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구의 역사 에이케이 트리비아북 AK Trivia Book
다카히라 나루미 지음, 남지연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나 재미있고 흥미진진한 AK Tivia 시리즈!

저자의 의욕이 만만인 건지, 본문 시작하기 전부터 속표지에 신화 속 방어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머리말에서 저자 역설하길 판타지 문학이나 신화, 전설 등지에는 무기가 각광을 받지만 실제로는 방어구가 더 가치가 높았답니다. 아... 넵....

본문을 볼 것 같으면 1장은 고대에 방어구가 생겨난 경위와 발전상. 이어 2장부터 유럽, 3장 일본, 4장 중국, 5장은 기타 지역을 다룹니다. 어째 순서가 탈아입구라는 인상도?=ㅅ=

게다가 일본 외에는 전부 상대적으로 간략한 느낌이네요. 유럽 중세 갑옷의 특징이나 명칭도 유럽 쪽 설명이나 분류와는 사뭇 다른 느낌을 주고.... 이 책에서는 화승총이 오히려 플레이트 아머의 발달을 가속화 시켰으며 관통력 높은 라이플의 등장으로 쇠퇴했다고 쓰고 있는데 다른 글에 따르면 선형진의 발달로 일점사가 가능해진 것을 쇠퇴의 원인으로 꼽고 있습니다. 뭐, 역사에 여러 이론이나 토론이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만....

그리고.... 이 또한 당연하다면 당연한 일입니다만, 일본 비중이 마구잡이로 높아요!=ㅁ=

그나마 트리비아 시리즈답게 도해로 갑주의 형태를 묘사하고 있어 다행입니다. 결국 갑옷 입고 칼부림하는 광경이 전혀 평범하지 않은 시대에 갑옷의 구조며 형태라니 실물을 보지 않으면 구분할 수 있을 리 없으니까요. 아니, 실물을 봐도 구분할 수 있을는지...=ㅅ=

여하튼 서양은 물론이고 이어지는 중국, 기타 지역은 댈 수도 없을 정도로 역사와 종류... 특별한 부속물의 명칭까지 세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는 왜 이런 내용을 메모장에 정리하고 있는 걸까요... 일본 배경의 글을 쓸 예정도 없으면서....

갑옷을 보관하는 상자를 [세인트 세이야]의 갑옷 상자에 비유한 데에는 좀 뿜었습니다. AK에서 번역 출간하는 책의 저자들의 덕력은 언제 봐도 보통 이상이라니깐요. 하지만 갑옷 상자라니, 중세 유럽을 모티브로 한 세계관에서는 과연 일본에서 나온 작품이 아니면 볼 일 없는 물건입니다. 일본에서야 가문 대대로 내려오는 갑옷을 갑옷 상자까지 포함해서 일습으로 간주하고 소중히 다루었습니다만.... 비슷한 키워드로 아무리 검색해봐도 서양의 갑옷에 상자가 딸려 있었다는 이야기는 없군요 흠....

...책 이야기로 돌아와서. 거듭 말하게 되었습니다만 일본 외의 서술은 찬물에 밥 말아먹는 것보다 단출합니다. 중국 갑옷도 역사며 종류가 굉장할 텐데 이건 라멜라, 이건 스케일이라는 식으로 형식만 간단히 서술합니다.

.....그나마도 4장 중근동, 인도, 아메리카, 현대까지 퉁쳐버리는 챕터보단 낫네요! 여기에서는 아예 개그 레벨의 물건까지 언급된다. 오세아니아 전사들이 썼다는 복어(??!!) 투구라든가.

.......그냥!!! [일본 갑주의 역사]로 책을 내는 편이 나았을 거라 생각해요!

(그렇게 해버렸다면 한국에서는 안 팔렸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