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류사회 - 새로운 계층집단의 출현
미우라 아츠시 지음, 이화성 옮김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역사가 짧은 상류의 불안함이 상류의 천박한 속물근성을 하류의 게으름으로 치부해버리는 책이다. 하류에게 모범을 보일 수 있는 상류의 삶이 아니고 헝그리 정신에서 출발해서 결핍을 채워가는 상류라면 상류라는 가치를 제대로 굳히기까지 거쳐야 할 시행착오의 역사가 길지 않았을 것이다. 실제로 이 책의 저자는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저자의 할아버지가 땅을 팔아 자신을 비롯한 손자들에게 교육을 시켰다고 했다.


누가, 어떤 삶을 두고 ‘하류’라 정의하느냐에 따라 ‘하류’의 모습은 가지각색이다. 이 책은 하류로 ‘규정하는’ 자와 하류로 ‘규정되는’ 자 중 ‘규정하는’ 자의 언어만 반영되었다. 상류가 보는 상류와 하류의 기준은 제시되어 있지만 하류가 보는 상류와 하류의 기준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이 책은 물질적 기준으로만 상류와 하류를 말한다.


출세라는 야망의 찌꺼기를 던져버리지 못하고 사는 사람의 눈에는 자기다움을 추구하고, 자아실현을 가치로 삼는 삶이 하류로 보이나 보다. 저자가 하류인생이라고 딱지를 붙인 사람들이 보기엔 돈 밖에 모르는, 오로지 위로 위로 상승만을 꿈꾸는 경제동물들이 하류로 보일 수도 있다는 생각은 못하나 보다. 사생활까지 포기해가며, 자기 욕구를 죽이며 상류로 올라간 사람일수록 자아실현에 의미를 두고 사는 사람들을 비하하고 끌어내려 하류로 딱지를 붙여야 자기들 삶이 빛나 보일 것 아닌가! 물질적 안락을 위해 하고 싶지 않은 일을 꾹꾹 참아가며 하는 미련한 사람들이야말로 수단이 되어야 할 게 목표가 되고, 목적이 된 삶은 아닌가? 내 생각엔 인간의 본질, 존재에 대한 고민을 해본 사람은 상류, 하류 이런 딱지 붙이기에 별 관심을 두지 않을 것 같다. 내 눈엔 돈과 일만 아는 경제동물들이 하류로 보이는구만.


저자는 하류란 가난이 문제가 아니라 의식의 문제라고 말한다. 노력과 의지가 없는 삶이 하류인생이란다. 그런데, 이 책은 상류와 하류에게 ‘왜?’라는 물음을 던지지 않는다. 동기가 부여되어 있다면 하류로 찍힌 사람들이 왜 일을 안 할까? 상류는 무엇을 위해 죽어라 일을 하는가? 그 답이 좋은 집, 좋은 차, 좋은 옷... 이런 물질적 안락에 있다면 그런 삶이야말로 하류일 수도 있다. 상류 하류를 떠나 그런 물질적 풍족을 누리기 위해 일을 하느라 자기 인생에 포기해야 할 것들은 또 얼마나 많은가. 비행기 타고 바다 건너간 사람이 배 타고 건너가는 사람 보고 왜 그렇게 천천히 오냐고 꾸짖는 꼴이라니! 뉘라서 남의 인생을 두고 하류라 딱지를 붙이는가!


동생이 그런다. 사람들은 도대체 뭘 위해서 그렇게 열심히 일만 하는지 모르겠다고. 이 책은 노동의 ‘의미’를 찾는 사람에게 ‘열심히’를 주문한다.


역사란 어차피 강자의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 강자의 논리로 무장한 하류 타령이 천박해 보일 뿐이다. 도와주지 못할 거면 그들을 좀 가만히나 두지.


이 빌어먹을 땅덩이만 하더라도 뭐 좀 해보겠다고 의욕을 보이는 사람들을 ‘나이’라는 희한한 잣대로 기회를 차단해 버린다. 일본이라면 모를까 한국이라는 나라는 하류 인생들이 의지가 없고, 노력하지 않는다고 비난할 자격이 없다. 거기다, 사생활과 직장생활을 구분할 줄 모르는 모호한 경계개념을 가진 사람들이 사는 땅에서 의지 부족, 노력 부족 타령을 한들 그게 설득력을 가지나! 물질적 안락을 위해 정신적 삶은 치워두고 상류만 노래하는 불쌍한 개미의 자기 위안으로 들리지. 꾸물거려 일을 한 댓가가 먹고 살 비용, 자기 계발 비용은 나와야 하지 않겠는가. 죽어라 일해봤자 기본적인 삶을 돌리기 바쁜 돈에, 집에 가서 책 한 줄 볼 시간도 주지 않고 사람을 소모품으로 여기는 사회에서 하고자 하는 의지와 노력만이 요청되나? 사생활을 포기해야 누릴 수 있는 상류의 삶은 진정 추구할 가치가 있긴 있나? 누굴 위해서?


설문 조사 결과 하류 층에서 개성 추구, 자아실현이라는 의견이 많이 나왔다고 이런 게 의미없는 가치가 되나? 오로지 상류가 보는 시각만이 진리다? 정말 단순 무식한 발상에 입이 다 벌어진다.


참 이상하다. 페미니즘은 남자탓, 사회탓이고 상류 하류 이런 계급은 개인의 의지와 노력 부족이 문제인가? 아, 춤추는 일관성, 짜증난다.


오래전 ‘심리학 이야기’라는 책에서 본 문구가 생각 난다.


“하류층의 사람일수록 사람을 높은 등급으로 올리는 것은 돈이라 하고,

중류급의 사람들은 그것을 교육과 직종이라 하며,

상류층의 부류는 그 사람의 개성과 취미와 생각과 언행이라 한다.”


오로지 경제적 풍족만이 최상의 가치인 사회에서 정신적 삶을 갈구하는 사람은 설 자리가 없다. 위로 위로 올라가지 않으면 내가 살고 싶은 삶을 누릴 수 없다는 것, 이게 이 시대 정신적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불행이겠다.


이 책은 ‘하류라고 딱지를 붙이는 사람은 누구인가?’, ‘약자의 삶을 왜 강자가 정의하는가?’ 이런 의문을 가지고 읽어야 한다. 철저히 강자의 논리로 무장한 책이다. 삶에 상류, 하류라고 딱지를 붙일 수 있는 사람은 자기 자신뿐이다. 자신을 자각하지 못하는 사람일수록 타인의 삶을 함부로 정의내린다.


남들이 보기에 무난해 보이는 삶이 최선은 아니다. 상류이든 하류이든 이런 가치 기준은 ‘결혼 적령기’, ‘눈이 높다’ 이런 말처럼 당사자가 아닌 개인이 살아가는 스타일, 개성을 놓고 참견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눈높이에서 “보는” 시각을 말해 줄 뿐이다. 물질적 삶에 의미를 두어 죽어라 일을 해서 물질적 풍족을 누리고 살고 싶은 사람은 그렇게 살면 되고, 물질적 삶보다 하고 싶은 것 하면서 정신적 삶에 무게를 두고 싶으면 그렇게 살면 되는 거다. 타인도 자기 방식대로 살아야 한다고 우기는 정신병자는 병원에 보내야 한다.


이 책은 ‘일하지 않는 사람들 일할 수 없는 사람들’, ‘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미친 돈 바람을 멈추어라’ 나아가 ‘절대로 일하지 마라’ 이런 책이랑 같이 읽는 게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