. 약 3200년 전 중국 상나라 무정왕의 부인이었던 부호묘의 여러 부장품 중에서 옥으로 만든 귀이개가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귀이개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10 몸에 새겨진 시간의 기억 (p187)
고고학적으로 보면 귀이개를 가장 오래 전부터 사용한 건 중국이었다. 약 3200년 전 중국 상나라 무정왕의 부인이었던 부호묘의 여러 부장품 중에서 옥으로 만든 귀이개가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귀이개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10 몸에 새겨진 시간의 기억 (p187)
침과 문신에 대한 챕터 <10 몸에 새겨진 시간의 기억>에서 나는 귀이개에 관심이 생겼다.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아무 의심없이 당연하게 사용하는 귀이개의 시작은 어디였을지 문득 궁금했다. '귀파기의 기원'에서 간단히 다루고 있는데 관심이 가는만큼 흥미로웠다. 부호묘에서 발견된 귀이개의 모습은 현재의 귀이개보다 기능적으로 큰 차이가 없어 보이며 더 아름다워 보인다. 물고기 모양의 귀이개가 매우 신비롭게 보일 정도다. 내가 귀이개를 보고 아름다움을 느낄 줄이야.
그 연구원이 말했던 발견이 3센티미터가 되지 않는 자그마한 손끝의 뼈에 관한 것이었고, 그 주인공이 네안데르탈인과는 다른 새로운 인류인 '데니소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18 고고학이 밝히는 미래 (p306)
그 연구원이 말했던 발견이 3센티미터가 되지 않는 자그마한 손끝의 뼈에 관한 것이었고, 그 주인공이 네안데르탈인과는 다른 새로운 인류인 '데니소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18 고고학이 밝히는 미래 (p306)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고고학의 첨단 기술도 발전한다. 기술의 발전은 과거를 더욱 잘 알게 하는 힘이 된다. 알 수 없었던 과거의 사실들이 첨단 기술 발달로 인해 더 잘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으로 더욱 고고학은 발전할 것이다. 새로운 발견으로 인해 지금까지 우리가 알던 잘
못된 상식이 바로잡힐 수도 있고 진짜 과거를 만날 수 있다. 그렇기에 고고학은 매력있는 학문이다.
정말 다양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어 서평에 모두 담을 수 없다. 불, 술, 음악, 향기, 젓갈, 트로이, 문신, 전쟁 등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는 18개의 챕터가 준비되어 있다. 하나의 챕터마다 깊이 있는 고고학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더욱 궁금해진다. 고고학의 진짜 매력을 대중에게 전하고 싶어하는 강인욱 교수의 마음을 이 책을 통해 느낄 수 있었다. 고고학이 참 매력적인 학문임에는 이견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