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술의 아름다운 경영 - 벤처 대부의 거꾸로 인생론
정문술 지음 / 키와채 / 2004년 5월
평점 :
품절


성공스토리를 좋아하지도 않거니와 한창 벤처붐이 일 때도 벤처란 일확천금을 누리는 젊은이들이 벌이는 일쯤으로 여기고 신경을 끄고 살았던 탓에 미래산업이 어떤 기업인지 사장이 누군지 관심도 없었다. 최근에 ‘어느 독서광의 생산적 책읽기’를 읽다가 사원들에게 ‘제발, 보고서 좀 올리지 마시오.’라고 하는 기업인이 있다길래 ‘어, 이 사람 봐라.’ 이런 호기심이 일어 『왜 벌써 절망합니까』를 읽고, 연이어 이 책까지 읽게 되었다.

하청업체의 피를 빨아 살집을 키우는 대기업의 횡포는 그 옛날 약자를 괴롭히고 못살게 굴었던 ‘양반’들의 그 모습과 닮았다. 그래도, 성취감을 느끼며 채워가는 즐거움보다, 좋은 조건을 좇아 그런 대기업으로, 대기업으로를 외치는 마당에 대기업은 자신들의 생리와 맞지 않는다며 미래산업을 찾는 젊은이들도 인상적이지만, 소신과 인간을 생각하는 기업정신으로 기업이란 이렇게 운영해야 한다는 걸 보여주신 분이기에 이 책이 무척 인상적이다. 막힌 속이 뻥뻥 뚫리는 기분이라고 할까... 자생할 수 있는 기업만이 살아남는다는 걸 도전과 모험정신으로 몸소 보여주신 모습에 감동과 전율을 느낀다.

쉽지 않았을 퇴진 결심이 다른 무엇보다 기억에 남는다. 자살까지 생각했을 만큼 바닥까지 떨어졌던 현실을 딛고 미래산업을 만들어 이제 그런 어려움없이 일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는데, 정작 정문술 사장은 퇴진을 결심했다. 사장의 배만 불리는 기업을 사양하고, 사장은 인재가 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존재라는 사실을 실천했고, 기업은 사원 모두의 것이라는 기업철학을 가졌던 분답게 무대에서 퇴장하는 모습 또한 정문술 사장다웠다. 평소에 ‘유산은 독’이라고 강조해두었던 아들들에게 박수를 받으며 퇴장함과 동시에, ‘기획’된 인재보다 ‘방목’된 인재를 선호했던 만큼, 퇴장 후에도 미래산업의 운명에 일체 입도 뻥긋하지 않는다.

소인은 자신이 빠지면 안 되도록 상황을 연출해 놓는다.
모든 사람이 그를 쓸모있는 사람으로 여길 때 만족한다.
대인은 자기가 없어도 일이 잘 돌아가도록 조정해 둔다.
모든 사람들이 그를 필요없는 사람으로 여길 때 만족한다.

이 말이 딱 어울리는 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