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내가 나에게 증정한 내돈 내산 책이닷ㅎㅎㅎㅎㅎ)




나는 제프리 유제니디스의 장편소설 미들섹스결혼이라는 소설두 편을 읽었고 그 후 작가에 대해 신뢰를 갖게 되었다. 그래서 신간으로 이 단편집이 나왔을 때 망설임 없이 구매했다. 사실 나는 단편 취향이 아니라서 단편집은 잘 사지도 읽지도 않지만 이 작가의 단편이라면 읽어볼까 하는 마음이 생길정도로 장편을 꽤 인상적으로 읽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 단편집을 다 읽어본 결과 기대와는 다르게 썩 내 마음에 들지 않는 작품들도 여러 편 있었다. 물론 좋았던 것도 있었고. 그러니까 좋았던 것과 별로였던 것이 골고루 들쭉날쭉 섞여 있다고나 할까.

 

 

먼저 이 작가의 장편 소설을 읽었으면 친숙할 단편이 두 편 보인다. “항공 우편신탁의 음부”. 

항공 우편결혼이라는 소설속에서 짝사랑으로 마음 아파하다가 친구 래리와 인도와 동남아시아로 여행가는 미첼이 등장한다. 작가가 미첼이라는 캐릭터를 장편소설을 쓰기 전에 어떻게 구상하고 있었는지 살짝 들여다볼 수 있어서 흥미롭긴 했다. 하지만 모호하고 몽환적인 느낌의 이야기는 내가 좋아하는 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크게 인상적이진 않았다.

 “신탁의 음부에서는 미들섹스에서 주인공에게 여성으로 살 것을 진단했던 박사가 다시 등장한다. 근데 이 단편은 좀 너무 징그럽고 상상하기 싫어서 다시 떠올리고 싶지가 않다. 너무 어린 아이가 그렇게 달려드는 장면은 정말이지.......

 

베이스터는 통통 튀는 시트콤 같은 느낌의 단편이 될 뻔하다가 마지막에 가서 공포물이 되어버렸다. 이런 결론을 내놓고 발랄한 톤이 끝까지 유지 된다는 게 너무 섬뜩했다.

40살에 잘나가는 방송국 PD인 미혼의 토마시나는 아이를 낳고 싶어서 정자만 얻고자 한다. 우월한 유전자의 남자들을 물색하던 중 드디어 모든 조건이 만족스러운 남자를 찾아냈다. 그런데 이미 누구의 정자를 받아서 아이를 가질 것인지 합의가 다 된 이 상황에 키가 163cm라 우월한 유전자로 선택받지 못한 전 남친이 끼어든다. 그는 받아놓은 정자에 몰래 심술 맞은 짓을 해버린다.

이 단편을 읽으면서 나레이터인 전 남친이 너무 소름끼치고 결말도 저걸 어쩌나 싶어서 참 심란하면서 약간 불쾌하기까지 했다. 토마시나 입장에서는 진짜 너무 뜨악스러운 상황이 아닌가 말이다.

 

이 단편집 중 가장 최근작은 2017년에 나온 신속한 고소인데, 이거 읽으면서도 기분이 영 좋지가 않았다. 인도계 미국인 소녀 프라크르티는 16살인데도 벌써 부모님이 정한 인도인 결혼 상대자가 있다. 프라크르티는 그렇게 결혼하는 것이 너무 싫어서 계략을 꾸민다. 처음 보는 중년의 물리학 교수 매슈를 유혹해서 잠자리를 가진 후 강간으로 고소를 한다는 엄청난 일을 계획한 것이다. 프라크르티는 16살이라 성인이 상대일 경우 강간으로 고소가 가능하다는 것까지 다 알고는 매슈에게 접근한다.

여기서 의문이 일지 않을 수 없다. 아니 근데 굳이 왜? 굳이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 거지?라는......이 소설에서 말하길 이렇게 해야 프라크르티는 자신에게는 책임이 없으면서 처녀성을 잃었다고 소문이 날 것이고 그래서 정략결혼은 없던 일이 될 것이며 앞으로도 쭉 부모님이나 그 누구도 프라크르티를 시집보내려고 하지도 않을 것이고 인도남자들도 그녀와 결혼하려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나?

여전히 설득이 안 된다. 정략결혼이 싫으면 가출을 하든지, 부모를 설득하든지 뭔가 다른 방법을 시도해봐야지 너무 급발진이잖아 이건! 굳이 자신의 책임이 아닌 타의에 의해 저질러진 사건이어야 한다고 남을 이용하는 짓을 하는 소녀 캐릭터를 어떤 독자가 좋게 볼 수가 있나?

이건 너무 작가의 무리수라는 생각이 들었다. 갑자기 중간 없이 극단으로 폭주해버린 느낌. 명문대 갈 수 있을 정도로 머리가 영특한 소녀가 저런 큰일을 저지른다는 게 도저히 납득이 안 가면서 이런 설정을 굳이 했어야 하는 작가의 의도가 심히 불편하게 다가왔다. 게다가 이게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어서 책을 덮고 나서 굉장히 찝찝했다.

 


좋았던 단편도 분명히 있었다

특히 고음악”. 음악학 박사과정에 있던 부부가 아이가 생기자 생활고 때문에 자신들의 꿈을 접고 남자는 피아노 레슨을 여자는 인형 만드는 일을 하며 생활에 치여 살아간다. 둘 다 지금의 삶이 힘들고 꿈을 포기한 게 후회스럽지만 그렇다고 다시 되돌아 갈 수도 없는 일. 할부를 갚지 못해 압수 위기에 처해 있는 남자의 악기 클라비코드의 운명처럼 이 부부의 삶도 희망 없이 먹구름이 끼어있다. 우울한 생활감이 가득한 이야기였는데 현실적인 이야기라 꽤 마음에 들었다.

위대한 실험고음악과 비슷한 처지의 주인공이 나온다. 젊은 시절엔 대학을 최우등으로 졸업하고 문예지에 시도 실린 꿈 많고 유망한 시인이었던 주인공이지만, 현재는 의료보험도 들어주지 않는 작은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하며 근근이 살아가고 있다. 보온이 거의 되지 않는 오래된 집, 맞벌이 부부라 늘 지저분한 집안 풍경, 난방비 아끼려고 난방을 거의 틀지 않아 추워서 친구네로 피신해버리는 아이들, 이 모든 궁핍한 상황이 이제 중년의 주인공을 자꾸 비참하게 만든다. 그래서 범죄의 세계로 발을 들여 놓게 된다. 하지만 결론은 예상대로 처참하다.

이 단편 또한 젊은 시절 좌절된 꿈과 닥쳐오는 생활고라는 냉정한 현실이 마음에 무겁게 내려앉는 소설이었다.

이런 주제에 대해서 작가는 꽤 할 말이 많고 또 잘 쓰는 분야인거 같다. 그래서 꿈꾸는 시간이 지난 후 지독한 현실이 닥쳐올 때의 씁쓸하고 우울한 정서를 담아낸 이야기들엔 공감이 가고 울림도 있었다.

 


 

전반적으로 여기 실린 모든 단편이 내 마음에 쏙 들었으면 좋았겠지만 그렇지 않다보니 스멀스멀 장편에 대한  갈증이 밀려온다.



작가님 이제 슬슬 장편소설 낼 시기가 오지 않았나요? 두툼한 장편을 내 주세요

작가님은 아무래도 장편이 훨씬 좋은 거 같아요^^




일단 초기작 "처녀들, 자살하다"나 구해서 읽어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