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천추범 - 1896년 민영환의 세계일주
민영환 지음, 조재곤 옮김 / 책과함께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夢影님의 책 리뷰를 읽고 문득 작년에 읽었던 책이 생각나서 뇌리에서 끄집어내어 보았습니다.

夢影님께서 읽으신 책이 구한말 조선을 여행한 러시아인의 이야기라면, 이 책은 러시아를 여행한 조선인의 이야기. 뭐 저자를 보시면 금방 아시겠지만 구한말의 정치인 민영환입니다.

1896년 아관파천 후 일본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위해 러시아와의 관계를 강화하기로 한 대한제국의 고종은, 1896년 이루어진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민영환을 특명전권공사로 파견합니다. 이 책은 바로 이때 민영환이 러시아로 여행하면서 겪었던 일들을 보고서도 할 겸 일기식으로 쓴 물건입니다.

민영환은 이 여행으로 중국, 일본을 거쳐 캐나다, 미국, 유럽을 지나 러시아에 도착하고, 러시아에서 귀국할 때에도 시베리아를 지나 세계일주를 했습니다. 한국 역사상 최초의 세계일주라는 겁니다. 한편 이 책에서는 부사로 수행했던 윤치호, 김득련 등의 서술을 병행하고 있으며 또 당시 상황에 대한 해설도 더하고 있습니다. 딱히 다른 책을 찾아보지 않아도 이 한 권만으로도 격동의 세계사가 수중에!(그건 과장)

이 책에서 민영환은 자신이 보고 들은 것, 느낀 것을 유교 지식인의 관점이긴 하지만 몹시 신기해하고 감탄하면서 서술하고 있는데 그 표현이 재미있었습니다. 이후 귀국한 그는 민씨 세족의 일원이기 이전에 한 사람의 개화파 정치인으로서 활약하게 되지요. 비록 그 결말은 모두가 아는 대로이지만....

민영환은 자신이 본 니콜라이 2세도 상당히 추어주고 있었습니다만, 러시아는 어디까지나 자국의 입장에서 조선을 지원하고 있었지요. 결국 그는 러시아의 군사적 지원을 얻어낸다는 자신의 임무를 다 하지 못하고 맙니다. 윤치호는 이것이 민영환의 무능력인 것처럼 까고 있지만, 저는 윤치호라는 인물을 굉장히 싫어하기 때문에...=ㅅ= 우선 자신이 좀 잘났다고 자기 외에는 다 병신인 것처럼 일기에 써놓는 사람은 보기 그렇네요=ㅅ=

무엇보다 민영환이 자살이 아닌 살아남는 것을 선택했다면, 그도 니콜라이 2세의 몰락과 죽음을 보게 되었을 테지요. 그때 그가 무슨 감상을 품었을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외에도 시베리아에서 살아가던 조선 이주민들의 모습이라든가, 볼 거리도 생각할 거리도 많은 책이었습니다. 전 까먹고 있었지만(...)

역사란 것은 다문 하나의 이야기로 끝나는 것이 아니지요. 조선을 바라본 러시아인이 있는가 하면, 러시아를 바라본 조선인이 있습니다. 구한말이라는 역사를 알고자 한다면 그 양면을 다 아울러야 하나의 역사를 완성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은 이런 종류의 책이 많이 나오니까 보람도 있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