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장 밝은 검정으로 - 타투로 새긴 삶의 빛과 그림자
류한경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6월
평점 :
시인 김선오, 래퍼 슬릭, 배우 유이든, 비건 식당 운영자 단지앙, 작가 홍승은, 무당 홍칼리, 시인 계미현, 사진가 황예지, 상담심리사 임부영, 타투이스트 박카로. 이들의 공통점은 바로 '타투'다. 모두 몸에 타투를 했지만 각자 타투를 한 이유, 타투에 부여하는 의미는 제각각 다르다. 사진을 통해 이들이 몸에 새긴 타투를 볼 수 있어서 흥미롭고 인터뷰를 통해 이들이 타투에 관해(사실은 자신에 관해) 이야기하는 목소리를 들을 수 있어서 눈과 귀과 함께 즐거워진다.
누군가는 타투에 아무런 의미도 부여하지 않고 그저 예쁘고 귀여워서 선택한다. 또 다른 누군가는 타투에 부적, 영원 등 많은 의미를 부여한다. 내가 보기에 그들의 이야기는 결국 하나로 통한다. 타투도 삶도 모든 것도 스스로 선택하면 된다는 것! 누구도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것!!
타투이스트 박카로는 이렇게 말했다.
"자유로워지고 싶은 바람을 새에 담았다. 돌이켜보면 나를 가장 옭아맨 건 나 자신이었다. 아무도 나를 감시하지 않는데, 항상 남의 시선을 의식했다. 내겐 언제든 사회시스템을 부정하고 밖으로 나갈 힘이 있었지만, 어쩔 수 없다는 핑계로 나를 자유롭지 못하게 내버려 둔 것 같다."
타투를 통해 박카로는 좀 더 자유로워졌을까. 아마도. 그랬길 바란다. 더더 자유로워지길. 남들의 시선으로부터. 자기 자신으로부터도.
류한경은 에필로그에서 이렇게 말했다.
"상처는 외부에서 침입한 충격적 사건의 흔적이다. 이때 타투가 자발적으로 만든 몸의 흉터라는 점은 묘하다. 또 한 번, 타투와 몸의 관계는 상처와 삶의 관계와 유사해진다. 어떤 상처를 겪을지, 고통의 의ㅣ미가 나중에 어떻게 바뀔지는 예측할 수 없다. 이와 비슷하게 좋았던 타투에 싫증이 나거나 심드렁했던 타투에 애정을 품게 될 수도 있다. 삶에서 일어난 고통은 타투처럼 나의 일부가 되어버린다. ~ 타투에서 무엇을 느끼든 괜찮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삶에서도 마찬가지다. 새기고 나면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다. 벌어진 일은 수용하는 수밖에 없다."
그렇다.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다. 삶도. 내가 선택해서 새긴 타투도. 내가 선택했든 하지 않았든 어쨌든 일어난 일, 벌어진 일은 수용하는 수밖에. 그렇게 살다 보면 타투가 영원히 나의 일부인 것처럼 그 모든 게 나의 일부가, 상처가, 삶이 될 테니까.
사진만 봐도 좋고 글만 봐도 좋겠지만 함께 보면 제일 좋다. 이들처럼 나도 언젠가(곧) 내 몸에 영원을 새기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