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은 헛되지 않아요 - Suffering is Never for Nothing
엘리자베스 엘리엇 지음, 정성묵 옮김 / 두란노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것은 에콰도르로 선교를 갔다가 그 땅의 원주민 부족에게 인사 한마디만 남긴채 죽은 다섯 청년들 중 하나인 짐 엘리엇의 부인 '엘리자베스 엘리엇' 의 이야기이다.

사람들은 짐 엘리엇의 죽음을 헛된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그의 부인 엘리자베스를 포함하여 그의 자녀들과 2년 뒤 다시 에콰도르 아우카족을 다시 찾아 여러 해 동안 헌신합니다.

다행히 그 부족은 여자를 죽이는건 비겁한 짓이라고 그냥 살려두었다고 합니다.

그곳에서 16년 뒤 미국으로 돌아온 그녀는 재혼을 합니다. 하지만 그는 3년 반 만에 암으로 세상을 떠납니다.

그녀만큼 힘든 일을 겪기도 쉽지 않겠지만 우리 모두 다양한 일들을 만나고 또 어떤 경우엔 왜 그런일이 일어나는지 알지 못한다.

바로 그 때 그녀는 깨닫습니다. 가장 큰 고난을 통해 하나님이 주신 교훈을 알게 되었노라고...

우리는 때로 설명할 수 없는 고통을 마주하곤 한다. 어떤 이는 좌절하고 어떤 이는 하나님을 떠난다.

그러나 우리가 이것을 푸는 열쇠는 바로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예수님을 통해서만 풀 수 있는 문제다.

마치 욥기의 이야기처럼...욥은 왜 사탄이 자기에게 그런 일을 저질렀는지 알지 못한다.

대신 하나님은 욥기에게 나타나신다. 욥의 질문에 답을 주는 대신 하나님 존재 자체를 드러내신 것이다.

믿음에 중간 지대는 존재하지 않는다. 믿든가 안 믿든가 둘 중 하나이다.

내가 아는한 이 세상 어떤 종교도 신 앞에 '왜 그렇게 하셨냐고 ' '나한테 왜 그러시냐고' 따지는 경우를 본적이 없다. 신에게 복종하고 신을 달래려 하지 감히 어떻게 따지는가.

그러나 하나님은 그렇지 않으신다. 우리의 모든 고통을 들으신다.

우리가 원하는 기도를 100% 들어주시지 않으시지만 우리를 100% 통제하지도 않으신다. 하나님과 우리는 인격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우리의 고통이 헛되지 않은 것은 100% 의미가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말씀을 수용한 이게는 그 의미를 알려 주실 것이고 등을 돌리고 외면하는 이에게는 영원히 알 수 없는 원망만 남을 뿐이다.

에콰도를 원주민은 결국 어떻게 되었는가. 그들은 부족을 담당하는 교회의 목사가 되었고 주님처럼 선교사들처럼 살고 싶다고 간증한다.

너희는 가만히 있어 내가 하나님 됨을 알지어다.(시편 46편 10절)

엘리자베스는 하나님이 하신 일을 수용하였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일어났다.

이런 간증을 들었을 때 그녀는 얼마나 행복하고 감동했을까. 하나님이 하신 일에 감사 기도를 올렸을 것이다.

받아들임(수용)과 감사. 그리고 드림.

어떤 사건이 일어났을 때 우리의 반응은 어떤 것인가. 불평 불만? 신경질 또는 원망? 감사?

어렸을 때 부모님께 선물을 드리고 싶을 때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어린 나이에 우리에게 선물을 사드릴만한 충분한 돈은 없었을 것이다. 부모님이 주시지 않으면 우리는 선물을 드릴 수 없는 상황 말이다.

우리 삶은 거저 받은 것이므로 모두 드릴 것이 된다. 삶의 모든 고통까지도.

하나님은 모든 것을 원한다. 100% 순종, 범사(모든 일)에 감사, 모든 삶을 드림.

그녀는 남편 짐 엘리엇의 죽음 이후에 이 모든 것을 깨달았다. 모든 것을 드리는 삶이 되라는 것을.

그녀에게 고통은 헛되지 않은 삶을 산 증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