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공포 문학 단편선 2 - 두 번째 방문 밀리언셀러 클럽 - 한국편 10
이종호 외 8인 지음 / 황금가지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권 들어서 소재들이 다양해졌지만 딱히 '한국적'이라고 부를만한 작품은 두세 편에 불과하고, 책을 읽는 내내 다른 생각을 할 수 없게 만들 정도로 몰입도 100% 수준도 아니다. 전체적으로 고른 작품 수준을 선사하고 있지만, 한국형 공포 문학의 정점을 보여줬던 1권에는 약간 못 미친다.

대부분의 작품들이 어디서 한번쯤 본 것 같고, 결말이 쉽게 예측 가능하다.

'벽'은 칼부림과 살인까지 부르는 아파트 층간 소음을 소재로 한다. 시종일관 가슴을 짓누르는 것 같은 답답함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이다.

'캠코더'는 저승사자를 볼 수 있는 캠코더에 얽힌 이야기로 소재는 식상하고, 결말은 허무하다.
하지만 죽음 그 자체를 두려워하지 못하고 희생양을 찾는 인간의 고약한 본성을 엿볼 수 있다.

'길 위의 여자'는 매끈한 엔딩가지 쉼 없이 달려가는 한 편의 슬래시 무비를 보는 것 같다.

SF소설같은 '드림머신'에서는 주인공의 꿈 체험이 순식간에 악몽으로 변하는 틀에 박힌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

개인적으로 인상 깊었던 작품은 '폭설', '벽 곰팡이', '레드 크리스마스' 세 편이다.
특히 '벽 곰팡이'는 다시 한 번 읽어봐도 흥미진진한 이야기 전개에 눈을 뗄 수가 없을 정도였다. 스릴러를 연상시키는 소재와 줄거리는 마치 미드 '크리미널 마인드'의 에피소드처럼 긴박감 넘친다.
작가의 말대로 우리들의 이웃, 그 이웃들의 끔찍한 이중성, 언제 돌변할지 모르는 인간심리를 가장 탁월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폭설'은 눈보라 속의 산장이라는 폐쇄된 공간을 배경으로 한 귀신 이야기다.
작가의 명성에 걸맞는 빼어난 심리 묘사와 잘 짜인 구성이 손에 땀을 쥐게 한다.
단점이라면 역시 작가의 명성에 걸맞지 않는 익숙한 소재와 모범적인 전개를 꼽을 수 있다. 적어도 '이프', '흉가'의 이종호 작가라면 훨씬 더 세련된 공포감을 기대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레드 크리스마스'는 이번 책에서 가장 더 무서운 작품들 중 하나지만 독거노인과 임대 아파트 주민이라는 소외된 계층을 통해서 현대 사회의 병폐를 꼬집고 있다. 결국 가장 무서운 것은 괴물도 귀신도 아닌 인간이라고 힘주어 말하는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레드 크리스마스'는 가장 무서운 작품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독자가 마지막 책장을 덮고 났을 때 아직도 자신이 살아있음에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는 그런 글을 쓰고 싶다.'는 작가의 말이 더욱 섬뜩하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