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 여왕
가와조에 아이 지음, 김정환 옮김 / 청미래 / 2020년 8월
평점 :
절판


요즘 중학생 아들때문에 수학에 관심이 많다.

수포자는 의외로 빨리 결정되는것 같다.

초등학교 5학년만 되도 수학을 싫어하게 되고 가정에서 관심을 갖지 않으면 아이들의 수학포기는 일찍 결정된다.

요즘은 문과생, 이과생을 구분짓는 기준이 수학을 잘 하느냐, 못하느냐로 갈린다.

그래서 수학이 아이들의 진로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만큼 수학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가 없다.

그리고 노력도 안해보고 수학을 포기하게 만들고 싶지않아 관심갖고 책을 살펴보는 중에 만나게 된 책이 바로

<수의 여왕> 이다.

이 세상의 모든 수는 소수와 소수가 아닌 수로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는것도 무리는 아니기에

이 책의 주요개념은 소수素數를 이해하느냐 못하느냐에 달려있을 정도로 그 비중이 크다.

인간이나 요정은 자신의 '운명수'를 가지고 태어난다.

큰 숫자이면서 소수를 운명수로 받은 인간 또는 요정은 특별한 존재이다.

그래서 악독한 왕비는 그 운명수를 바꾸어 불멸의 수를 가지길 욕망하면서 사건은 진행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내용은 단순하지만 그 안에 수학을 접목시키면서 흥미를 일으키는데, 피보나치의 수열이나 페르마의 정리 등의 인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수학의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친절하게도 글의 마지막 페이지엔 수학용어를 잘 정리해 놓아 다행이다.

소수를 이해하는 학생들이라면 어렵지 않게 읽을 것이고 소수 자체를 이해 못한다면 내용전개가 어려울 수 있겠다.

이 소설은 많은 부분에서 신화 또는 성경을 차용한 부분이 눈에 띈다.

먼저, 태초에 신이 낙원에 완벽한 인간을 한명 만든다. 그러나 곧 '그림자' 의 유혹을 받아 불멸의 신이 되고 싶은 욕망으로 신의 노여움을 사 낙원에서 추방된다.

그리고 먼 훗날 어느 악독한 왕비 역시 불멸의 신이 되고 싶은 욕망에 사로잡혀 있다.

그리고 거울을 이용하고 난쟁이 요정이 나오는 부분이 그렇다.

그래서 이야기 전개가 더 친숙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아이들을 위해 읽은 수학 소설이지만 내가 재미있게 읽은거 같다.

수학이론도 새록새록 기억나고... 하지만 수학공부를 위해 이 책을 읽는다면 큰 도움이 되진 않을것 같다.

그저 수학에 흥미만 일으켜도 성공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