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개념미술의 실험 무대 ― 런던 언더그라운드전

Sep. 27. 2001 |1988년 런던 동부 도클랜드의 한 창고에서 데미안 허스트, 게리 흄, 사라 루카스, 사이먼 패터슨, 질리안 웨어링 등 골드스미스 미술대학생들을 주축으로 열린 ‘Freeze’전이 YBA(Young British Artist)세대를 출범시켰다면, 화력발전소 건물을 개조해 2000년 5월 개관한 테이트 모던 갤러리는 런던을 현대미술의 새로운 중심지로 부각시켰다. 제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현대미술의 중심지가 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겨왔지만, 이제 21세기 미술계가 주목할 곳은 영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성곡미술관에서 9월 19일부터 11월 18일까지 열리는 런던 언더그라운드전은 이처럼 주목받고 있는 영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폭넓게 관찰할 수 있는 기회다. YBA의 산실인 골드스미스 대학을 비롯해 로얄 아카데미, 로얄 컬리지 오브 아트, 런던 시티대학 교수로 재직중인 중진작가들부터 현재 활동중인 YBA 세대에 이르기까지 참여작가 13명의 연령대가 다양하고, 작품 형식도 설치미술, 평면회화, 영상작업 등 다채롭지만 그들의 작품에는 공통적으로 개념미술적 성향이 드러난다. 런던의 지하철을 의미하는 이번 전시의 제목 ‘런던 언더그라운드’는 이들의 작품세계를 함축한다. 런던 지하철은 누구나 제한 없이 사용하는 열린 공간이며, 역 안에서는 대중문화의 꽃인 영화포스터와 고급문화를 상징하는 로얄 오페라 광고가 공존하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고급문화와 대중문화가 혼재하는 하이브리드적 특성을 반영하는 단어가 ‘런던 언더그라운드’인 셈이다.

하이브리드 문화를 반영하는 개념미술의 현장
예컨대 YBA 작가 중 한 명인 사이먼 패터슨의 작품 ‘Great Bear’는 이번 전시의 개념적 측면을 가장 적절하게 보여준다. Great Britain을 연상시키는 Great Bear(큰곰자리)로 작품명을 정한 패터슨은 런던 지하철 노선도에 명기된 역 이름을 철학자, 성인, 코미디언, 축구선수, 영화배우, 언론인, 음악가, 화가 등의 이름으로 바꾸면서 지하철의 노선도를 인간이 밟아온 다종다양한 문화의 전개도로 변모시켰다.

하이브리드 문화를 반영하는 작품 경향은 로얄 아카데미 교수 데이비드 맥의 콜라주 작업, ‘탑건’, ‘사운드 오브 뮤직’ 등 영화 이미지를 조합해 호모섹슈얼한 이슈로 재편한 돈 배리의 포토몽타주에서 두드러진다. 현대적 주거 인테리어를 모노크롬 회화로 옮기고 중국의 수묵화재료를 이용해 마감한 새디 머독의 작품 역시 서양의 모더니즘과 동양의 선(禪, zen)사상이 결합된 독특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의 부대행사로 9월 20, 21일 양일에 걸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곡미술관, 주한영국문화원에서 열린 강의는 영국 현대미술교육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성곡미술관 큐레이터 이지윤씨는 “한 도시에서 진행중인 미술 경향의 다양함은 한 가지 형태로 일반화될 수 없다. 이번 전시는 영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젊은 작가들만의 전시가 아니며, 2001년 런던 미술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일종의 스냅 샷인 셈이다. 이번 전시를 계기로 현 영국 미술세계의 모습을 미술시장·미술행정·미술교육의 차원 등 다양한 각도에서 재조명하는 기회가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전시기간 동안 화∼금요일 오후 2시, 토·일요일 오후 2시·4시에는 작품설명 시간이 마련되며 월요일은 휴관한다. 관람료 성인 2천원, 학생 1천원. 문의전화 02-737-765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5-04-01 12: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5-04-02 14: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1930
Solarised portrait of a woman thought to be Meret Oppenheim
Paris France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0da 2005-03-30 15: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암스텔담에서 만난 그녀가 생각난다...
1930이란 숫자를 한참 쳐다 보았었다.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카타야마 쿄이치 지음, 안중식 옮김 / 지식여행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
제목이 주는 무게와 멋으로 저번 주에는 책을 구해 읽고
그것 만으로는 명성에 부족함을 느껴
어제와 그 전날, 연 이틀 통안, 드라마 11회+특집편을 구해 시청하였다.

어떤 내용이냐구 묻는 친구에게
응.. 고등학교 때 연애 못했으면 살아 뭐하나... 란 내용이냐구 간략하게 얘기했지만,
이 웃지못할 한 줄의 요약에는 다른 나라의 얘들과 얘기 나눌 때
우리네 고교생의 단조롭고 무미건조한 생활에 대한 상대적인 빈곤감이 묻어난 지난 세월에 대한 나의 한탄과 같은 느낌이 묻어 있었다.

사랑이란 감정은 샘물과 같아서 퍼주면 퍼줄수록, 나누면 나눌수록
더욱더 맑고 깊은 곳에서 우러나온 것임을 망각하며 살아온 것은 아니지만
이론과 실제는 이렇게 다른 것을...
혹시 내가 존재하지 않는 상대를 붙들고 사랑한다. 사랑한다. 사랑한다. 고백하며 살아온 것은 아닌지,
내 주위에 나도 모르게 내 손에서 놓아버리고 있는 나의 사랑은 없었는지
헥헥거리며 등산하는 동안 나눴던 내 심장과의 대화를 오늘 이렇게 털어놓아본다.

사랑한다. 사랑한다. 사랑한다.

2004년 10월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ave newspaper become a medium of the past or do they st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people’s lives?

 

There was a time when TV came; everybody was worried that Radio would disappear for good. But as we can see, Radio is still taking its important role. How about newspaper? Are they going to lose their position as a mass medium that gives the most current information to people?

 

In the past, newspapers used to be people’s only access to information. For example, during  World War ll, people were waiting impatiently for the newspaper to be issued. They could find hundreds of casualties and the wounded in it and they could read and judge editorials and articles, which they felt were credible.

 

The situation now has changed. Newspaper is not the only way to get information and people don’t give them absolute credit any more. We can find various media, which has fast and easy access to information like the internet which offers virtually unlimited information. You don’t have to go a newsagent as newspapers are on line as well and logging on is all you have to do. The internet has the most current news available. However, the flood of information and hearsay opinions can lead us to get narrow sighted or to be skeptical basically on every information.

 

Newspaper doesn’t sit back and watch the other media go ahead. It evolves into easy to read and get, like Metro on the London underground. It is provided for free and still very popular. Several people will read probably one copy in turns. How about tabloids? The Evening Standard prints several versions in a single day to deliver the most current news which compares with the speed of the internet. Newspapers evolve and are still taking successfully their part in people’s lives, I believe.

 

From time to time, newspapers will change their shapes, the way of printing for economical reasons and so on. I personally still like to grab and hold the paper and scan it to find what I want to read anywhere without any help of electric materials.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0da 2005-03-30 1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The Evening Standard도 metro못지 않게 대중교통을 이용했던 나를 심심치 않게 했다.~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증보판 리라이팅 클래식 1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고향을 감미롭게 생각하는 사람은 아직 허약한 미숙아다. 모든 곳을 고향이라고 느끼는 사람은 상당한 힘을 갖춘 사람이다. 그러나 전세계를 낯설게 느끼는 사람이야말로 완벽한 인간이다."

- 신비주의 스콜라 철학자 '빅톨 위고'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읽고 고전평을 한 책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에서 발췌한 quote.

cy site 프로필에 쓴 나의 글과 유사한 점을 발견하여 옮기나
읽어볼 수록 감히 그 경지를 헤아릴 수 없음에 감탄을 보낸다.
전세계를 낯설게 느끼는 사람... 이란 어떤 사람일까?
너무나 인간적인 사람? 두려움을 감추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람? 아님 낯선 풍광을 여전히 탄복으로
날카롭게 신에게 감사하며 받아들이는 사람?...
what do you say?


2004년 10월 11일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