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리셔스 샌드위치 - 서른살 경제학 유병률 기자가 뉴욕에서 보내온 컬처비즈에세이
유병률 지음 / 웅진윙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우리 모두 샌드위치 세대라고 말한다.
50대도, 40대도, 30대도... 어쩌면 20대가 가장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진정한 샌드위치 세대일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진정으로 문화적인 삶의 방식만이 퍽퍽한 샌드위치를 딜리셔스 샌드위치로 바꿀 수 있다고 강조한다.
 

뉴욕 타임즈는 그저 신문을 많이 팔았기 때문에 세계 최고의 신문이 된 것이 아니고, 스타벅스도 그저 커피를 많이 팔았기 때문에 세계 최고의 커피숍이 된 것이 아니라고 한다.
그들은 뉴욕의 문화를 만들어내고 선도해왔기 때문에 진정한 세계 챔피언인 것이다.
그래서 스타벅스가 자신의 정체성을 잃고 상업성으로 채워지고 있을 때 뉴욕 타임즈가 광분하여 기사를 실은 것이다.

특히 인상 깊은 내용은 문화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에 관한 내용이었다.
대기업들이 사옥 로비에 예술 작품을 전시하고, CEO가 무슨 책을 읽었다는 식의 보도 자료를 돌리는 것은 진정한 문화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는 주말에 아이들을 데리고 마트를 가는 대신 야외로, 자연으로 가야한다는 내용이 인상 깊었다.

저자가 강조하는 문화와 무슨 관련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항상 선함을 강조하는 구글은 직원의 3분의 1이 백만장자지만 자선재단의 규모는 마이크로소프트의 300분의 1에 불과하다는 구절도 기억에 남는다.

하지만 잘 모르겠다.
정말로 전 세계의 젊은이들이 월 스트리트를 선망하는 것이 그들의 엄청난 연봉 때문이 아니라 맨하탄의 문화 때문일까?
정말로 문화가 우리를 구원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