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를 사랑할 것인가? - 자신과 어울리는 진정한 인연을 찾는 법
헬렌 피셔 지음, 윤영삼.이영진 옮김 / 이미지앤노블(코리아하우스콘텐츠)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기본 재료를 가지고 누가 요리를 하느냐에 따라 음식 맛이 달라지는 것처럼 성격유형에 관한 책도 누가 쓰느냐에 따라 책의 방향이 정해지는 거 같다. 이 책 한 권만 읽었으면 ‘아하, 그렇구나!’ 이 정도로 넘어갔을 건데, 불행히도 그동안 이런 류의 책을 몇 권 집어들었던 터라 이 책 저 책에 있는 내용이 섞여버려서 머릿속이 복잡하다. 읽다 보면 똑같은 걸 얘기하고 있는데, 이 책에서는 이런 식으로 살을 붙이고 저 책에서는 또 저런 식으로 살을 붙여놓으니 독자로선 아주 난감하다.

성격유형에 관해 그동안 읽어왔던 책들을 보니까, 기본 내용은 하나인데 그걸 쓰는 사람마다 자기 입맛에 맞게 쓰는 것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똑같은 내용인데 누가 쓰느냐, 각 성격 유형에 이름을 어떻게 붙이느냐 그 차이고, 기본 내용을 자기 방식대로 요리하는 것 뿐이다. 이런 게 포착되니까 마네킹에 빨간 옷을 입힐 거냐 파란 옷을 입힐 거냐 나도 뭐 그 차원에서 읽게 된다. 다만, 헬렌 피셔가 쓴 이 책은 어떤 유형이 어떤 유형에게 끌릴 때는 어떤 점 때문에 끌린다 이런 각 성격유형에 따른 끌림의 상호작용을 잘 설명해놓았다는 점에서는 남다른 재미가 있다. 각 성격유형별 내용을 읽어보면 왜 탐험가는 탐험가끼리, 건축가는 건축가끼리, 지휘관은 협상가에게, 협상가는 지휘관에게 끌린다고 말하는지 이해가 된다.

책 초반부터 눈이 휘둥그래지는 내용이 등장한다. 저자는 내향성과 외향성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는 상당히 잘못된 거고, 내향성과 외향성은 측정할 필요도 없다고 한다. 이건 MBTI 이론을 뒤집는 얘기고 심리학자들이 이 책을 읽으면 뭐라고 할 지 궁금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독자인 내가 궁금증을 풀 수 있는 방법은 관련 책을 동원하는 거밖에 더 있나! 헬렌 피셔가 얘기하는 내향인과 외향인에 관한 내용은 마티 올슨 래니가 쓴 책을 읽으면 궁금증이 풀린다. 마티 올슨 래니는 ‘내성적인 사람이 성공한다’라는 책에서 내향형과 외향형은 ‘두뇌 경로의 길이’로 구분한다고 했는데, 이 책의 저자 헬렌 피셔는 그냥 자기 주변의 인물 세명을 예로 들어서 부정할 뿐이다.

이책저책에서 읽은 내용들과 겹치는 내용들을 종합해보면 이 책에서 하는 얘기가 곧이곧대로 접수되진 않는다. 예를 들어, 이 책에서는 ‘건축가’를 지배하는 호르몬은 세로토닌이라고 한다. 그런데, ‘브레인 시크릿’이라는 책에서는 그 세로토닌이 남성보다 여성이 8배나 더 많다고 한다. 그럼, 이 책은 도파민의 영향을 많이 받는 탐험가형은 남성에게, 세로토닌의 영향을 많이 받는 건축가형은 여성에게,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휘관형은 남성에게,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많이 받는 협상가형은 여성에게 많이 나타난다는 얘기로 정리가 되는데, 그렇게 되면 탐험가형과 건축가형이 각각 자기랑 같은 유형에게 끌린다는 얘기는 또 어떻게 이해를 해야하는 건 지...

이 책에서는 사람마다 두 가지 유형이 주성격을 이룬다고 했는데, 친구들이랑 여행을 가면 여행을 온 건 지 수다를 떨러 온 건 지 구분이 안 갈 정도로 세월아 네월아 천천히 걸으면서 입만 바쁜 친구들을 떼어놓고 나혼자 바삐 돌아다니고(탐험가), 남들이 속터진다고 할 정도로 꼼꼼한 편이고 말이든 글이든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고(건축가), 무뚝뚝하고 마음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지휘가), 여느 여자들처럼 말로 스트레스를 푸는(협상가) 나는 어디에 의미를 두어야 할 지 모르겠다. 물론, 책을 읽기 전에 체크해 본 바로는 다른 두 성격보다 앞서는 두 가지 성격이 나오긴 했지만, 책을 읽으면서 아무리 체크를 해봐도 나는 네 가지 모두에 해당한다. 나는 MBTI에 관한 책이 더 와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