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포루스 과학사 - 동서양을 넘나드는 보스포루스 인문학 1
정인경 지음, 강응천 기획 / 다산에듀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최근 몇몇 연구는 구석기인들이 농사짓는 법을 몰라서 안 한 것이 아니고 알면서도 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농사법을 알고 있었지만 수렵채집의 생활 방식을 바꿀 절박한 동기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어느 시점에 이르러 농사짓기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놓였다. 자연환경이 변한 것이다!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인간도 변화해야 하는 상황으로 내몰렸다. 살아남기 위해서 적응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죽을 수밖에 없는 진화적 압력을 받았던 것이다. - P29

이슬람의 정복과 제국의 건설은 고대 문명의 중심지들을 다시 연결했다. 알렉산드리아의 헬리니즘 문화, 페르시아와 인도의 지적 전통이 하나로 결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특히 이슬람인들은 기독교인, 유대인, 조로아스터교도 등 이교도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 중세의 이슬람 세계는 활력이 넘치는 과학 문화를 창조하며 9세기에서 14세기까지 적어도 500년 동안 번창했다. - P111

이와 같은 이슬람의 번역 사업은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고 200년 동안이나 지속된 사회적, 역사적 현상이었다. 또한 정치 엘리트들부터 학자와 전문가, 군인, 상인 등이 참여한 범사회적인 문화 운동이었다. - P113

그리고 우리의 유일한 바람은 특이한 유럽 전통의 결점이 비...유럽권 문명을 오염시키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과 이슬람의 과학에서는 과학과 윤리의 분리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지만, 과학혁명이 일어났을 때 아리스토텔리스의 목적인...이 버려지고 윤리가 과학에서 떨어져 나가자 사태는 급변하고 말았다. ... 과학은 종교, 철학, 역사, 또는 미적 경험과 보조를 맞추어야 한다. 과학이 독자적으로 행동한다면 큰 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오늘날 우리가 간절히 바라는 것은 근대과학의 발전으로 인류가 손에 넣은 원자력 병기들의 막강한 파괴력이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의 통제를 받고, 미친 인간이 인간뿐만 아니라 지구상이 모든 생명체를 전멸시킬 수 있는 이 무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견제하는 것이다. - P139

천문역법에서 보다시피 세종은 뚜력한 전략을 가지고 있었다. 조선이 뛰어넘어야 할 산인 중국을 공략하고 그다음이 조선의 독자성을 추구한다는 전략이었다. 당시 중국은 세계의 중심이었고 대부분의 선진 문물은 중국으로부터 생산되어 주변국으로 흘러들어 가고 있었다. 세종은 중국의 최신 지식을 검토하고 조선에 맞는 과학기술을 추구했다. 조선은 더 이상 중국의 아류가 아니며 조선은 중국과 다른다는 것! 세종은 이러한 생각을 천문학 분야뿐만 아니라 농학, 의학, 음악 등의 모든 분야에 관철시켰다. - P151

유럽인들은 근대과학이 이성적이고 객관적이라고 자부했지만 그 안에 함정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을 몰랐다. 가치 중립적인 과학이 정치적으로 이용될 소지가 더 많다는 것을 말이다. 나중에 뉴턴 과학과 계몽사상은 유럽인들이 문명이라는 이름으로 식민지 정복을 정당화한 이데올로기의 핵심이 되었다. 백인들이 원주민들을 지배하며 내세워던 ‘문명화의 사명‘에서, 그 문명의 개념은 유럽이 역사적으로 발전했다고 생각하게 만든 과학과 기술에서 나왔다. 과학사학자 니덤은 도덕이 배제된 자연철학잉 동양에서는 나올 수 없다는 것을 일깨웠다. - P276

서양 과학이 동아시아 삼국에 전해졌을 때, 각국마다 받아들이는 양상은 달랐다. 특히 지리적 위치는 서양 과학기술이 전래되는 데 주요 변수였다. 유럽 세력에 쉽게 노출되는 위치에 있었던 일본은 서양 선교사와 상인들이 접근하기 용이했다. 하지만 중국의 그늘에 가려져 있었던 조선은 서양 선교사[와]의 만남조차 19세기에 가서야 이루어졌다. 중국과 일본에 비하면 300년이나 늦었던 셈이다. - P294

이러한 식민지 착취의 패턴은 유럽과 미국, 일본 등의 제국주의 세력이 침략했단 곳곳에서 그대로 반복되었다. 서양 과하기술과 산업의 성공은 다른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산업화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짓밟았다. 식민지 지배는 과학기술과 산업을 신민지 현실에 맞게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를 빼앗았던 것이다. 그 이후 식민지였던 나라들은 정치적으로 독립을 해도 경제적 종속 상태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다. 20세기 전 세계로 퍼진 산업화는 불평등을 양산했고 부유한 나라와 가난한 나라의 격차를 심회시켰던 것이다. - P4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스포루스 과학사 - 동서양을 넘나드는 보스포루스 인문학 1
정인경 지음, 강응천 기획 / 다산에듀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또렷한 질문 but 살짝 부족한 답안지. 16C 이래 세계자본주의의 발달을 스킵하여 제국주의가 갑툭튀가 됨. 과학과 윤리(?)의 분리가 서구 과학혁명의 치명적 결함이라고 좀 성급히 답을 내는데, 세속화된 사회(동양은 원래 서양은 점점)에서 과학은 늘 정치(&시장)에 복무했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지 9 - 3부 1권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마로니에북스) 9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평사리에서 용이와 홍이가 처음 맘 터놓고 나누는 대화에 주책 없이 눈물이 줄줄 흘렀음. 한복이가 새로운 에이전트로 등장. 덕분에 소설에서 다시 못보나 싶었던 주갑씨도 다시 보게 되고. 서희와 길상의 삶은 not bad. 아이 낳고 나면, 밥벌이의 압력만 없다면 각자 하고 싶었던 일 하며 사는 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지 8 - 2부 4권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마로니에북스) 8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두 사람이 떠남. 영원히 떠나는 월선의 의연함에 한참 울었다. 그와 용의 마지막 대화는 간결하고도 절절하다. 길상도 떠났는데, 그가 자신의 결정에 대해 서희에게 어떻게 설명했는지 아니 설명이나 했는지 알 수가 없다. 환을 만나고 세상 간단한 이분법 아님을 깨달으며 서희가 놓아준 것도 있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성인, 아마조니언 되다 - 삼성, 아마존 모두를 경험한 한 남자의 생존 보고서
김태강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존에서는 왜 PPT를 사용하지 않고 글을 쓰는 걸까.
글은 PPT보다 더 많은 고민을 하게 만든다. ......
두 번째로 글에는 숨을 곳이 없다. ......
마지막으로 글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 P21

"상사의 질문에 답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아니라면 굳이 바로 대답하지 마라. 나도 빠른 답변을 기대하지 않을 것이다." - P38

아마존은 직원들에게 상상 이상의 결정권을 부여한다. 아마존은 스스로를 세상에서 가장 큰 스타트업...이라고 소개한다. 그만큼 직원들이 그 제품의 대표가 되어 중요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한다. 제품을 개발하는 데 어떤 방식으로 개발할 것인지에 대한 최종 결정은 각 담당자가 직접 내린다. 물론 상사 역시 관여하기는 하지만 결국 결정내리는 사람은 담당자다. 매니저는 부하 직원이 가장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열심히 조언해줄 뿐이다. - P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