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은 어떻게 신이 되는가
고마쓰 가즈히코 지음, 김용의 옮김 / 민속원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인은 어떻게 신이 되는가 / 고마쓰 가즈히코 지음 ; 김용의 옮김 ; 민속원 2005

호젓하면서도 엄청난 마이너 도서를 보유한 본가 앞 도서관에서 대출한 책입니다. 감상을 쓰려고 보니 민속원 출판사네요. 일반인에게는 대나무하이퍼 마이너하지만 제 취향은 완벽하게 꿰뚫고 있는 출판사입지요. 망하지 말아라...(/먼산)

각설하고... 이 책은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일본의 신도 문화에 대해서 연구한 책입니다. 일본의 신도에서는 실제 역사 인물을 신으로 섬기는 경우가 많지요. 계기만 있으면 평범한 일반인도 신이 되는 게 가능하다던가요. 이런 신도 신앙의 메커니즘을 알면 야스쿠니 신사 건으로 매번 개거품을 무는 일도 조금은 줄어들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열받기는 매한가지더군요. 껄.

일본에서 신으로 섬겨지는 인물들에 대해 그들의 신변과 섬겨지게 된 배경 등을 대략적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만 치명적인 것은 일본을 어느 정도 알지 않으면 여기에 소개된 역사적 인물을 도무지 알아먹을 수가 없다는 점. 최소한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막부 시대, 전국 시대, 에도 시대의 개요 정도는 알지 않으면 책을 읽어도 전혀 이해가 안 될 것 같더군요;

그 와중에도 인접 국가에서도 알만한 사람이 있어 재미있었다면 재미있었지만....

특히 아베노 세이메이에 대해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음양사라는 직업으로 유명한 헤이안 시대의 인물. 영화, 소설, 만화 등으로 한국에서도 그럭저럭 인지도를 얻고 있지 않겠습니까. 물론 그 사정은 일본에서도 피차일반이라, 그러한 미디어 매체로 아베노 세이메이를 접한 사람들이 아베노 세이메이를 모신 신사에 문전성시를 이루며 참배하러 온다는 책 속의 이야기에는 이거 참.... 게다가 그걸 말하는 저자의 어조가 묘하게 불만스럽게 들리는 것은 저만입니까?(...)

한 가지 괴로웠던 점은 책 속에서 아베노 세이메이의 표기가 국어 문법 외국어 표기법을 충실하게 따라서, 아베노 세메로 되어 있었다는 점.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다는 분은.... 자신의 행복에 기뻐해주세요. 으흑.

그밖에 뜻밖이었던 사실은 신사에서 신으로 모시는 인물 중에 무려 한국인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이름은 이삼평李參平. 임진왜란 당시 일본으로 끌려간 도공으로, 아리타야키라는 도자기의 창시자로서 신사에까지 들게 된 모양입니다. 일본 관점에서 한국의 도공에 대한 이야기를 볼 수 있는 것이 포인트. 덧붙여 이삼평이 일본으로 가게 된 일화로 책에서 소개하는 것으로는 일본의 군대를 인도하여 승리로 이끈 뒤 귀국하는 길에 따라왔다는 식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만, 이 점은 저자조차 태클을 걸더군요=ㅅ=

뿐만 아니라 콜레라와 싸우다 순직한 순사(경찰관)가 신으로 모셔졌다는 등 알기 쉬운 이야기도 많아서, 가로세로 잴 것 없이 잘난 사람만 신도의 신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신기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