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3국의 커피, 누들, 비어 - 프렌치 커넥션을 따라 떠나는
이영지 지음, 유병서 사진 / 이담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도차이나 반도라 하면 인도와 중국 사이에 있는, 사이에 낀 나라들을 말하는데 대표적으로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가 자리하고 있다. 이들 나라의 공통점이라 하면 19세기, 1863년부터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지역들이었다. 공통된 아픔을 가지고 있는 나라들이지만 그 문화적인 차이는 상당하다.

"베트남인은 쌀을 심는다. 캄보디아인은 쌀이 자라는 것을 본다. 라오스인은 쌀이 자라는 소리에 귀 기울인다."

3국의 문화적 차이는 위와 같은 말로 표현되는데 베트남은 중국식 유교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라오스, 캄보디아는 인도˙힌두문화의 영향으로 불교와 힌두교가 발달했기 때문이다.

메콩강을 따라 발달한 음식문화 중 피시소스 또한 빠질 수 없는데 우리나라 액젓같은 소스로 거의 모든 음식에 쓰인다. 지금부터 이야기 할 국수에도 빠지지 않는 소스가 바로 피시소스이다.

프랑스의 지배를 받은것 외에 또다른 공통점이 있다면 바로 커피와 국수와 맥주이다.

커피하면 이제는 우리나라도 베트남 커피를 알아준다. 바로 베트남의 최대커피 체인점 '콩' 카페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코코넛 스무디 커피' 와 연유커피인 '카페 쓰어다' 가 한국에서 유행을 했었다.

그리고 베트남 커피는 세계 생산량 2위를 차지하고 있어 거의 모든 인스탄트 커피의 재료가 바로 베트남 커피를 사용하고 있을 정도이다.

인도차이나 3국 중 커피는 베트남이 제일이다. 해외 이주도 많이하여 베트남 쌀국수도 전세계적으로 많이 전파를 한 것을 보면 베트남이 커피와 국수, 맥주를 전 세계에 알린 공로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아쉽게도 ,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3국의 커피 누들 비어 음식여행기이지만 끝까지 읽고나니 캄보디아란 나라의 매력이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커피는 베트남이고 맥주는 라오스, 사원은 '앙코르 와트' 의 캄보이다란 결론이다.

저자도 라오스에서의 여행이 더 좋았는지 라오스에 지면을 더 많이 할애하였다.

크루아상과 바게트도 맛있는 곳이라니 라오스를 좋아할 수 밖에.

커피 누들 비어의 완벽한 3종을 즐기고 싶다면 단연코 라오스로 가고 싶다.

커피 누들 비어가 이들 3국의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에 깊이있는 내용을 기대하였지만 단편적이나마 프랑스 지배를 받은 3국의 음식 문화를 조금이라도 알 수 있었던 걸로 만족한다.

-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쓴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