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요즘 움베르토 에코 소설 "프라하의 묘지"를 읽고 있다. 근데 오늘 읽다가 갑자기 '오잉?' 하는 부분이 있었다.

바로 이부분


-게다가 진본이 있는 문서의 위본을 만드는 짓은 설령 진본의 반만 베끼는 것이라도 하지 말아야 한다. 그건 절대 금물이다! 어딘가에 진본이 존재한다면, 누군가 그것을 찾으러 갈 사람이 반드시 있게 마련이고, 그러면 무언가 부정확하게 옮겨진 게 있다는 사실이 드러날 수 있다. 문서가 설득력을 얻기 위해서는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원본을 드러내지 말고 그것에 관한 낭설을 흘림으로써 사람들이 실제로 존재하는 출처로 거슬러 올라가지 못하게 해야 한다. 성경에 나오는 동방 박사 이야기가 하나의 본보기가 될 것이다. 복음서 저자들 가운데 동방 박사들에 관해서 기술한 사람은 마태오뿐인데, 그는 몇 절을 할애하여 그들을 언급하기는 했으나, 그들의 이름이나 명수는 말하지 않았고 그들이 임금이었는지 아닌지도 말하지 않았다. 그가 기술한 것을 제외한 나머지 이야기들은 그저 풍문이고 전승이었지만, 사람들은 동방 박사를 요셉과 마리아만큼이나 사실적으로 받아들인다. -


프라하의 묘지 1권 354 - 355 쪽


나는 이때까지 동방박사는 3명이라고 알고 있었다ㅋㅋㅋㅋㅋ어릴때 열심히 주일학교 가서 들었던 풍월이다. 삽화나 만화같은 것에도 동방박사는 3명이 그려져 있었던거 같은데 말이다. 그냥 3명이라고 아무 의심없이 알아왔는데, 오늘 이 부분 읽고 확인해 보니 성경에서 진짜로 동방박사가 몇명인지 정확히 나오지 않았다는 거다ㅋㅋㅋㅋ

뭐 별거 아닐 수도 있지만 나에게는 쫌 놀라운 발견이었다. 

그래서 성경을 찬찬히 읽어봐야 할까 하는 마음이 살짝 들기도 했지만 에잇 귀찮아 성경책은 생각만해도 귀찮아ㅜㅜ

언젠간 읽어보겠지만 지금은 아니다^^;;




2.

날씨 좋은 5월. 요즘 우리 집에 핀 꽃 사진들을 올려본다. 





작약. 아직 꽃망울 상태인 것들도 있고 조금씩 피기 시작하는 것도 있고. 예쁜 작약.




  

금낭화. 너무 귀엽다ㅠㅠ




얘는 붓꽃. 꽃이 활짝 펴 있으면 왜 붓꽃이라고 하는지 감이 안온다. 하지만 




요렇게 꽃봉오리는 붓같이 생겼다. 그래서 붓꽃~ 근데 난 붓꽃은 활짝 핀것보다 봉오리 상태가 더 예쁘다.




요즘 마당 한 켠.

푸릇푸릇 


여름이 오고 있다. 자 이제 나는 다이어트를 해야겠다ㅋㅋㅋ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