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흔적 도감 - 흔적으로 찾아가는 야생동물 생태 기행
최태영.최현명 지음 / 돌베개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어렸을 때부터 야생동물 이야기를 좋아했습니다. 현재는 늑대 오타쿠로 알려져(?) 있지만 좀 더 어렸을 때에는 곰에 열광했었지요. 그리고 곰이 나오든 안 나오든 간에 '퀴즈 탐험 신비의 세계'가 방영하는 금요일에는 득달같이 TV앞으로 달려가곤 했습니다. 지금도 TV가 있는 환경에서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디스커버리 채널의 야생동물 다큐멘터리를 가장 즐겨 봅니다.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촬영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야생동물의 모습을 포착하는 걸까요? 카메라를 들고 무턱대고 정글이나 삼림에 한 발짝 내디딘다고 해서 야생동물이 나와주는 것은 아닐 터입니다. 다른 동물의 낌새를 느끼고 몸을 감추는 것은 그들의 필수 교양이 아닐까요. 어쨌든 그들로서는 생사를 좌우하는 문제이니 말이지요.

이 책은 그런 야생동물의 흔적을 어떻게 읽는지, 그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어떻게 그려내는지 알려주는 책입니다. 삼림 곳곳에 CCTV를 설치하는 것이 아닌, 그들의 발자국과 배설물과 먹고 남은 먹이를 통해서 말입니다.

정말로 굉장한 것은, 이 책에 수록된 사진이 저자들이 직접 찍어 장소까지 표시한 사진이라는 것입니다. 그 다종다양한 볼륨에는 감탄이 나올 지경이에요. 그러나 야생동물의 삶의 모습을 생생히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 보기 좋지는 않습니다. 적어도 4할 이상이 대변=ㅅ= 사진이고, 최소한 2할은 시체나 뼈 사진이니 말이죠.

...그러나 대로가 말끔한 것이 당연한 콘크리트 도시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생각에는 미치지 않는 일이겠지만, 그것들은 엄연히 야생동물의 삶의 일부인 것입니다.

진정한 야생동물 전문가들은, 또한 다른 야생동물들 역시, 더렵다거나 끔찍하다고 피해버릴 배설물이나 시체를 통해 이름 모를 누군가의 삶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스라소니의 대변 끝이 뾰족하게 되어 있는 것을 보고 그 스라소니가 털 많은 동물을 먹었음을 짐작하고, 그 마르고 젖은 상태를 통해 스라소니의 배가 부를지 고플지도 가늠하는 것도 가능하고, 죽어있는 새의 뼈의 상태를 보고 그 새가 불의의 사고로 죽었는지 혹은 육식동물이나 다른 맹금류의 공격을 받았는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 흔적들은 소위 문명인이라고 하는 현대인에게 있어서는 더러운 잔해일지도 모르지만, 야생동물들 자신에게는 그 몸으로 남겨놓은 삶 그 자체-

....그래서 설 연휴 도서관이 문을 여는 동안 끙아 사진을 아주 열중해서 보고 있었다는 겁니다=ㅁ=/ 우와 곰 응가는 사람 응가랑 제법 비슷하구나아- 라든가....ㅇ<-<

아니 뭐 좋지 않습니까? 그것들은 어찌되었건 삶의 일부이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