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행복 권하는 사회 - 심리학은 어떻게 행복을 왜곡하는가
김태형 지음 / 갈매나무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제: 심리학은 어떻게 행복을 왜곡하는가

행복이란 무엇인가

당신이 생각하는 행복은 어떤 것인가?

많은 사람들이 이런 이야기를 들어봤을 것이다.

'돈을 많이 번다고 해서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다.'

'돈이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은 돈이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도 그럴것이 돈이 많은 사람들의 흔한 갑질이나 호텔이나 백화점에서 자가용만으로도 차별대우를 받는 경우가 많은 나라가 한국이기 때문이다.

돈이 없으면 불행한가?

그럴 확률이 높다. 왜냐하면 돈이 없으면 사람의 기본적인 욕구충족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먹고 싶은 것을 배부르게 먹는 것, 따뜻하고 안전한 곳에서 자는 것, 아플때 알맞은 치료를 받는 것 등은 돈이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경제학자 로날드 잉글하트는 소득이 증가해도 더 이상 행복지수가 높아지지 않는 기준점을 "결별점" 이라고 불렀다. 이 결별점을 경제학자 리차드 레이어드는 '만족점' 이라 불렀는데 대략 1년간 소득이 1만 5000달러 에서 2만 달러 라고 보았다.

이러한 사실을 한국에 적용하면 대략 연봉 2500~ 4000만원이 된다.

KBS의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한국인의 경우 월 430만원이 소득의 결별점이었다.

연봉 5000만원 정도이다.

한국에서 연봉 5000만원이란 숫자는 굉장히 상징적인데, 결혼정보회사의 이상적인 남편감을 조사해보면 대략,

연봉 5000만원, 키 178cm, 대졸, 공무원이나 공사에서 일하는 남성들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월 430만원을 받는다는게 그렇게 쉽지가 않다.

공무원은 9급부터 10년 이상 되어야 하고, 일반 중소기업은 20년 이상 되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430만원이 되기까지는 행복도가 큰 폭으로 상승하지만 그 이후에는 별로 행복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걸로 봐서는 수입 그 이상으로 받는 스트레스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돈이 많아지는 것은 행복의 증가가 아니라 고통의 감소와 관련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 고통이나 걱정이 없는 상태의 기본적인 사회생활, 가정을 꾸리고 친구를 만나고, 경조사에 참여하고 취미생활을 할 수 있는 소득은

대략 연봉 5000만원 정도인 것이다.

그럼 저자가 그토록 비판하고 있는 주류 심리학의 행복론은 무엇일까?

1. 쾌락주의 행복론이다.

인간은 불쾌를 피하고 쾌락을 추구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2. 행복은 유전자의 영향이 크다.

행복을 결정하는 것은 유전 50, 환경 10, 주관 40 이라는 이론이다.

3. 개인의 행복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회적 행복은 배제한 채 개인적 행복에만 초점을 맞춘다.

행복이 전적으로 개인적인 것이라는 견해는 불행한 이들은 전적으로 본인이 노력하지 않아서 생긴 책임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개인간의 행복 경쟁을 부추기게 된다.

4.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려있다는 긍정심리학이다.

정신승리 하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것은 생존불안이나 존중불안을 줄여주면 된다. 저자는 그 예로 북유럽의 선진국 등을 계속해서 예로 들고 있다.

핀란드, 덴마크 같은 세금이 50%가 되는 나라들이다.

개인의 생존을 개인이 책임지는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각각의 개인이 돈을 벌어야만 생존이 가능하다.

그러나 북유럽형 자본주의 사회는 기본적으로 국가가 개인의 생존을 책임진다.

그래서 북유럽 사람들은 생존과 관련된 만성적인 근심이나 걱정에 시달리진 않는다.

저자가 주장하는 행복하게 살기 위한 방법 들이다.

1. 사회에 기여하며 살기

2. 사랑과 신뢰가 살아있는 사회

3. 자유의지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사회

4. 삶의 가치와 목적을 실현하며 사는 사회

저자는 주장한다.

주류 심리학이 말하는 마음챙김, 가족과 몇몇의 절친들, 월 430만원 이상의 소득을 가지고 자원봉사 등을 하며 적당히 쾌락을 즐기면 행복해진다는 개인주의 행복론을 믿지 말라고 한다.

소확행, 워라밸, 욜로, 가심비에 현혹되지 말고 진정한 행복을 추구하자고.

참다운 행복을 누리려면 인간다운 삶의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라고 한다.

사회의 불의와 불평등한 것들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더 이상 임금의 노예가 되지말고, 자본가의 갑질에 대항해야 한다.

행복은 개인의 것이 아니다. 나와 남이 함께 행복해야 되는 것이다.

행복하게 살기 위한 방법은 각자가 생각하기 나름이다.

그렇기 때문에 각자도생하지 말고 사회를 바꾸자고 저자는 주장하는지도 모른다.

이 책은 행복을 말하는 심리학 책이 아니라 오히려 사회를 바꿔야 한다는 사회학 책이다.

그러나 저자가 그렇게 찬양하는 덴마크가 살기좋은 행복한 나라일까?

마음챙김, 종교를 통한 위로, 소확행, 워라밸은 정말 필요없는 것들일까?

행복을 말하며 사회운동을 하자는 저자의 주장은 너무 멀리 나아간 모양새다.

- 이 글은 갈매나무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