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왜 이러나 싶을 땐 뇌과학 - 뇌를 이해하면 내가 이해된다
카야 노르뎅옌 지음, 조윤경 옮김 / 일센치페이퍼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내가 왜 이럴까 하는 생각이 자주 한다.

아니 요즘 사회가 '나는 왜 그럴까' 또는 '내가 누구인지 알고 싶다' '내 마음을 나도 모르겠어' '누군가 내 마음을 알아주면 좋겠어' 등의 마음찾기 등을 하려는 노력을 많이 한다.

그래서 그런지 이제 정신상담을 받아도 미친사람 취급하지 않으며 그 사람을 이해하려고도 하고 자기 지신과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통해 위로 받기도 한다.

그래서 진화심리학, 신경인류학 등의 학문도 사람이 왜 그렇게 행동하게 되는지, 사람들의 심리와 행동이 어떻게 진화되었는지를 밝히려 하고 있다.

이제 뇌연구를 통해 우리들의 행동과 심리를 알아내는데까지 이르렀다.

이 책은 우리의 뇌가 우리의 마음과 행동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밝혀내려고 한다. 심리상태를 쫓기 보다는 그 마음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뇌의 기능을 찾으려는 노력이다.

 

5억년 전 생명체의 머릿속에는 일명 '파충류의 뇌' 만 존재했다고 한다. 2억 5천 년이 지난 후엔 '구포유류의 뇌' 또는 '감정의 뇌' 가 발달하고 '대뇌피질' 은 2억년 전쯤부터 발달하기 시작했으며 '신포유류의 뇌' 즉 인간의 뇌를 형성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 20만년 전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능만 갖춘 '파충류의 뇌' 는 가장 원초적인 뇌이고 '대뇌피질' 이 증가한 인간은 최근에 발달한 뇌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이 책은 뇌에 대한 폭넓고 깊은 이야기이다.

대뇌 소뇌 중뇌 전두엽 회백질 뇌간 해마 시냅스 대뇌피질 등 뇌의 모든 것을 총망라해 인간을 설명하고자 한다.

성격의 형성에서부터 기억력과 학습하는 뇌, 길을 찾는 뇌, 감정에서 지능, 그리고 중독까지 우리 뇌가 작동하는 방식을 방대하게 설명하려 애쓴다. 그로인해 우리의 행동과 본능이 어느 한쪽으로 강하게 작용하려고 할 때 뇌의 특정한 어느 부위가 손상되었는지를 가늠하게 된다. 예를 들면 측두엽과 전전두엽 손상 시 성욕이 강하게 나타나는 같은 경우이다.

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짠맛에 끌리는 건 미네랄을 위해, 감칠맛에 끌리는 건 고기를 통해 단백질을 공급받기 위해, 또한 달고 지방함량이 높은 음식에 끌리는 것은 즉각적인 에너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우리 뇌는 20만 년 전 그때처럼 아직도 먹을 것이 부족하다고 잘못 인식하고 있다. 어떻게 보면 뇌의 일부는 인간의 발전 속도에 따라오지 못하고 시대에 뒤처졌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무엇을 먹을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바로 뇌다. 우리는 단지 우리 자신의 건강을 위해 뇌를 설득하고 있을 뿐이다.

참으로 뇌에 대해 많은 것을 이야기 하는 책이지만 'A는 B이다' 라고 정확한 결론을 찾기는 힘들다.

아직 우리는 뇌에대해 많은 것을 알아야만 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뇌에 대한 많은 정보를 주며 인간이라는 동물에 대해 많은 이해를 돕는 책이다.

'내가 왜 이러나' 하는 마음을 이해할려고 읽었지만 아직은 그에 합당한 정확한 답은 찾기 어려워 보인다.

그만큼 우리 인간의 뇌는 미지의 영역이다. 제목에 끌려 읽는다면 실망이 많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