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이 묻고, 톨스토이가 답하다 - 내 인생에 빛이 되어준 톨스토이의 말
이희인 지음 / 홍익 / 201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인생이 묻고, 톨스토이가 답하다

톨스토이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키다

러시아 문학의 거장 대문호 톨스토이는 톨스토이즘이란 말이 생겨날 정도로 팬덤이 상당했고 지식인들의 찬사를 받은 몇 안되는 후세에 길이 남을 작가다. 톨스토이가 쓴 책이 상당히 많은데 부끄럽게도 아직 한 권도 읽지 못했다. 많은 책을 펴낸 톨스토이의 문학에 다가서고 싶다. 어떤 책을 먼저 읽는 것이 좋을 것인가에 대해 <인생이 묻고, 톨스토이가 답하다>는 톨스토이에 대한 나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했다.

책을 읽으면서 저자 이희인에 대해서 궁금했다. 어떻게 이토록 톨스토이의 책들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들을 제시하는지 참으로 대단하게 느껴졌다. 톨스토이의 책뿐 아니라 다양한 고전들과의 연결고리를 제시하며 톨스토이 문학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을 전한다. 가독성이 좋을뿐 아니라 이와 동시에 톨스토이 문학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켜주는 목적을 확실하게 달성하고 있다.

이 책을 읽고 <안나 카레리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 특히 관심이 생긴다. 톨스토이가 쓴 책이 상당히 많지만 이 책들 만큼은 꼭 읽고 싶은 마음이다.


<안나 카레리나>는 삶과 세상에 대한 작가의 모든 고민, 모든 생각이 망라돼 있는 백과사전적 소설이다. 그가 평생 고민하고 궁구한 인생의 모든 문제들이 소설 안에 많든 적든 담겨있다. (p53)

<안나 카레리나>는 수많은 불륜 드라마를 접한 우리 세대에 어떻게 다가올지가 매우 궁금하다. 대략적인 줄거리는 알고 있지만 다양한 주제를 세심하게 다루고 있기에 많은 찬사를 받는 이 책에 가장 큰 관심이 생긴다. 3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어 큰 마음을 먹고 읽어야 하겠지만 내 인생에서 꼭 읽고 싶다. 또한 톨스토이의 분신과도 같은 존재라고 하는 레빈에 대한 인물을 직접 책에서 만나보고 싶다. 직접 톨스토이를 만날 수는 없지만 책에서 그의 분신 형태로 만나볼 수 있다는 자체로 뜻 깊은 만남이 될 것만 같다.

왜 비유를 쓰는가? 민중들을 이해시키고 설득하기 위해서다. 지식과 논리로 무장한 지식인의 날카롭고 어렵고 차가운 말들이 아니라, 삶의 경험과 공감이 묻어나는 따뜻한 민중의 언어가 그 비유 속에 담겨 있다. (중략) 노년에 이르러서는 아이들뿐만 아니라 농민과 민중들이 그리스도의 말씀을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우화, 민화 등을 집필했고 동서고금의 지혜와 명언을 모은 책도 저술했다. (p78~80)

보유하고 있는 열린책들 출판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책을 찾아보니 이는 단편집의 제목으로 사용된 것으로 <바보 이반>과 <사람에게는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도 포함하고 있어 부담없이 먼저 읽어볼 수 있겠다. 톨스토이는 장편 소설뿐 아니라 우화나 단편들 50편을 써냈다. 그의 인생 절정기에 써낸 작품들이며 민중들에게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가 쉽게 책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 노력을 엿볼 수 있다. 그가 칭송받는 이유 중 하나가 이에 해당할 것이라 생각한다.

이 책을 읽기 이전에 만약 <바보 이반>을 읽었더라면 그저 재미나고 황당한 우화라고 여기고 넘겼을 것이다. 이희인 저자의 <바보 이반>에 대한 해석이 매우 유용하다. 노동을 신성시한 톨스토이의 신념이 녹아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톨스토이의 책 곳곳에 담겨있는 노동에 대한 톨스토이의 생각을 잘 몰랐더라면 눈치채지 못하고 넘어갔으리라. 아는만큼 보인다고 했던가. 때론 잘 아는 사람의 눈을 통해 더 넓게 보는 것이 나에게 이로울 수 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그 적지 않은 분량을 '오로지' 죽음의 문제에 할애하고 있다. 실험실 안에 사람을 넣어 두고 실험실 창문을 통해 그를 면밀히 관찰하는 눈 매서운 의사처럼 작가의 깊고 세심한 관찰력이 느껴진다. (p130)

죽음에 대한 심도있는 고민은 누구에게나 한 번쯤 거치는 필수불가결한 과정일 것이다. 그러나 사람마다 얼마만큼 깊이 있는 생각을 하느냐의 차이는 있을 것이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죽음을 실제 경험하지 못한 예순 가까운 노년의 톨스토이가 죽음에 대해 매우 심도있고 세심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한다. 그 표현들이 어떠할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톨스토이 작품들을 사전정보 없이 접근했다면 참담한 패배를 맛보지 않았을까. 어찌어찌 책을 읽었다고 한들 그 깊이 있는 톨스토이 문학의 반의 반도 이해하지 못했을 것만 같다. 지식인의 반열에 들어가기 힘든 그저 나같은 책을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이러한 <인생이 묻고, 톨스토이가 답하다> 책은 참으로 고마운 책이다. 톨스토이에 대해 이해하고 톨스토이 문학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인 셈이다. 마치 톨스토이가 민중들에게 우화를 통해 지혜를 전하고자 했듯이 저자 이희인도 우리에게 톨스토이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서도록 도와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