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카인드 - 감춰진 인간 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뤼트허르 브레흐만 지음, 조현욱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3월
평점 :
품절


부제 : 감춰진 인간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이 책을 보고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 는

"인간 본성에 관한 새로운 관점! 사피엔스에 도전하는 책!"

이라고 하였다.

오랫동안 인간의 본성은 성선설과 성선설이 대립하여 요즘은 악한 쪽으로 기우는 모양새다.

뉴스엔 매번 자극적인 살인사건들이 나오고 영화나 드라마 역시 막장으로 치닫는 경우가 많다.

현재 방영되고 있는 화제절정의 드라마 "펜트하우스' 를 보아도 그렇다.

그동안 인간 본성에 관한 수많은 실험들이 있었다.

1954년 윌리엄 골딩의 소설 "파리대왕" 은 무인도에 갇힌 아이들의 권력과 폭력을 다루고 있다.

필립 짐바르도의 '스탠퍼드 교도소 실험'(루시퍼 이펙트)

스탠리 밀그램의 '전기충격 실험'

도시 한복판에서 살해당한 키티 제노비스 사건을 통해 '방관자 효과' 를 주장했던 학자들,

의 사례를 보면 인간은 어쩔 수 없이 악하게 변한다.

이것은 집단이기주의 일지도, 아니면 내가 피해보는게 싫은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네덜란드 저널리스트 『뤼트허르 브레흐만』 은 이러한 실험결과에 의심을 품었다.

그래서 일련의 모든 실험과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고 신문, 방송에 나온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래서 저자의 결론은?

이 모든 실험엔 실험을 기획한 교수가 자신의 의도대로 논문에 실릴 수 있도록 가려냈다는 것이다.

자기가 원하지 않은 결과들은 부러 발표하지 않은, 다른 말로는 조작된 실험이었던 것이다.

<파리대왕> 같은 극적인 사건들이 없다면 그렇게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을까?

제복을 입은 교도관은 마치 권력인양 마구 휘둘려지고

사람들은 알면서도 전기충격의 세기를 사망에 이르기까지 올리고

무려 38명의 목격자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방관자가 되고 말았다.

이 모든 실험의 결과과 주장들이 아무런 의심없이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현재까지 ,

이 책을 읽지않은 대부분의 사람들 역시

이러한 주장,

죄인을 다루는데는 권력이 있어야 한다거나, 권위에 대한 복종은 정당화 된다거나,

많은 사람들이 있는 곳에선 그 누구나 방관자가 된다는 주장을 믿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럼 우리는 이제까지 그 실험들의 진실을 왜 밝히지 않은걸까?

그에 대한 나의 단편적인 생각은 이렇다.

교수와 기자들은 자신의 명예와 성공과 명성, 직장이 더 중요했던 것이다.

이들은 자본주의가 낳은 괴물인 것이다.

한 번 사람들 입에 오르기 시작하면서 얻은 명성이나 인기가 식지 않기만을 바랐던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실험들과는 별개로 인간은 선천적으로 선한 것일까? 악한 것일까.

많은 실험들이 인간 본성의 악한 면을 보여주기 위해 실행되었지만 대부분의 실험은 그 의도와는 반대되는 결과들이 나와 사람들이 주목하지 않게 된 것이다.

그리고 우리도 이미 알다시피 인간은 혼자서는 살 수 없는 사회적인 동물이다.

무한경쟁 시대, 돈이 좌지우지 하는 시대라고 하지만 펜트하우스의 '주단테' 와 같이 욕망에 사로잡혀 인간을 쉽게 이용하곤 하진 않는다.

흔히 인간은 어떤 것에 '확증편향' 이라는 것을 가지게 되는데 부정적인 것에 더욱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작동되는 부정편향 이란 것이 있다. 그래서 부정적인 뉴스를 많이 접할수록 더 의심이 많아지고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지금의 사회는 바로 이 부정편향을 확산시키는 경향이 있다.

자꾸 사회는 점점 더 나빠져가고 인간은 더 악해져 가는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여전히 사랑과 애정, 보살핌, 관심, 칭찬과 격려, 위로와 공감이 사람을 살리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이 책은 "늘 그랫듯이 우리는 길을 찾을 것이다." 란 영화의 대사가 생각나는 희망을 말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