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정부
엘리노어 허먼 지음, 박아람 옮김 / 생각의나무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정부政府가 아닙니다. 정부情婦입니다.

어째서 세간에 스포츠 찌라시라든지 가쉽 잡지가 인기가 있는지 납득하는 심정으로 읽었달까요....(먼 눈)

그런 의미에서 꽤 흥미진진했습니다. 요사스러운 독부에서부터 비도덕적인 지위가 어울리지 않을 만큼 청순한 여성이며, 고귀한 출신에서부터 거리의 창녀임에도 왕의 총애를 받은 인물, 심지어 불감증을 가진 인물도 있었다고 하니 참 다채롭군요. 물론 워낙 세태에 따라 평이 확확 바뀌는 존재가 정부이니만큼 지면 그대로 믿을 수는 없지만요.

이 책은 특히 유럽 절대왕정 시대의 화려한 왕궁에서 꽃핀 왕의 여인들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개개인의 삶이나 역사적 상황을 망라하기보다는 몇 가지 성격으로 나눌 수 있는 정부상과 왕비와의 관계, 왕과의 관계, 그리고 몰락과 그 후의 삶 등 주제를 세워 서술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새삼 깨달은 것이 있습니다. 유럽 절대왕정이라고 하면 당시로서는 세계의 판도를 좌지우지하던 때였습니다만... 부풀어가는 권력과 부 이면에는 가냘프게 명맥을 유지하던 종교의 권위가 자리잡고 있었죠. 그렇기에 결혼의 성사 하에 이루어지지 않는 정욕의 산물, 왕의 정부라는 것은 왕의 권위(혹은 물욕)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면서 도덕에 반하는 타락한 존재로 그 시대에서는 결코 정당화될 수 없었던 불안하고 가엾은 존재였다고.

물론 지금의 도덕과 당시의 도덕을 비교하는 것은 무리겠지만... 아니 그보다 저부텀도 그런 시대에 살았다면 '도덕적이지만 나라를 말아먹는 군주'와 '정부랑 신나게 놀아나지만 나라는 잘 다스리는 군주' 중에 후자를 택하겠어요. 뭐 실제로 대부분의 군주가 '정부랑 놀아나다가 나라 말아먹는 군주'라는 건 알지만(먼 눈)

세상 살기 힘들다, 힘들다 해도 그때에 견주자면 우리는 행복한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최소한 부도덕한 관계를 한편으로 용인하고 한편으로 부정하는 그런 이중 잣대는 주어지지 않았으니까요. 아직도 세상의 많은 사람들이 부조리와 편견에 맞서 싸우고 있지만, 우리에게는 그 부조리를 알 자유도 권리도- 그리고 그것과 싸울 책임도 주어져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