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
김숨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11월
평점 :
조선소 노동자들에게는 믿고 의지할 것이 오로지 조선소에서 주어지는 노동밖에는 없었다. 그들은 온종일 힘써 노동하면서도 노동에 갈급했다. 노동은 그들에게 일종의 구원이자 일종의 축복이었으며 일종의 善이었다. 그리고 노동은 일종의 종교이기도 했다. 그들은 노동을 통하여 회개했고, 노동을 통하여 죄 사함을 받았다. 그들이 구하여야 할 것은 노동밖에 없었다. 행하여야 할 것 또한 노동밖에 없었다. 축복과 평안도 노동 안에서 갈구했다. 그들은 하루 동안 힘써 노동을 구하고, 힘써 노동을 행하였다. 노동을 구하는 한 그들은 먹을 것과 입을 것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었다. (29p)
아침 저녁으로 오고가는 지하철에서 이 책을 읽었다. 나는 서로의 인내심을 시험하며 먹고 살기 위해 아둥바둥 출근하는 이들 속에 섞여있었다. 그들 속에 섞여 있다는 것이 어느 날엔 안심이 되었다. 나는 노동을 하는 인간이다. 나는 밥벌이를 하고 있다. '철'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인물은 조선소 노동자가 되기 원한다. 황량하고 배 곯은 사람으로 넘쳐나던 마을에 조선소가 들어서면서 그곳 사람들은 그곳이 자신에게 노동을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그 믿음대로 조선소는 그들에게 노동을 할 수 있는 은혜(?)를 베풀었다. 그들은 그 은혜를 입을 수 있음에 감사하며 온 몸이 늙은이처럼 쪼그라들정도로 평생을 일했다. 일을 하는 동안 그들의 혀는 점점 쇠처럼 무거워져 아무도 일할 때는 말을 한마디도 내뱉지 않았다. 노동에 미쳐 노동을 구하는 삶이었다.
이 책을 보는 와중에 김훈 작가의 '밥벌이의 지겨움'이라는 책 제목을 보았다. 아......그렇다. 평생을 밥벌이를 해야 하는 일에 대한 지겨움에 대한 이야기를 김숨 작가는 조선소 노동자들을 통해 풀어냈다. 그런데 단순히 노동자들에게 이것은 지겨움이라는 투정 섞인 감정이 아니었다. 이들은 노동을 통해서 배불리 먹기도 했지만 결국 노동으로 인해 몰락했다. 모두 피를 토하며 죽을 때 까지도 노동을 원했다.
이력서를 아무리 써도 전화 조차 오지 않았던 시간이 있었다. 그때 나는 노동을 할 수 없어서 불안했다. 노동을 할 수 없다는 것은 곧 경제력이 없다는 것이며, 그것은 모든 생활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나는 조선소 노동자들처럼 노동의 은혜를 입었다. 그런데 이것이 참 이상하다. 그렇게 갈구하던 노동이 점점 나를 잠식해간다. 무엇인지 모르게 야금야금 노동에게 먹히고 있는 듯 하다. 어느 순간 뒤 돌아보니 나는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이었는지 점점 잊어가고 있었다.
노동은 우리가 피할 수 없는 운명이다. 모든 인간에게 그렇다. 노동을 하면서 우리는 균형을 잡을 수 있을까? 노동에 우리 자신을 잃지 않을 수 있을까? 그것은 아마 평생의 숙제가 될 것이다.
덧 - 김숨작가의 '철'은 기괴하다. 그 기괴함이 노동을 갈구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더 부각시켜주고 있다. 하지만 읽는 내내 천명관작가의 '고래'가 떠올랐다. 분명 내용은 다르지만 소설의 분위기라든지, 인물들의 캐릭터 등이 비슷하다고 느껴졌다. (물론 이건 전적으로 내 개인적인 생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