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왜 이러나 싶을 땐 뇌과학 - 뇌를 이해하면 내가 이해된다
카야 노르뎅옌 지음, 조윤경 옮김 / 일센치페이퍼 / 2019년 10월
평점 :
요즘 내가 왜 이럴까 하는 생각이 자주 한다.
아니 요즘 사회가 '나는 왜 그럴까' 또는 '내가 누구인지 알고 싶다' '내 마음을 나도 모르겠어' '누군가 내 마음을 알아주면 좋겠어' 등의 마음찾기 등을 하려는 노력을 많이 한다.
그래서 그런지 이제 정신상담을 받아도 미친사람 취급하지 않으며 그 사람을 이해하려고도 하고 자기 지신과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통해 위로 받기도 한다.
그래서 진화심리학, 신경인류학 등의 학문도 사람이 왜 그렇게 행동하게 되는지, 사람들의 심리와 행동이 어떻게 진화되었는지를 밝히려 하고 있다.
이제 뇌연구를 통해 우리들의 행동과 심리를 알아내는데까지 이르렀다.
이 책은 우리의 뇌가 우리의 마음과 행동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밝혀내려고 한다. 심리상태를 쫓기 보다는 그 마음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뇌의 기능을 찾으려는 노력이다.

5억년 전 생명체의 머릿속에는 일명 '파충류의 뇌' 만 존재했다고 한다. 2억 5천 년이 지난 후엔 '구포유류의 뇌' 또는 '감정의 뇌' 가 발달하고 '대뇌피질' 은 2억년 전쯤부터 발달하기 시작했으며 '신포유류의 뇌' 즉 인간의 뇌를 형성하기 시작한 것은 불과 20만년 전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능만 갖춘 '파충류의 뇌' 는 가장 원초적인 뇌이고 '대뇌피질' 이 증가한 인간은 최근에 발달한 뇌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이 책은 뇌에 대한 폭넓고 깊은 이야기이다.
대뇌 소뇌 중뇌 전두엽 회백질 뇌간 해마 시냅스 대뇌피질 등 뇌의 모든 것을 총망라해 인간을 설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