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로 일하지 마라
배남석 지음 / 북앤월드(EYE) / 2001년 1월
평점 :
품절


두어번의 배낭여행을 하고 난 후 난 우리나라 직장의 근무환경과 직장인들의 직업의식이 문제가 심각함을 알게 되었다. 내가 여행했던 여러 나라에서 일터에 노인들이 많이 보이고, 나이나 성별 차별없이 인력을 사용한다는 인상을 받고 한국으로 돌아와보니 나이 제한을 두고, 실력보다는 외모로 사람을 뽑는 게 답답하기 짝이 없었다. 더구나, 30살도 한참 안 된 여자가 나이가 많다고 지원을 거절당하는 현실을 보며 웃어야될지 울어야될지 난감할 지경이었다.

이책에 나오는 내용들은 여기저기서 주워들어 대충 알고 있던 내용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확인하던 정도였기에 하나하나 보면 그리 놀랍지는 않지만, 책을 읽고 전체적인 흐름이 파악되고 보니 한국의 직장이 웬만큼 굴러가는 거 자체가 희한하게 생각될 정도다.

저자는 미국과 한국의 근무환경이 어떻게 다른 지 언급하면서 한국도 근무환경을 바꾸려면 많이 변해야한다고 말하지만, 정작 왜 다른가에 대한 원인분석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는 좀 아쉬운 책이다. 개인개인이 살아있는 문화권과 개인을 집단에 함몰시켜 소속감을 중시하는 문화권의 차이, 과정을 추구하는 문화권과 결과지향주의 문화권의 차이가, 판이하게 다른 근무환경과 직업의식을 낳는 것 같다.

저자는 책 전반에서 JOB IQ를 거론하고 있지만 한국은 개인개인의 JOB IQ 문제가 아니라 “나는 누구인가?”라는 정체성에 관한 고민부터 해야 답이 나올 것 같다. 내가 누구인가를 제대로 인식한다면 가정도 내팽개치고 자신을 회사의 부속품으로 전락시킬까?

모든 개인시간을 담보잡힌 채 기업의 부속품이 되어 회사에 충성해야 겨우 살아남는 한국의 근무환경은 남편들로 하여근 가정을 포기하고, 사생활을 포기하게 만든다. 한마디로, 가정과 개인이 기업에 담보잡혀 있다. 이런 환경에서 일하는 우리가 직업에 대한 의식 자체가 내 능력을 회사와 거래한다는 직업의식을 가진 사람들을 이해할까? 직업이란 그저 식구들을 먹여살리는 수단과 출세수단으로 여기는 우린데?

내 생각에는 개인적 자아와 직업적 자아를 구분하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볼 때, 미래의 한국은 살아남지 못할 거라고 본다. 우리는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고, 일보다는 인간관계 위주로 돌아가고, 업무 외적인 요소가 너무 많이 개입하고, 나이나 직위에 입각해 상하수직 구조로 돌아가다 보니 제대로 된 근무환경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 근무환경이 효율적이지 못하다 보니, 똑같은 성과를 얻어내는 데도 훨씬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훨씬 많은 낭비가 생긴다. 하긴, 농경사회였던 우리가 몸으로 때우는 것만 알지 시스템 구축을 알 리가 있나...

바보같은 한국 남자들은 정치에만 매달리는데, 정치를 바꾸는 것보다 더 빠른 사회 변혁의 길은 직장의 근무시간을 “9시 출근, 6시 칼퇴근”으로 바꾸는 길이다. 우리도 밀도 높게 일하고, 쉴 땐 확실히 쉬는 양보다 질을 추구하는 직장문화를 만든다면 상승한국이 될 것이다. 한국의 여성문제 역시 이 점에 주목해야 발전할 수 있다. 나는 퇴근시간에 일관성을 부여하는 일이 한국 사회 전반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해 가는 출발이 되는 사안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은 아무도 이걸 주목하지 않아서 탈이지만. 젊은 사람들은 ‘개선’을 생각하기보다 기득권에 흡수되어 적당히 '적응'하고 몸을 사려서 '출세'하는 쪽을 택한다. 그래서, 대기업이나 직장에서 한자리 한다는 사람들과 대화를 하다보면 대화가 답답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