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과 이행 (양장) - 러시아혁명의 현재성과 21세기 이행기의 새로운 혁명 전략
제8회 맑스코뮤날레 엮음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0. 

무엇보다 존경하는 선생님들의 의견에 감사드립니다.

건의드렸던 (연속)이행하는 2 track 전략론 중 일단( 최소한 결정적 반증 연구들이 (충분히) 축적되지 않는 이상)은 MF track을 유보하는 것으로 정리하겠습니다. 

[   이러한 제1전제 하에, 이하는 반론의 맥락은 전혀 아니고 진심을 다한 경청을 약속드리는 전제 하에 사태의 다른 측면들에 대한 일말의 재검토도 부탁드려본다는 의미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그런데 이렇게 되면 결국 이런 (평면적) 적록보라란 그 본질이 확장된 SF(, 즉 이원/이중체계론이었던 SF가 확장된 삼원/삼중체계론으)로, 번역하면 적록보라=생태적 SF 또는 생태사회주의 feminism이 되어 이를 보강할 접합과 교차/중첩 원리에 대한 집중연구가 후속되지 못하면 결국 다원주의 신사회운동(론)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어 보이는 것도 사실이어서 약간의 우려는 남습니다.

설령 이 접합문제를 해결한다고 해도 기존의 가장 유력한 접합 paradigm은 급진민주주의로 보이는데 여기서는 계급체계, 성체계, (인)종체계가 구별되지 않고 모두 (피억압)소수자/종으로 통합식별됩니다.

하지만 문제는 (다원주의적 신사회운동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 더이상 이것을 Marx주의라고 부를 수는 없게 된다는 것입니다.


특히는 Feminism 진영과의 연대를 얻는 대신 IS(T) 등 전통적 좌파 진영과의 연대를 잃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IST 계열은 현재 이미 영국 SWP 차원에서부터 ’Feminism’이라는 용어조차 사용하지 않고 대신 ’여성해방(론)’이라는 용어를 고수하며 교차성 이론은 물론 심지어 사회(적) 재생산론에도 다소 비판적인 등 매우 강경한 원형 MF를 견지하고 있어 향후 국내 IST group과 아무리 원활한 소통과 연대를 위해 노력해도 성과를 도출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외에 제기되는 몇가지 우려들과 향후 과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半봉건/半자본주의론 및 Macro-(사회)구성체론과 (그 연장/변종으로서의 (성격을 갖는)) 다중체계론

2.2. 역사변동의 경향

      ; 여타 (비자본주의) 체계의 (내부)식민화로서의 자본주의(적 통합)

        →전일적 자본주의 체계의 압도적 전면화와 여타 체계의 (완전) 통합/변성( 경향) 

        →말기 자본주의 (신)MF의 필요성




3. 환원주의 대 ’일반화와 접합’

3.1. Marx주의를 포함한 각 체계-저항이론들의 일반화(와 (meta-)접합) 과제

3.1.1. Marx주의의 쇄신-전화와 재구성으로서의 일반화, 역사적 Marx주의

3.1.2. Feminism의 일반화와 모두를 위한 (feminism(으로서의)) 여성없는 feminism


3.2. 비접합적 병치 대 접합

3.2.1. 상호 경청과 공감을 넘어선 접합

3.2.2. 환원주의를 넘어선 관계들의 섬세한 해명으로서의 접합





4.1. 우리가 놓치고 있는 Gender 장(場)에서의 계급투쟁 관점 : 운동사적 고찰


"자본주의"를  총체적 (사회)구성체로 보지 못하고 협애한 계급체계로만 국한시켜 이해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그 결과 각 체계들의 문제를 극도로 악화시키는 공통 주적이 (갈수록 명백히) 그 근본 배후로서의 자본주의라는 사실을 자각 못하는 것도 큰 문제라 아니 할 수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반/탈자본주의 운동(/)론을 여성주의처럼 노동자(계급) 정체성 운동으로 단순화하는 것 또한 심각한 오류이며 노동자(계급) 혐오에 다름아닙니다. 전통적 사회주의자들 이래로 Marx주의자들과 반자본주의자들은 그간 정치/운동사에서 명멸해 온 그 수많은 계층들, 가장 고통받고 핍박받는 계층들과 자살폭탄 terrorist들을 포함한 가장 용감하고 전투적인 급진 분자들 그 모두를 주의 깊게 고찰하고 연구한 결과 정말 여러가지 이유들로 가장 빠르고 근본적인 사회변화를 위해 노동자 계급을 자기 목숨을 바칠 주군이자 핵심주체로 의도적으로 선택해 왔던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사회-역사 전체와 그 끊임없는 변동, 그에 의한 계급 계층들의 구성변화와 변성 및 명멸, 그리고 새로운 주체들의 출현 등에 대한 치밀한 고찰과 연구는 항상적으로 지속되어야만 하겠지만, 어쨌든 이런 점에서 Marx주의자들이 정체성운동가가 아니라는 사실만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으며, 그런 주장은 단지 어떤 심각한 몰이해와 인지으류를 투영할 뿐입니다. 



모든 feminism들은 그 자체(만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가, 특히 현재의 feminism은 기울어진 운동장만을 바로잡(으려)는 反봉건-反가부장제적 민주주의 요구 단계를 뛰어 넘어 스스로 모든 적대와 증오의 근원을 해체하는 反자본주의적 탈근대 communism으로 나아갈 수 있는가라는 관점에서, 제(반)민주주의와 communism의 관계는 전통적으로 연대/연합전선을 중시하는 단계(적 성장전화)론과 (계급의) 독자세력화를 기반으로 일관된 급속이행을 추구하는 연속(R)론 계열로 대립해왔다고 할 수 있는데 강경한 원형MF가 연속R론이라면 건의드린 SF에서 MF로 연속이행하는 2 track 전략론은 현실을 고려한 성장전화론(ND) 또는 그보다 오히려 양자의 종합(PD)으로의 양보라 할 수 있는데 비해, 현재 (비접합적으로)  평면화된 병치/병렬적 적록보라론은 다원주의적 연대/연합전선만을 극단적으로 강조하는 21세기 NL 민족주의 같은 이론적 구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도 일고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여기서  (특히 연대/연합전선론들 간의) 미묘한 차이는 사실 (계급)당파성/주도권과 이에 의해 결정되는 R/이행의 속도라 할 수 있는데 이 ’계급권력/당파성 및 이행 즉 사회변화 속도’ 대 ’다원적 연대/연합’이라는 양극단의 가치판단체계에 따라 {NL-ND-PD-PTSR} pattern과 이것이 21세기 Feminism시대에 조응한 {평면화된 (다원주의적) 적록보라 - 성장전화하는 생태적 SF - (MF 주도(권) 하에) 연속이행하는 ESF - 자율주의 등의 (사회재생산론 계열) 신(E)MF - 강성 원형/고전 MF} 등의 pattern으로 Spectrum 분포를 나타내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흔한 오해와 달리 PD가 연속R론을 간직한 (양자) 종합의 계보라는 증거는 ND와 대비해보면 금방 알 수 있는데, ND는 계급주도권이 확고하지 않아 매우 불확실하고 불안정적인 그래서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단계 R론으로, (최소한) 2개( 이상)의 R을 상정하고 있었던데 반해 PD계열엔 궁극적으로 단 하나의 R만이 필요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NL이 최대폭의 연대/연합전선론을 감행할 수 있었던 이유가  강력한 외부의 R기지를 상정했기 때문이라면, 그 계보의 평면적 적록보라 병치론은 NL보다 더 위험하고 불확실한 결과를 초래할 (전락의) 위험이 있어보이는 것은 여기에는 더이상 어떠한 외부기지도 없기 때문입니다.)


[이상은 운동사의 연장선 상에서 현재 국면과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조희연선생님 등의 사료에 대한 필자의 연구관점을 압축했음.]



4.2. 모든 feminism들을 동질화하면서 이상화를 통해 과도한 기대와 희망을 품게 되는 비판적 관점 상실의 문제



4.3. MF를 ’Antifeminism’과 등치시키면서 현재의 구체적 맥락과 국면에서의 그 긍정적 기능과 역할, 성과를 과소평가하는 문제



 




S. 

따라서 결론적으로는 이러한 갈등과 문제들을 해결한 4세대 feminism 발명이야말로 우리 모두의 불변적 제1 공통과제로 재확인돼야 할 것이나,

그 이전까지는 이상과 같은 이론 구도에 입각해 (최근 결성된 영영페미 조직 연합체인 "범페미네트워크" 등까지를 포함하는 각종 feminism 단체, 조직들에( 대해)서) 좌파 feminism 진영 MF세력에 1순위를, SF세력에 2순위를(, 그리고 여력이 있다면 3세대 feminism세력에 3순위를) 두고 (배타적) empowering 지원, 연대 사업들을 전개해 나아감으로써 이들( 좌파 feminism)의 Hegemony 형성을 돕는 것이 체제이행을 위해서는 가장 현실적 구체적 정치(/)실천 방안이 될 것입니다.



반대로 RF나 LF적 요소/분자들이 과도하게 지지되면 Feminism 진영 전체가 우경화되거나 혼란에 빠져 동요 등이 증폭되면서 지배세력에 의해 정치적으로 역용되거나 과거 성폭력 사건을 악용한 조직적 진보단체 와해 공작 운동 등 사례에서 보여진 것처럼 상호협력은 커녕 좌파 진영(/)조직들과의 갈등과 분열 심화 위험도 더욱 커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입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반자본주의 의식과 체제이행에의 의지가 전혀 없고 오히려 red complex와 혐오에 절어 있으며 체제 내에서의 문제해결을 추구하는 반동적 feminism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실지로 이들은 이렇게 진보/좌파 운동에 비판적이고 대부분 독자적 요구들에만 고착되어 있다는 점 등등에서 농민이나 식민지 민족주의자들과 매우 유사한 행동학의 지배를 받는 방정식으로 설명될 수 있음. 다중체계론이 (강경하게) 고수된다는 가정 하에 (이들까지와의) 완전한 연합을 이루기 위해선 21세기 내부식민주의시대에 조응하는 Marxist paradigm의 (도시(/)Network (해방자치구*) 근거지 기반) neo-Maoism적 대전환을 일으키지 않으면 안 될 것으로 전망됨.)

이들 LF, RF에 대하여는 (상호)교차성이론과 Nancy Fraser Solution을 중심으로 더욱 집중적으로 적극 선전설득함으로써 일단 다중체계론자들로 견인전화시키면서 통합해내야만 할 것입니다. (이 작업이 효과적으로 진행되면 실천적으로 판별선에 다소의 변동이 일어날 수 밖에 없으나 이에 대해서는 당분간 전략적 침묵이 불가피함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commune/soviet/autonomia/•••••)



X. 

희망적인 측면은 Nancy Fraser model이 적록보라나 심지어 급진민주주의와도 대체관계가 아닌 보완관계일 수 있다는 점입니다. (Fraser의 의도와 달리) 경제투쟁-인정투쟁-정치적 대표는 각 진영과 연계된다기보다 한 주체/모든 주체가 해방을 위해 평생을 벌여나가야 할 전인적/전방위적 투쟁의 분야들을 지시하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차라리 Bob Jessop과 강내희선생님의 ’문화정치경제학’적 통합 model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Marx주의(와 계급투쟁)를 경제 특히 분배 투쟁으로만 해석하는 Fraser의 이해에는 다소 문제가 있어보이며, 각 진영이 위에서 제기한 일반화 과제를 달성하고나면 필연적으로 도달하게 될 전면화된 (/) 전방위 해방(/)투쟁(론)의 모습(일 뿐)이라 아니 할 수 없습니다.)








< 참고자료 >


   현재 Marx주의 진영을 둘러싼 시급한 Feminism 쟁점들은 사회(적) 재생산론, (상호)교차성, 특권이론/배당이론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하는 이들에 대하여 성립 가능한 Marx주의적 관점들 중 하나의 범례/전형을 제시해주고 있어 우선 검토의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이번 Communnale에서의 논의와 관련해 가장 빠르고 간편한 선행 논의 자료들로서 참조할 만하기에 이후 논구의 발전을 위해 여기에 옮겨 게재합니다. 




< 참고자료 1 >과 < 참고자료 2 >는 다중체계론으로서의 SF 및 ’(상호)교차성’ 이론의 한계와 불충분성을 지적하며 이에 맞서는 MF 진영의 단일체계론으로서의 ’사회(적) 재생산’(이)론에 대해 논의하는 글들로서,


< 참고자료 1 >은 작성자가 국내 IST 조직의 여성문제 담당 최고참자로 학술이론분야를 주로 전담하고 있고 다중체계론과 단일체계론의 대립관계를 선명하게 서술하고 있어 일독의 가치가 있으나, 다만 본 글은 최근 국역출간된 영국 SWP 소속 Judith Orr의 『마르크스주의와 여성해방』에서 사회재생산론을 신중하고 엄밀하게 다룬 257~265쪽의 기본 입장이 사전 검토를 토대로 훨씬 더 공격적으로 변주되어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주로는) MF계열 내부 논쟁에 집중하고 있는데, 여타 Trotskyist (International) 계열들**도 공유하는 입장이라 속단할 수 없으며 더구나 Orr 자신도 상기 Text를 면밀히 독해하면 사회재생산론 자체에는 호의적이며 Engels를 비판한 "일부 사회재생산 이론가들"을 짧게, 그리고는 가사노동 유급화론자들만을 비판하고 있는 것과 비교됩니다.

( 특히 본 8차 대회와 긴밀히 연관된 ’SF 다중체계론 대 MF 단일체계론’ 쟁점보다는 유물론적 MF 단일체계론 계열 내부의 논쟁을 집중적으로 다루면서 사회(적) 재생산론을 비판하는 부분은 애석하게도 결정적으로, 전통의 고용노동 중심 ’착취’ 체계로 파악할 수 없는 가사노동, 돌봄노동 같은 전통적 여성노동 뿐 아니라 그 연장으로서의 외주노동, Platform노동, 청년노동 등등 최근 현대(/)말기자본주의의 광범위한 내부식민주의적 간접/비고용 노동 영역 ’수탈’ 체계 확산 등에 관한 최신 연구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Online channel과 독자 특성 상 집중시간( ; attention span) 등을 고려해 약간의 단순재배치 편집을 가했음.


MF계열 내부논쟁과 관련해서는 상기 분파들(=**) 이외에도 ICC, ICT 등 Left-com 계파 등등의 입장 표명이 요구되며, 그에 따른 꾸준한 추가조사도 필요함.)




< 참고자료 2 >는 (Canada의 IST 조직인 International Socialists 출신들로) ’90년대 중반 이후 현재는 Canada 급좌파 조직인 ‘the New Socialist’ Network (/) Group***의 주요 활동가이면서 Toronto 소재 York 대학 정치학과장을 역임한 교수로 세계 경제, 여성 억압, 변혁운동의 전략과 전술에 대한 많은 책과 글을 써 왔으며 한국에도 『글로벌 슬럼프』(그린비)가 번역 출간된 바 있는 David McNally, 그리고 노동력과 노동계급의 사회(적) 재생산이 공장의 작업장을 넘어서서 인종과 젠더의 교차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강조해 온 Susan Ferguson 두 분의 자본주의와 gender, 인종 억압 간 총체적 상호관계에 대한 MF적 통합 분석을 소개하면서 인종과 gender 문제를 통합하는 계급투쟁의 전략에 대한 고민을 던지는 Interview입니다.

(***the New Socialist Network (/) Group은 Canada에서 노동운동의 전통적 연대세력이었던 중도좌파 신민주당(NDP)의 신자유주의로의 경도, 신자유주의 공세의 강화와 대중투쟁의 고양 속에서, 광범한 좌파 결집 및 혁신과 재구성을 위한 시도로 활동가들에 의해 조직됐던 “반자본주의적 좌파건설을 위한 운동구조”(Structured Movement for Anti-capitalist Left) 회의의 후신으로 (추정되며) SMAL은 당시 새로운 급좌정당 건설에 대해서는 결론을 유보하나, 단순한 연합(coalition)을 뛰어넘은 운동구조(Structured Movement) 창출을 목표로 하였으며, 이후 New Socialist Project 등의 이름으로 새로운 모색을 시도하고 있음. (이에 대해 국제적 대분류로는 IST 파생계열(split)로 보려는 논자도 존재.))


< 참고자료 3 >은 상기한 긴급논점의 하나일 뿐 아니라 (다중체계론 구도가 고수될 경우에는 더욱더 사활적인) "접합"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첫 출발점이 될 ’교차성’ 개념에 대해, 다소 비판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는 영국 SWP 계열과 달리 그로부터 분리돼 나온 RS21(;Revolutionary Socialism in the 21st Century) group 소속 Shanice McBean이 분리 이전 SWP 시절 그 개념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썼던 글입니다. (SWP와 국내 IST 측에는 분파문제와 연계되어 민감한 (con)text일 수 있음을 양지 부탁드립니다.)



**Trotskyist 계열 중 국제 조직들의 현황


1. Committee for a Workers' International (CWI)

2. Coordinating Committee for the Refoundation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RFI)

3. United Secretariat of the Fourth International (USFI)

4. Fourth International (ICR) = 일명 FI (La Verité) or FI (International Secretariat)

5. International Bolshevik Tendency

6.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Fourth International (ICFI)

7. International Communist League (Fourth Internationalist) (ICL-FI)

   ←= the International Spartacist Tendency

8. International Marxist Tendency (IMT)

   ←= the Committee for a Marxist International

9. International Socialists (IST, ISM, ISO)

10. Internationalist Communist Union (ICU)

11. International Workers League – Fourth International (IWL-FI)

12. International Workers' Unity – Fourth International (IWU-FI)

13. League for the Fifth International (L5I)

14. League for the Fourth International (LFI) : split from (ICL-FI)

15. Revolutionary Communist International Tendency

16. Trotskyist Fraction – Fourth International (TF-FI)

17. Workers International to Rebuild the Fourth International (WIRFI)


이하는 공식적 국제 구조 없는 Trotsky주의 국제 연대 운영체들

18. Alliance for Workers' Liberty

19. Freedom Socialist Par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참고자료 1 >


" 사회재생산 이론과 마르크스주의 여성해방론 "



   작성자 : 정진희

   출    처 : https://wspaper.org/article/17000


최근 몇 년 새 서구의 일부 좌파들 사이에서 사회재생산 이론이 주목받고 있다. 사회재생산 이론이 단일하지는 않다. 마르크스주의뿐 아니라 비마르크스주의 전통의 다양한 이론가들이 있다. 미국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 리즈 보겔의 책이 2013년 재출간된 뒤 그의 사회재생산 이론이 부흥하고 있다.


사회재생산 개념은 사회과학에서 여러 의미로 사용된다. 가장 단순한 의미는 자본주의의 작동 방식과 관련된 기관들이 재생산되는 것, 즉 자본주의 체제가 어떻게 자신을 유지하는지를 가리킨다. 페미니즘 이론에서는 자본주의에서 여성들이 가족 내에서 수행하는 노동력 재생산 노동(가사노동)과 자본 축적 사이의 관계를 가리키는 데 주로 사용된다.


보겔의 사회재생산 이론은 1970년대 가사노동 논쟁에서 많은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이 제안한 ‘이중체계’론의 대안으로 제시됐다. 1983년 처음 출판됐다가 2013년 재출판된 보겔의 책 제목이 이런 의도를 잘 나타낸다. 그 제목은 《마르크스주의와 여성 차별 — 단일 이론을 향해》이다.


많은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이 급진 페미니즘의 ‘가부장제’ 개념을 수용해 이중체계론을 제시했다. 여성 차별을 자본주의와 별개로 작동하는 ‘가부장제’의 산물로 설명하며, 상품 생산과 착취의 영역과 사사화(私事化)된 가족의 영역을 분리해 별도로 작동하는 것으로 취급했다.


사회재생산 이론은 생산과 재생산의 분리를 극복하고, 가족이 여성 차별에서 하는 구실을 자본주의 체제 전체 속에서 파악한다.


자본주의에서의 여성 차별을 유물론적이고 총체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1970년대 이후 초역사적 가부장제 이론이 득세하고, 뒤이어 포스트모더니즘 · 포스트구조주의 사상이 확산되면서 페미니즘에서는 한동안 유물론과 총체적 설명이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문화주의적 서술과 파편적 경험을 나열하는 서술이 페미니즘을 지배했다.


그동안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여성 차별과 관련된 제도로 가족에 주목해 왔지만, 주로 가족 내의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한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지, 가족제도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하는 구실을 다루는 논의는 흔치 않았다.


사회재생산 이론이 다시금 사사화된 노동력 재생산과 자본주의 체제의 관계를 핵심 쟁점으로 부각시킨 것은 반가운 일이다. 여성 차별을 단지 남성들의 태도나 관념 문제로 취급하지 않고 유물론적으로 이해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보겔의 사회재생산 이론

마르크스는 노동력을 “인간이 지닌 정신적 · 육체적 능력이 결합된 것으로 사용가치(어떤 형태든)를 만들어 낼 때 사용하는 능력”이라면서 자본주의에서 노동력이 아주 독특한 상품이라고 규정했다. 마르크스는 자본 축적이 지속되려면 생산조건의 구성요소로서 노동력이 재생산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이해했지만, 노동계급 가족이 하는 구실을 적절히 이론화하지는 못했다.


보겔은 계급사회에서의 노동력 재생산 방식에 관한 통찰에 바탕을 두고 자본주의에서 노동계급 가족이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방식을 이론화한다. 보겔은 계급사회에서의 여성 차별이 “세대 재생산 과정”에서 남녀가 “다른 지위”를 차지하는 데서 생겨난다고 봤다. 그리고 이런 과정이 대체로 일어나는 “역사적으로 특정한 형태”로서 가족을 지목한다.


보겔은 계급사회에서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세 과정이 있다고 본다. 첫째, 직접 생산자들이 에너지를 충전해 다시금 일터로 갈 수 있게 하는 각종 일상 활동들이 있다. 둘째, ‘종속계급’에서 노동하지 않는 구성원들(너무 어리거나 늙었거나 병들었거나 다른 이유로 노동인구에 포함되지 않은)을 유지하는 활동이 있다. 셋째, 종속계급 중 사망했거나 더는 일할 수 없게 된 구성원들을 대체하는 과정이 있다.


보겔은 “사회에서 성별의 지위가 다른 데는 물질적 요인이 있고 생물학은 그 일부”이지만, 어느 사회든 성차를 사회관계에서 떼어놓고 볼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즉, 여성이 아이를 낳고 젖을 먹여야 한다고 해서 여성이 꼭 차별받아야 할 이유는 없다는 것이다. “[성별] 분업과 개인의 차이가 지닌 사회적 중요성은 그런 차이들이 뿌리내린 실제 사회의 맥락에 따라 구성된다.”


그래서 여성은 계급사회에서 노동을 해도 가정에서 맡은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여성은 “직접생산자”가 될 수 있지만 “노동력 재생산에서 다른 책임을 맡는다는 것이 바로 계급사회 여성 차별의 뿌리”라고 지적한다.


보겔은 “개별 가족 가정 안에서 끊임없이 긴장이 조성되는 상황에서 여성 차별이 오직 남성에 의한 차별이고, 여성 차별이 역사를 초월해 존재하는 적대적인 성별 분업에서 비롯했고 가족에 체화된 것”처럼 보기 쉽다고 지적한다. “그럼에도 [여성의] 가사 노동은 자본주의 사회의 재생산에 필요한 것이고, (성별 분업이나 가족 자체가 아니라) 이것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여성 차별과 불평등이 지속되는 물질적 기초”라고 명료하게 말한다.


이처럼 보겔의 사회재생산 이론은 가족을 남성이 여성을 지배하고자 만들고 유지하는 제도로 보는 음모론적 설명과는 다른 유물론적 설명이다. 가사노동을 남성이 아니라 자본의 이익을 위한 것으로 본다.


가족은 자본주의 체제의 핵심 동력인가?

사회재생산 이론가들이 자본주의 체제 유지에서 가족이 중요한 구실을 한다고 지적한 것은 옳다. 그들뿐 아니라 많은 마르크스주의자들도 자본주의에서 여성 차별을 구조화하는 제도로서 가족에 주목해 왔고, 현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자본주의에서 가족의 경제적 · 이데올로기적 구실을 강조하며 여성 차별과 착취를 유기적으로 설명하려 했다.


영국의 마르크스주의자 크리스 하먼은 가족이 자본주의 사회관계를 재생산할 뿐 아니라 그 과정에서 중요한 경제적 구실을 한다고 말했다. 노동계급의 가족은 노동력을 재생산하고, 지배계급의 가족은 부를 물려준다는 것이다.


노동계급 가정에서 주로 여성이 수행하는 재생산노동(청소, 요리, 빨래, 양육, 간병 등)이 현재와 미래의 노동력을 재생산해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또한 가족은 이데올로기적으로도 중요한 구실을 한다. 양육에는 단지 먹이고 입히는 것뿐 아니라 자본주의의 규범을 새로운 세대에게 전수하는 사회화도 중요하게 포함된다. 가족이 험난한 세상의 안식처라는 이데올로기는 고용주들이 노동력 재생산에 필요한 비용을 개인들에게 전가하는 구실을 하고, 구조적 불평등을 개인의 책임으로 전가해 보수적 가치관을 확산시키는 데도 유용하다.


그러나 가족이 이처럼 자본주의 체제 유지에 중요한 구실을 한다고 해서 자본주의 체제를 움직이는 핵심 동력인 것은 아니다. 사회재생산 이론은 가족이 자본 축적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임금노동 착취와 대등하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취급하는데, 이는 가족이 자본주의 체제의 핵심 동학을 이루는 것처럼 오해하게 한다.




·····················[  중간부 후치 편집  ]·····················




여성해방의 전략

가족과 자본 축적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착취와 여성 차별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연결되며, 이것은 여성해방의 전략에 큰 함의가 있다. 페데리치처럼 가정주부가 잉여가치를 생산한다고 보면 가정주부가 자본주의 변혁의 핵심 주체가 된다. 페데리치는 몇 년 전 국역 출판된 저서의 서문에서 ‘가사노동에 임금을 지급하라’ 운동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과장되게 서술했다.


“자본주의는 노동력 비용을 억제하기 위해 부불재생산노동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우리가 인식했다는 점에서, 또한 이 부불노동의 근원을 소진시키기 위한 성공적인 캠페인은 자본축적 과정에 파열구를 내고 대부분의 여성들에게 공통적인 지형 위에서 자본과 국가에 맞선다는 믿음을 우리에게 안겨 주었다는 점에서, 가사노동에 대한 임금 운동은 우리에게 혁명적이었다.”


물론 자본주의 하에서 노동력 재생산이 사사화되는 것은 대부분의 여성에게 큰 부담을 안겨 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불만은 여성들이 특정 시기에 차별 반대 운동에 참가하는 동기로 작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재생산 사사화에 따른 부담과 차별에 자극받아, 가정주부들이 자본가나 국가에 맞서 집단적인 투쟁을 지속적으로 벌이지는 못한다. 부유한 여성들은 노동계급 여성을 보모나 가정부로 고용해 문제를 개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또 계급적 이해관계 때문에 재생산 부담을 사회가 책임지는 조처에 흔히 적대적인 태도를 취한다. 특히, 노동력 재생산이 개별 가족 내에서 이뤄지는 방식은 가정주부의 고립을 낳아 무기력감에 빠지게 한다. 이는 착취가 노동자들을 한데 결집시켜 집단으로 고용주에 맞설 잠재력을 부여하는 것과 대조된다.


‘가사노동에 임금을 지급하라’는 운동의 이론적 가정 하나는 여성이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곳이 가정이라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자본주의에서 생산은 대부분 가정 밖에서 이뤄지므로, 가정은 여성들이 가장 강력한 곳이 아니라 가장 약한 곳이다. 여성이 가사노동을 거부한다고 자본가들이 타격을 입는 것은 아니고, 고립된 가정에만 머무는 여성은 무기력감을 느끼기 쉽다.


‘가사노동에 임금을 지급하라’는 운동은 당시 여성운동에서도 호응이 적었다. 그 운동의 가정이 비현실적이었고 가사노동을 ‘여성의 일’로 여기는 고정관념을 강화할 위험도 있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운동은 자본주의 하에서 주로 여성이 개별 가정에서 맡아 온 고된 일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전혀 제공하지 못했다.


마르크스는 착취 개념을 단순히 도덕적 의미로 이해하지 않고 자본주의의 핵심적 사회관계를 이해하는 개념으로 사용했기에 착취의 이중성을 이해했다. 즉 착취는 단지 비참함만 뜻하는 게 아니라 그런 고통에 맞설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페데리치는 착취를 단지 고통으로만 여긴다. 그는 여성의 임금노동 참여가 “해방이 아니다”라며 동등한 노동 참여를 요구하는 여성운동을 비판했다.


한편, 보겔은 가사노동 임금 지급 운동의 약점을 인식했지만, 효과적인 여성해방의 전략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보겔은 여성 차별의 기원을 설명하지 않고(엥겔스를 이중체계론의 원조로 오해해 엥겔스를 크게 깎아내린다), 계급투쟁이 여성해방에서 어떤 구실을 하는지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이것은 보겔이 옛 소련과 동유럽 같은 스탈린주의 체제를 ‘사회주의’로 본다는 점과 관련 있다. 스탈린주의 체제를 무계급 사회로 가정하니 이들 사회에서 여성 차별은 착취와 무관한 게 된다. 착취와 차별을 분리하는 이중체계론의 유산이 남아 있는 것이다.


보겔은 자본주의에서 여성이 처한 이중적 상황을 가사노동과 평등 침해로 보고, 여성이 계급을 뛰어넘어 단결할 수 있다고 여긴다. 노동계급 여성만이 노동력을 재생산하는 가사노동에 종사하지만, 민주적 권리 문제에서는 모든 여성이 차별을 겪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자본주의 체제에서 착취와 차별의 구실을 대등하게 여기며 계급투쟁의 결정적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는 경향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특징이다.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여성들 사이에 계급적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지만, 착취가 여성해방 투쟁에서 어떤 잠재력을 제공하는지 간과한다. 보겔은 클라라 체트킨이 여성을 노동자로서만 강조해서 임금노동에 참여하지 않는 노동계급의 아내와 딸들을 보이지 않게 만든다고 비판한다.


체트킨뿐 아니라 마르크스, 엥겔스, 룩셈부르크, 콜론타이, 레닌, 트로츠키 등 고전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모두 여성 노동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두고 마르크스주의 여성 해방론을 계급 환원론으로 비판하는 페미니스트들이 많다.


그러나 고전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저작을 찬찬히 읽어 보면 그들이 여성 차별을 여성 노동자들이 겪는 경제적 착취로 환원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고전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여성 노동자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첫째, 자본주의에서 근본적 분단선은 성이 아니라 계급이고, 둘째, 여성이 노동자가 되면 단지 자본주의 체제의 피해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 자본주의 체제를 변혁하는 핵심 주체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보겔은 자본주의 내 법적 평등은 한계가 있으므로 사회주의가 필요하다고 보지만, 범계급적 여성운동을 창출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그는 광범한 여성운동이 사회주의 운동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여긴다.


그러나 모든 계급의 여성이 불평등과 천대를 겪는다고 해서 여성들의 이해관계가 단일하지는 않다. 여성운동의 역사를 보면, 특정 쟁점(선거권, 낙태권)에서 여성들이 일시적으로 단결할 수는 있었지만 그런 투쟁에서도 계급적 차이 때문에 번번이 분열했다.


여성들이 차별받는다는 이유만으로 모두 사회주의 운동에 동참할 수 있다는 가정은 비현실적이다. 지배계급 여성은 물론, 중간계급 여성들조차 노동계급 여성들과 동일한 이해관계를 지니지는 않는다.


물론 중간계급 여성들이 노동계급 여성들의 적은 아니고, 중간계급 여성들이 제기하는 요구들은 흔히 노동계급에게도 중요한 요구다. 동일임금, 공공보육시설 확충, 낙태권 등 중간계급 여성들과 노동계급 여성들 모두가 공감하는 요구들이 있고 이런 쟁점에서 이들이 함께 운동을 벌일 수도 있다.


그러나 중간계급 여성들이 자본주의에서 차지하는 지위가 노동계급과 같지 않고, 이 때문에 그들의 이해관계는 흔히 노동계급과 충돌한다는 점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중간계급 여성들이 단일한 집단은 아니다. 하층 중간계급 여성들의 삶은 노동계급 여성들의 삶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상층 중간계급 여성들의 삶은 그렇지 않다. 상층 중간계급 여성들도 차별을 겪지만 그들은 체제 내에서 특권을 누리기도 하므로 (예외적 개인들을 제외하면) 자본주의 체제를 분쇄하기보다 체제 내에서 평등을 얻기 바란다. 중간계급에 기반을 둔 페미니즘 조류들은 여성이 기업과 국가기구 요직으로 진출하는 전략을 추구해 왔고, 이 과정에서 종종 지배계급 일부와 동맹한다.


따라서 특정 쟁점을 놓고 노동계급 여성들이 중간계급 여성들과 단결하는 것은 때로 필요해도(이때 노동계급 여성들이 독자적 계급 이익을 포기하지 않는 정치적 독립성이 중요하다), 사회주의적 좌파가 초계급적 여성 동맹 전략을 옹호할 수는 없다. 그런 전략은 실천에서 몇 가지 문제를 낳는다.


첫째, 여성운동의 단결을 강조하면서 여성운동 내에 존재하는 전략적 차이를 흐릴 수 있다. 여성운동 내에 친자본주의적 계급협력 사상이 커다란 영향력이 있기에 전략적 차이를 흐리는 것은 위험하다. 보겔이 있는 미국의 여성운동에서 주류 세력은 민주당 같은 지배계급 정치인들과 연계해 왔다. 이 때문에 주류 페미니즘은 매우 온건한 방식으로 활동했고, 민주당 집권기에는 낙태권 제한을 포함해 많은 후퇴를 수용했다. 1990년대 이후 한국의 여성운동에서도 주류 페미니즘은 자본주의 체제 내 평등을 추구하면서 민주당 같은 자유주의 부르주아 세력과 연계해 왔다. 그래서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몇몇 개혁 입법 성취에서 중요한 구실을 했지만, 김대중 · 노무현 정부에서 정부의 반노동계급적 정책을 상당 부분 수용하는 등 매우 모순된 구실을 했다.


둘째, 여성 차별에 맞선 투쟁이 더 광범한 노동계급 투쟁과 연결될 필요성을 간과하게 된다. 물론 여성들은 차별에 맞서 스스로 싸워야 하지만, 여성들만의 투쟁으로는 효과적인 투쟁이 되기 어렵다. 나아가 여성 차별의 근원인 자본주의 계급사회를 전복하는 것은 여성들만의 투쟁으로는 아예 불가능하다.


여성 해방과 계급투쟁

여성 해방을 위해서는 여성들의 차별 반대 운동뿐 아니라 무엇보다 노동계급의 계급투쟁이 중요하다. 여성차별을 구조화하고 지속시키는 자본주의 체제를 끝장낼 잠재력이 있는 사회세력은 노동계급뿐이기 때문이다. 노동계급만이 자본주의 이윤에 타격을 가해 체제를 뒤흔들 수 있는 대규모 투쟁을 벌일 수 있는 사회 세력이다. 노동계급 투쟁은 자본주의에서 계급세력 균형을 바꾸고 대중의 자신감을 높이는 결정적 방법이다.


노동계급이 자신감 높을 때는 자신의 힘을 착취뿐 아니라 차별에 맞서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 노동계급 투쟁 고양기에는 여성 노동자들이 착취뿐 아니라 차별에도 반대해 대규모 투쟁을 벌이는 일이 흔히 일어났다.


노동계급 투쟁의 결정적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노동계급 아닌 여성들의 투쟁은 중요하지 않다는 뜻이 아니다. 노동계급 중심성이라는 개념은 노동계급 투쟁만이 중요하다며 노동계급이 아닌 다른 피억압자들의 투쟁을 기각하는 노동자주의와 전혀 다르다. 레닌은 모든 차별받고 천대받는 집단이 스스로 투쟁하고 조직할 권리를 옹호했고, 혁명가들의 임무는 “인민의 호민관”이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동계급을 중시하는 전략은 여성의 권리 쟁취 투쟁에서도 중요하다. 1975년 영국의 혁명적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정부와 우파의 낙태권 공격에 맞서 낙태권이 단지 여성만의 쟁점이 아니라 노동계급의 문제라며 낙태권 투쟁에 노동조합이 동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사업장과 노동조합 지부들에서 노조원들의 지지를 끌어내려고 애썼다. 이런 노동자 조직화 덕분에 영국 노총(TUC)은 최대 7만 명에 이르는 대규모 거리 동원을 이끌었고, 이렇게 노동조합 운동에 기반을 둔 낙태권 투쟁은 합법 낙태를 제한하려던 우파의 시도를 좌절시킬 수 있었다. 반면, 노동운동이 훨씬 약했던 미국에서 낙태권 투쟁은 의회 로비에 치중했고, 이 때문에 우파의 낙태권 공격에 제대로 맞서지 못했다. 오늘날 미국에서 합법 낙태의 범위는 엄청나게 축소됐다.


여성 차별에 맞선 투쟁의 성패는 그 투쟁이 노동계급 운동과 얼마나 긴밀하게 연결되느냐에 달려 있다. 좀 더 일반적으로 말해, 차별에 맞선 투쟁이 성공하느냐는 노동계급이 전진하느냐 후퇴하느냐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19세기 중후반~제1차세계대전 전에 일어난 대규모 여성 선거권 투쟁은 단지 페미니스트들만의 운동이 아니었다. 노동운동이 발달한 나라들에서는 여성 참정권 운동에서 노조와 사회주의 단체 등에 속한 노동계급 활동가들의 구실이 매우 컸다.


러시아에서 여성의 완전한 참정권이 보장된 것은 볼셰비키가 이끈 노동계급 혁명이 성공한 뒤에 이뤄졌다.(당시 여성의 완전한 참정권이 보장된 나라는 몇 안 됐고, 프랑스에서는 제2차세계대전 이후에야 여성 투표권이 온전하게 보장됐다.) 러시아 혁명은 이혼 간소화, 동일임금 법제화 등 많은 개혁 입법을 이뤄냈고, 세계 최초로 낙태를 합법화하고 동성애 합법화도 이뤄냈다.


이런 성과는 러시아 혁명이 쇠락하면서 후퇴했고 마침내 스탈린의 반혁명으로 노동계급 전체가 패배하면서 완전히 사라졌다. 스탈린 치하에서 착취가 엄청나게 강화되면서 여성 노동자들을 보호하는 조치들이 죄다 사라졌고, 낙태가 불법화됐고 어머니로서 여성상 강조 등 전통적 가족 이데올로기가 강화됐다.


따라서 차별과 천대에 반대하는 여성들의 투쟁이 승리하려면 노동계급 투쟁과 연대해야 하며, 나아가 사사화된 재생산 부담을 전면 사회화하고 인간의 필요에 바탕을 둔 사회를 건설하려면 자본주의 시스템이 제거되고 노동자들이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노동계급의 계급투쟁은 본질적으로 여성해방과 별개 투쟁이 아니다. 자본주의에서 여성 대다수는 노동계급의 일원이고 여성 노동자 수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페미니즘 이론에서는 여성이 노동계급의 중요하고 핵심적인 일부라는 점을 종종 간과하지만, 여성 노동자들은 오늘날 자본주의 생산에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전 세계 노동인구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어도 40퍼센트이고, 성인 여성의 적어도 55퍼센트가 임금노동에 종사한다(세계은행 조사). 한국에서도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한국의 여성 임금노동자 수는 8백40만 명가량 돼, 전체 임금노동자 수의 44퍼센트를 차지한다.


여성이 노동자가 되면 고된 노동과 차별이라는 이중의 굴레에 시달리지만, 그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노동자가 된다는 것은 무엇보다 착취와 차별 모두에 맞설 수 있는 집단적 힘을 지닌 존재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여성 노동자들은 남성 노동자들과 함께 “자본주의의 무덤을 파는 사람들”이 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여성 노동자들은 러시아 혁명부터 21세기 아랍 혁명까지 노동계급 투쟁과 사회 변혁운동의 중요한 일부였다. 2008년 세계경제 위기 이후 세계적으로 벌어진 긴축 반대 투쟁에서도 공공부문 노동자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여성들의 참가가 중요했다. 한국에서도 2000년대 들어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들의 투쟁은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스스로 조직하고 싸워서 승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줬다.


물론 노동계급의 잠재력이 늘 현실화하는 것은 아니다. 현실의 노동계급 투쟁은 여러 약점을 안고 있고, 노동계급 내에 존재하는 여성 차별은 노동계급을 종종 분열시켜 노동자 운동을 약화시키곤 한다.


오늘날 여성 노동자 수와 비중이 늘어나면서 노동운동에서 차별 문제는 더욱 중요해졌다. 여성 차별은 노동계급을 분열시켜 조건 개선을 위한 투쟁과 궁극적으로 자본주의 체제를 변혁할 수 있는 힘을 약화시킨다.


따라서 노동계급이 해방되려면 착취와 차별 모두에 맞선 단결된 투쟁이 필요하다. 노동계급이 분열된 상태에서는 착취에서도 해방될 수 없다. 노동계급 의식은 불균등하기에 노동계급 투쟁은 고용주나 정부 관료에 대한 도전뿐 아니라 흔히 노동계급 내부의 사상 투쟁을 수반한다. 노동계급은 집단적 투쟁을 통해 자신감을 얻고 의식을 발전시키며 사회를 변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노동계급 투쟁의 역사를 보면, 노동계급은 자신의 조건 개선뿐 아니라 차별받는 사람들의 권리를 위해서도 싸울 수 있고, 나아가 사회 전체를 변혁하는 투쟁을 벌일 수 있는 혁명적 잠재력이 있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노동계급의 실제 투쟁에서 배우면서 이런 잠재력을 현실화하기 위해 애써야 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이하는 중간편집이동부로 본 8차 대회와 밀접하게 연관된 ’SF 다중체계론 대 MF 단일체계론’ 쟁점보다는 유물론적 MF 단일체계론 계열 내부의 논쟁을 집중적으로 다루면서 사회(적) 재생산론을 비판하는 부분으로 전통적 고용노동 중심 ’착취’ 체계로 파악할 수 없는 가사노동, 돌봄노동 같은 전통적 여성노동 뿐 아니라 외주노동, Platform노동, 청년노동 등등 최근 현대자본주의의 광범한 내부식민주의적 간접/비고용노동영역 ’수탈’ 체계의 확산 등에 관한 최신 연구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Online channel과 독자 특성 상 집중시간( ; attention span) 등을 고려해 후치 편집했으므로 이 쟁점에 큰 관심없는 분들은 약독해도 무관함.  ]


일부 사회재생산 이론가들은 가사노동이 잉여가치를 창출한다면서 자본주의 체제에서 가사노동이 임금노동만큼 중요한 구실을 한다고 주장한다. 이탈리아 자율주의 페미니스트 실비아 페데리치는 가사노동이 잉여가치를 생산하는 ‘생산적 노동’이고 자본 축적에 꼭 필요한 노동이라며 여성이 가정에서 재생산노동을 하는 노동자라고 주장한다. 페데리치는 “마르크스주의는 상품 생산 이외의 가치 생산을 보지 못한다”며 “가사노동을 생산적 노동으로 보지 않는 것은 자본주의적 노동관을 수용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중략)·······


영국의 마르크스주의자 크리스 하먼이 지적했듯이, 자본주의 체제의 원동력은 국가가 여성 차별을 위해 사사화된 재생산 제도를 유지하려는 데 있는 게 아니라, 이윤을 향한 경쟁적 자본 축적 압력이다. 자본주의가 이전 계급사회와 구별되는 역동성을 지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가족은 별도의 동학을 지니는 게 아니라 이런 자본 축적 압력에 종속된다. 가족은 지배계급이 축적을 지속하기 위해 이용하는 메커니즘(기제)의 하나다.


사실, 여성이 전업주부로만 있는 것은 자본가들에게는 여성을 노동자로 착취해 더 많은 잉여가치를 얻을 기회를 놓치는 것이다. 자본주의 하에서 노동력 재생산 부담을 개별 가족에 떠넘기는 것이 자본가 계급에 상당한 경제적 이득을 준다고 해서 자본가들이 여성을 전업주부로 가정에 묶어두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이다. 자본가 계급에게 여성을 노동자로서 착취하는 것의 중요성은 심지어 경제 불황기에도 감소하지 않는다. 박근혜 정부가 2008년 세계경제 위기 이후 여성의 고용률을 끌어올리려 애쓰는 것이 단적인 사례다.


자본주의 국가가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 양육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출산휴가와 부모휴가 등 양육을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더 많은 여성을 노동시장으로 끌어내는 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또한 여성의 대량 노동시장 진출이 미래의 노동력 재생산 위기를 부르지(18~19세기 초반 영국 산업화 때 심각하게 나타났듯이) 않도록 하기 위한 조처이기도 하다.


물론 여성의 임금노동 참가가 확대되고 이를 위해 국가의 노동력 재생산 지원이 늘어난다 해도, 자본주의 하에서 가사와 양육에 대한 대대적인 사회적 투자가 지속적으로 일어나지는 않을 것이다. 제2차세계대전 이후 장기 호황기(1940~60년대)에 여성을 노동시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가사와 육아에 대한 투자가 선진국들에서 상당히 늘어났지만 그때조차 투자 규모는 제한적이었다.


더욱이 지금처럼 자본주의가 장기적이고 심각한 위기에 처한 시기에는 과거에 이뤄진 부분적 사회화 조처(노동력의 안정적 수급 필요성과 노동계급의 압력이 작용해 만들어진 복지제도)도 지배자들의 심각한 공격을 받는다.


그래서 가족은 오늘날에도 노동력을 저렴하게 재생산하는 주요 제도로 남아 있고, 경제 위기와 불황을 제거할 수 없는 자본주의 하에서 사사화된 재생산 제도는 결코 사라질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자본주의 하의 여성차별은 그 양상이 바뀔지언정 결코 사라질 수는 없다. 자본주의에서는 사회적 생산과 사사화된 재생산 사이의 모순을 제거할 수 없는 이유는 자본주의가 착취적 생산관계에 바탕을 둔 이윤 추구 사회이기 때문이다.


한편, 마르크스주의자들이 가사노동이 잉여가치를 직접 창출하지 않는다고 여긴다 해서 가사노동이 여성을 얼마나 짓누르는지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페데리치의 주장처럼 자신들이 1970년대에 처음으로 ‘숨겨진 여성 노동’을 발견한 것도 아니다. 콜론타이, 체트킨, 룩셈부르크, 레닌, 트로츠키 등 고전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이미 여성의 과중한 가사부담이 여성의 동등한 사회 활동 참가를 가로막는다고 여러 차례 지적하며 해결책을 모색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뒤 볼셰비키는 공공식당 · 공공세탁소 · 어린이집 등을 지어 가사와 양육을 사회화하고자 애썼다.


가사노동이 잉여가치를 직접 생산하지 않는다고 해서 잉여가치 생산과 완전히 무관하다고 볼 수는 없다. 무급 가사노동은 현재 노동자들의 노동력 재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미래의 노동자를 기르는 구실을 하므로, 잉여가치 창출에 간접적으로 기여한다.


그러나 가사노동과 잉여가치의 관계는 기껏해야 간접적인 것이고, 모순도 있다. 과중한 가사노동은 종종 여성의 사회적 노동 참여를 제한해 자본가들이 잉여가치를 얻을 기회를 줄이기도 한다. 여성이 전업주부로 남아 있거나 양육 책임 때문에 장시간 근무를 기피하는 것은 자본가들이 더 많은 잉여가치를 얻는 것을 방해한다.


가족관계를 생산관계처럼 설명하는 것은 자본주의 가족제도의 모순을 가리기도 한다. 자본주의에서 가족이 유지되는 이유가 단지 지배계급의 필요 때문만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가족을 꾸리고 헌신하는 이유가 자본가들을 위한 노동력을 재생산하려는 생각 때문은 아니다. 사람들은 사랑하는 사람과 행복하게 살기 위해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는다. 자본주의에서 가족은 모순된 제도이다. 가족에서 사람들은 불평등과 천대를 경험하기도 하지만, 서로 기대고 위안을 찾기도 한다. 가족의 이상과 현실은 상당히 다르지만, 생산과 사회 전반을 통제할 수 없는 노동계급의 남성과 여성은 비혁명적 시기에 대개 가족을 통해 소외를 극복하려고 한다.


생산과 노동력 재생산

사회재생산 이론가들이 모두 가사노동을 임금노동과 동일시하는 것은 아니다. 보겔 같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는 가사노동과 임금노동을 단순히 동일시하지는 않는다. 보겔은 가사노동에는 사용가치가 있지만 교환가치는 없으므로 잉여가치를 창출하는 노동이 아니고 따라서 가사노동과 임금노동을 직접 비교할 수 없다고 본다. 그는 ‘가사노동에 임금을 지급하라’ 운동의 이론적 가정(모든 여성은 가사노동자로서 착취받는다)에 반대했고, 그 운동이 가사가 여성의 일로 여겨지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비판적이었다.


보겔은 가사노동이 자본 축적에서 모순된 구실을 한다고 옳게 지적했다. 가사노동은 노동력 재생산에 기여해 자본주의 체제 유지에 기여하지만, 여성의 가사노동 참여 시간이 길면 그만큼 사회적 노동 참여 기회가 줄어들어 잉여가치 창출을 저해한다고 설명한다. 보겔은 자본주의에서 임금노동이 발전하면서 가사노동이 상품화돼 가사노동 시간이 감소하고, 여성의 임금노동 참여 증가로 노동력 재생산을 위해 국가 개입이 발전한 것을 지적한다. 보겔은 자본 축적 논리 때문에 자본주의에서는 임금노동과 가사노동의 모순이 사라질 수 없다고 본다.


그러나 보겔도 가사노동이 자본 축적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과장하는 약점이 있다. 가사노동이 가치를 창출하지는 않지만 잉여가치 전유 과정에서 핵심적 구실을 한다고 보며, 가사노동이 자본주의 사회를 재생산하는 데서 임금노동과 유사한 수준으로 필수적이라고 본다.


보겔은 자본주의에서 노동력 재생산 과정 전체를 이론화하고자 마르크스의 필요노동 개념을 확대했는데, 이것은 마르크스의 개념에 혼란을 초래할 뿐, 별로 유용하지 않다. 보겔은 필요노동을 사회적 성분과 가내적 성분으로 나누고, 가사노동을 필요노동의 가내적 성분으로 규정했다. 이렇게 필요노동 개념을 확대한 이유는 노동력 재생산이 실제로 이뤄지려면 임금노동과 가사노동이 결합돼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필요노동 개념은 생산과정에서 노동자가 수행하는 노동시간을 두 부분으로 구별한 개념이다. 즉, 노동자의 하루 노동일 중 자신의 생계를 위해 노동한 시간(필요노동)과 자본가들에게 착취당하는 시간(잉여노동)을 구별한 것이다. 마르크스의 필요노동 개념은 사용가치를 생산하는 구체적 노동이 아니라 교환을 통해 비교되는 추상적 노동을 뜻한다.


따라서 무급 가사노동은 마르크스가 말한 의미의 필요노동이 될 수 없다. 2013년 개정판에서 보겔은 (그 이유를 자세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가사노동을 필요노동의 일부로 이론화한 것이 설득력이 부족함을 인정했다.


가사노동을 필요노동의 한 요소(가내적 요소)로 이론화할 경우 상이한 사회적 관계에 놓인 노동을 한데 묶어 임금노동과 가사노동의 차이가 흐려지게 될 수 있다. 그러면 자본 축적에서 임금노동 착취가 핵심이라는 점이 흐려진다.


자본주의에서 생산과 사사화된 노동력 재생산 단위(가족)는 상호작용하지만, 자본가들의 이윤을 위해서는 생산이 훨씬 더 중요하다. 자본주의의 역동성은 가족이 아니라 경쟁적 축적에서 비롯하고, 가족은 생산의 변화에 따라 계속 변화한다. 비록 자본주의 체제에서 가족의 경제적 · 이데올로기적 구실은 바뀌지 않았지만 가족의 규모와 형태는 자본주의의 물질적 생산이 바뀌면서 크게 변화해 왔고, 특히 여성의 임금노동 참여 증대는 결혼과 가족에 대한 대중의 태도 변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물론 보겔은 가족이 축적 논리에 종속돼 계속 변화한다고 보지만, 자본주의에서 여성의 구실을 대부분 재생산에 초점을 둬 설명한다. 선진 자본주의에서 여성의 임금노동 참가가 증대해 온 경향을 언급했지만, 오늘날 여성의 다수가 임금노동에 참가하고 생애주기에서도 갈수록 긴 시간 일한다는 사실, 즉 여성이 자본주의 생산에서 핵심적 구실을 한다는 점에 주목하지 않는다. 그보다 생산과 재생산 사이의 모순에 집중한다. 보겔도 가사노동 논쟁의 약점(무급 가사노동에만 초점을 둬 여성의 임금노동 참여를 경시)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참고 자료 2  >

" 여성 억압 - 상호교차성을 넘어 사회재생산으로 "
Susan Ferguson & David McNally  Interview


원문 출처:
https://viewpointmag.com/2015/10/31/social-reproduction-beyond-intersectionality-an-interview-with-sue-ferguson-and-david-mcnally/
번       역:  김민재

 
Q)) 사회재생산 개념 그 자체에 대한 이야기부터 해보겠습니다. 리즈 보겔이 1983년에 쓴 고전인 <마르크스주의와 여성 억압> 재출간에 맞추어 최근에 그 책에 쓰신 서문에서, 두 분은 보겔이 “노동력이 존재 가능하도록 하는 조건” 즉 노동력이 생물학적으로, 사회적으로 그리고 세대적으로 재생산되는 방식을 연구한 것이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에 대한 그의 고유한 기여라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이 중요한 논점에 근거해서, 임금노동의 존속과 생산 바깥에서의 계급 형성 과정을 위해 필수적인 활동·관계들의 내적 연관성을 규명하는 것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사회재생산이 어떻게 마르크스주의 계급 분석의 범주들을 변화시킨다고 생각하십니까? 이것의 이론적이고 정치적인 중요성은 무엇인가요?
 
A)) 가장 먼저, 범주 변화의 문제가 있습니다. 질문하면서 지적하셨듯이 사회재생산 접근은 우리가 노동력이라는 것을 이해하는 방식을 바꾸어 놓습니다. 기존 마르크스주의 분석에서 노동력은 그저 원래 존재하는 것으로 전제되었습니다. 자본주의 생산의 주어진 요소로요. 기껏해야 자연적이며, 생물학적으로 결정되어 있는 재생 과정의 산물로 이해되었습니다.
 
노동력을 사회화하는 것과 역사와 사회 및 문화 속에 노동력이 박혀 있음을 밝히는 데 있어서 사회재생산 페미니즘은, 먼저 노동력이 그저 원래 존재하는 것으로 전제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노동력은 오직 직접적인 노동/자본 관계를 넘어서 존재하는 특정한 일련의 젠더화되고 성애화된(sexualized) 사회적 관계 즉 이른바 사적 영역에서, 그리고 이 영역을 통한 재생산을 통해 자본의 입장에서 이용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임을 밝힙니다.
 
또한 사회재생산 페미니즘은 자본에 대한 노동력의 모순적 지위를 우리가 더욱 예리하게 이해하도록 해줍니다. 우리 자신의 사회적 재생산의 모든 측면들(우리가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생존하고자 하는 것)을 축적에 필수적인 것인 동시에 축적의 장애물로(왜냐하면 자본은 임금, 복지수당, 세금을 통해 그 비용을 간접적으로 지불하기 때문입니다) 파악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것들이 사회재생산 페미니즘 초기 세대들의 핵심적 통찰이었습니다. 하지만 보다 최근의 학문적 연구가 시사하는 것처럼 이 접근은 또한 노동력 그 자체가 더 복잡하고 차별화되는범주임을 드러냅니다. 사회재생산의 관계를 잘 살펴보면, 자본주의적 가치 추출이 그것을 점점 더 균일화시키려는 추진력으로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노동력이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이 명확해집니다.
 
특정한 노동자들은 강화된 억압에 대해 다른 이들과 비교하여 정말로 점점 더 취약해지고 있습니다. 자본축적의 법칙이 작동하는 방식이 달라서가 아니라, 작업장을 넘어선 억압적 관계가 노동력의 사회관계를 매개하며, 노동자들을 단지 자본의 문 앞으로 등 떠밀 뿐 아니라, 다양한 수준의 모멸과 비인간화를 보여주며 그렇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이는 말씀하신 두 번째 질문인 사회재생산 접근의 이론적 중요성으로 이어집니다. 한편에서 우리가 스스로를 재생산하기 위해서 하는 무급노동과 다른 편에서의 임금노동 사이의 상호관계를 설명함에 있어서, 사회재생산 페미니즘은 사회적 총체에 대해, 복합적으로 분화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일한 해석을 제시합니다.
 
이는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핵심적인 이론적 기여입니다. 이중체계 분석으로부터 상호교차성 분석으로 이행할 때, 급진적인 사회이론가들은 복잡하게 얽힌 경험적 세계의 상을 우리에게 설득력 있게 제시했죠. 몇 가지 예를 들자면 가부장적인, 인종화된, 백인 정착민의 식민주의적 관계를 떠받치는 중요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및 심리적 동학을 지적했습니다. 그리고 가장 훌륭한 상호교차성 설명은 그 어떤 특정한 억압적 관계도 다른 것과 분리될 수 없음을 제대로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그런 설명들은 예컨대, 왜 그리고 어떻게 이성애화된 관계들이 다른 방식이 아니라 이 방식으로 가부장적 관계들과 교차하는지에 대해(가족은 왜, 비록 시간이 지나면서 그 형식이, 예를 들어 동성 결혼을 포섭하기 위해 변화하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성애규범성과 가부장제가 항상은 아니지만 일상적으로 승인되는 사적 제도로 남아 있는지에 대해) 그 어떤 정합적인 설명도 발전시킨 바가 없습니다.
 
한 가지 이유는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이 사회적 총체, 즉 구체적인 사회적 관계들이 그 안에서 그리고 그것을 통해서 교차하는 전반적인 과정 혹은 동학을 부적절하게 개념화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동학은 아예 이론화되지 않거나, 아니면 그저 중립적이며 그 자체로는 권력관계가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전제됩니다. 물론 이는 서로 구별되는 억압들이 함께 구성요소가 된다고 주장함에도 불구하고 사실은 그런 억압들을, 공간 속에서 교차하거나 맞물리긴 하지만 존재로서는 구별되는 체계들로 취급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사회재생산 접근은 자본주의라는 총체성을 상정합니다. 자본주의라는 사회적 전체는 우선 첫 번째 단계에서, 노동자(스스로를 그리고 자신들의 세계를 재생산하기 위해 일하는 모든 사람들, 즉 사회 재생산자를 의미합니다)들을 생활수단(또는 사회재생산 수단)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정의됩니다. 이것이 자본주의 하에서의 있는 그대로의 실재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보았을 때 자본주의는 우리에게 가능한 것의 영역을 어느정도 틀 짓습니다. 당연히 노동/자본 관계 속에서 가능한 것을 틀 짓지만, 작업장 너머의 젠더화된, 인종화된, 이성애화된 관계들 역시 틀 짓습니다.
 
자본주의의 결정력을 말하는 것이 마르크스주의적 근본주의로 회귀하는 것처럼 들릴 수 있지만, 이 결정 개념에 기계적 인과는 하나도 없습니다. 이 관점에 따르면 가부장제와 인종주의는 직접적으로 자본의 필요에 기능한다고 전제되지 않습니다. 그것들은 자본이 생겨나라고 해서 생겨난 게 아닙니다. 오히려 축적에 대한 자본주의 체제의 불가피한 명령이 가능한 것의 범위를 한정 짓는다는 점에서 결정력이 있는 것입니다. 특정한 가능성들(예컨대 작업장에서의 여성 참여의 수준이나 임신중지에 대한 권리)은 투쟁을 통해 바뀌겠지만 말입니다.
 
이렇게 생각해 보았을 때, 우리가 우리 스스로를 사회적으로 재생산하는 바로 그 관계들 자체는 상당히 다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은 자신들의 필요에 가장 잘 부합하는 방식으로 이 관계들을 끊임없이 바꿀 수 있고 실제로 그렇게 하며, 이는 사실 노동력에 대한 자본주의의 필요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선택을 통해, 아이를 갖지 않는 등 을 포함하여 온갖 종류의 관계를 맺으며 삽니다.
 
남성, 여성, 그리고 트랜스젠더들은 집안일과 육아를 동등하게 분담할 수도 있습니다. 혹은 팔리지 않을 그림을 그리거나, 허공을 바라보거나, 거리에서 인종주의와 맞서 싸우면서 시간을 보낼 수도 있습니다. 이것들 중 자본주의에 기능적인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모두 자본을 위한 노동력 재생산보다 인간의 필요를 우선시하는 것들입니다.
 
하지만 특정한 형태의 억압 관계들이 노동력을 자본의 문으로 떠미는 일을 (저해하기보다) 용이하게 하는 한 인종주의, 성차별주의 및 다른 억압을 지탱하고 인간들 사이에 대안적 형태의 관계를 어렵게 만드는 강력한 힘(그것이 제도이든 국가, 시민사회, 자본의 실천이든)이 있을 것입니다.
 
그 결과 사람들이 작업장 너머에서 자신들의 삶을 통제할 수 있는 정도(예컨대 여성이 자신의 임금노동과 재생산노동, 몸의 조건들을 통제할 수 있는 정도 또는 인종적으로 낙인찍힌 사람들이 자신들의 공동체에서 주거, 육아, 식료품 분배를 통제할 수 있는 정도)는 자본주의 내에서는 제한되어 있습니다. 다른 말로 하면, 억압적인 실천과 제도들이 자본주의 하에서 저절로 없어지지 않는 이유가 있고, 자본주의가 살아남는 한 그것들이 계속 투쟁의 쟁점이 되는 이유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사회재생산 이론의 정치적 중요성이라는 마지막 질문으로 이어집니다. 우리는 자본주의의 재생산이 직접적 노동/자본 관계, “경제적” 교환과 운동 법칙 이상의 것을 요구한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사실 이는 서로 다르게 젠더화되고, 성애화되고, 인종화된 사람들에 의해 수행되는 혼란스럽고 복잡한 일련의 살아있는 관계에 핵심적으로 의존한다는 것을요. 만약 그렇다면 우리는 인종화되고, 성애화되고, 젠더화된 몸, 실천, 그리고 제도들이 중요하다는 사실 또한 깨달아야 합니다.
 
인종주의와 성차별은 자본주의의 “진짜” 혹은 “이상적인” 기능으로부터 어떤 식으로 분리될 수 있는 역사적 일탈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인종주의와 성차별은 자본의 강탈과 축적의 실제 과정에 있어서 필요불가결하며, 그 과정을 정말로 활동적으로 촉진한다는 의미에서 결정적인 요인입니다. 같은 논리로, 노동력의 사회적 재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종주의, 성차별 혹은 그 어떤 억압에 대한 도전이든 자본의 재생산을 방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운동”이나 비(非)작업장 투쟁이 계급투쟁인 것도 바로 이런 의미에서입니다. 즉, 그런 투쟁들은 그 자체로 본질상 잠재적으로 반자본주의적이라는 것입니다. 작업장 투쟁이 언제나 맹아적으로 반자본주의적인 것처럼 말입니다. 그리고 작업도구를 내려놓는 일이 자본가들의 가슴을 철렁하게 하듯이 인간의 삶에 대한 차등적인 멸시를 끝장낼 것을, 생계수단에 대한 온전한 공동의 접근권을, 우리 자신의 인간으로서의 몸에 대한 통제권을 요구하는 운동 역시 그럴 수 있습니다.
 
당연히 그 어떤 하나의 운동도, 하나의 작업장 투쟁도 그것만으로는 자본가들의 심장을 완전히 멈추게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매번의 파열음은 자본주의의 몸통 전체에 울려 퍼지고, 그럼으로써 그 심장박동을 잠재적으로 약화시킵니다. 그렇기에 사회재생산 접근의 정치적 중요성은 오로지, 명확한 반자본주의적 지향을 바탕으로 해서 여러 전선들에서 일어나는 투쟁의 중요성을 보여줄 수 있는 능력에 있습니다.
 
Q)) <Socialist Register>의 최근호에 실린 글에서 두 분은 특히 북미의 맥락에서 사회재생산과 이주노동 사이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셨습니다. 이민이나 이주의 문제는 유럽의 마르크스주의 학자들에 의해서는 광범위하게 다루어진 적이 있지만 미국, 캐나다, 멕시코에서는 포괄적 현대 마르크스주의 이론으로 이것을 정교하게 설명하기 위한 작업이 비교적 거의 없는 편입니다. 물론 예외는 있습니다만(Rosemary Hennessy의 최근 책이 떠오르네요) 대체로 이민자 권리 조직들의 정치가 마르크스주의나 사회주의의 언어로 명확히 설명되지 않고 있습니다. 두 분의 글이 이주와 인종화(racialization)를 계급과 젠더 분석에서 불가분한 것으로 조망하는 더 큰 프로젝트에 기여한다고 보시나요?
 
A)) 네, 그렇습니다. 마르크스주의 사회재생산 이론은 노동력 형성의 심장부에 있는 모순을 이끌어내고 분석하도록 우리를 도와줍니다. 결국 자본주의는 노동을 동질적이고 서로 교체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 버리려는 경향을 갖고 있습니다. 동시에 시장에서 그저 자본이 사가기를 기다리고 있는 노동력이라는 분리된 상품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대신, 마르크스의 적절한 표현을 빌리자면, 노동력의 “담지자”인 구체적 사람들이 있는 것입니다. 그 결과 추상노동을 할 능력은 구체적인 사람들에 묶여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은 실제의, 차별화된 장소와 공간에 존재합니다. 노동력이 실제 사회관계 속에서 생산되고 재생산되어야 하듯이, 이런 관계들 역시 구체적인 시공간 속에서 존속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체제의 또 하나의 경향이기도 한데, 자본의 공간은 인종과 제국의 지배 체제에 따라 분화되어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은 노동력의 살아 있는 “담지자”들에 대한 실제 태도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그 사람들이 인종적으로 멸시되고 있거나, 자본주의적 축적의 중심 구역에서 아웃사이더의 위치에 있다면 말입니다.
 
“노동(labor)”이라는 개념을 부동산이나 투자 상품들과 마찬가지로 그 자체의 시장을 가진 상품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 급진 정치경제학의 상당 부분에는 경제주의적 요소가 있습니다. 사회재생산 이론은 노동력의 담지자로서의 인간에 대한 마르크스의 통찰을 계속 밀고 감으로써, 그리고 그들의 생산과 재생산의 조건들에 대한 질문을 제기함으로써 그런 요소들 모두를 분명히 설명해 줍니다. 그리고 재생산의 구체적 장소들을 이론화하는 것은 가정과 지역사회 차원의 실천들(초기 사회재생산 이론의 핵심적인 통찰력입니다)뿐만 아니라, 국민국가들 내부 및 국민국가들 사이의 인종화된 사회적 위계질서 속에서 그런 가정들과 지역사회들의 사회지리적 위치를 주의 깊게 볼 것을 요구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이주 문제가 전면으로 나오게 됩니다. 결국 오늘날의 노동력은 자본주의적 생산과 축적의 중심 구역 바깥의 저임금 현장에서 대량으로 재생산되고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자본이 생산, 분배와 정보 네트워크를 세우기 위해 노동력이 저렴한 지역으로 이주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영농, 북구 부유층 가정에서의 육아, 또는 그곳의 건설, 식당 및 호텔 서비스 등 공간적으로 움직일 수 없는 작업의 경우에는 저렴한 노동력(과 그 인간 담지자들)이 그 작업이 직접 요구되는 장소로 이동되어져야만 합니다.
 
하지만 그 인간 담지자들이 일반적으로 절박하기 때문에, 그들은 온전한 법적, 정치적 권리 및 시민권의 제안 없이도 가고 싶어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갖는 차별적인 지위를 초래하고 강화된 불안정성, 멸시 및 억압이 거기 수반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물론 많은 논평가들이 임시직 노동자 체제와 그것이 수반하는 예속의 형태에 대해 풍부하게 기술한 바 있습니다. 이 작업의 상당 부분은 매우 가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마르크스주의 사회재생산 접근은 후기 자본주의에서의 이주노동의 역할과 여기에 관련된 계급 형성의 다차원성, 특히 젠더화되고 인종화된 차원을 더 완전하게 파악하는 방식으로 이주노동을 이론화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딱 하나만 사례를 들자면, 유급 고용의 장소로부터 가정 재생산의 장소가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생각해 보세요. 이를 적절하게 이론화하기 위해서 우리는 국경을 넘어가는 이주노동자들의 물리적 이동뿐만 아니라 그들의 임금의 상당한 액수가 (송금이라는 형태로) 역방향으로 흘러가는 것, 그리고 그러한 송금에 의존하고 있는 자본주의 핵심으로 이주 가능한 세계 산업예비군을 구성하게 될 아이들의 양육 및 교육 작업에 대해서도 주목해야 합니다.
 
사회재생산 분석은 그러한 사람들의 흐름과 임금의 흐름을, 그리고 공간적으로 국가적으로 분리된 임금노동의 실천과 사회재생산을 복합적이면서도 단일한 사회적 과정으로 연결할 역량을 갖고 있습니다. 이주는 그래서 흥미로운 부산물 정도가 아니라, 자본과 세계 노동계급의 재생산에 중심적인 것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방법은 인종화와 차별적인 지위를, 어떤 의미 있는 젠더 및 계급 분석과도 내적으로 연결합니다.
 
Q)) 수 퍼거슨 선생께서는 보다 광범위한 맥락, 구체적으로는 자본주의 권력관계 내에서 계급, 젠더, 인종의 관계적 성격을 개념적으로 통합하는 접근으로서의 캐나다 사회재생산 페미니즘의 출현과 중요성에 대한 글을 쓰셨습니다. 특히 <정치경제학 연구(Studies in Political Economy)> 같은 저널이나 <집 안에 숨겨진(Hidden in the Household)> 같은 영향력 있는 간행물 모음집에 실린 초기 이론가들의 작업부터 Stephen Gill, Isabella Bakker, David Camfield, Alan Sears 같은 보다 최근 이론가들과 Himani Bannerji 같은 비평가들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캐나다 사상계에서 사회재생산 분석이 계속 이렇게 두드러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호주의 Kate Davison이 작년 런던 역사유물론 컨퍼런스에서 말했듯이, 1970년대와 1980년대 캐나다에서 “사회재생산 그룹(party)”이 활동하고 있었다는 것은 분명 사실입니다. 왜 다른 곳이 아니라 여기였는지는 그저 짐작만 할 수 있을 뿐이지요. 우선 1970년대 초기에 영어권 캐나다에서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주류적 페미니즘이 되었다는 것은 확실히 중요한 것입니다(퀘벡에서는 노동조합과 좌파 민족주의 사회운동에 주요하게 뿌리를 둔 좌파적 페미니즘이 자리 잡았습니다).
 
Meg Luxton과 Heather Jon Maroney는 그렇게 된 두 가지 이유를 지적합니다. (1)사회민주주의의 강세(미국과 달리 캐나다에서는 1930년대부터 사회민주당이 정치적으로도, 선거에서도 의미 있는 존재감을 가져 왔습니다). (2) 보다 전통적 마르크스주의를 옹호하는 제도나 실천의 상대적 부족(공산당이 더 큰 존재감을 가졌던 영국이나 프랑스와 달리). 그들이 생각하기에는 이런 근원적 조건들이 사회주의적 사상이 진지하게 받아들여지는 지적, 정치적 문화를 만들어 내고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고 합니다.
 
공산당(CP)의 영향을 받는 마르크스주의와 스스로를 차별화한 단체의 회원으로서(데이비드는 1970년대 중반에, 수는 1980년대 초반에 국제사회주의 조직(International Socialists)에 가입했다) 우리는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을 둘러싼 많은 논쟁에 참여했습니다. 거기서 우리는 리즈 보겔의 책 <마르크스주의와 여성 억압>을 발견했습니다. 비록 우리 단체 회원들 사이에서 보겔의 텍스트에 대한 관심은 널리 공유되지 못했고 노골적으로 적대적 반응을 접하기도 했지만, 우리는 통합적인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적 접근을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옳은 것들로서 보겔의 지향을 계속 숙고했습니다.
 
그러나 그보다도 중요한 것은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영어권 캐나다와 퀘벡 모두에서 노조 내부에 대해 진짜 어느 정도의 견인력을 발전시킨 방식이었습니다. 1970년대에 걸친 간호사와 병원 노동자들의 파업이 그랬듯이, 소매업 및 은행 노동자들 사이의 노동조합 운동이 이 점에서 매우 중요했습니다.
 
우리가 활발하게 활동했던 온타리오에서는 1978년에 여성 비율이 현저히 높은 자동차 부품 노동자 파업이 좌파와 사람들을 결집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동시에 니켈 광업노동자들의 대규모 파업이 분출했는데, 여기서 “파업을 지지하는 아내들(Wives Supporting the Strike)”이라는 슬로건 하에 조직된 여성들이 핵심적인, 힘을 북돋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1980년대 초반 노조 조직률이 매우 높은 철강 산업에 여성이 고용되도록 하려는 캠페인으로 이어졌습니다.
 
이 모든 것은 페미니즘 쟁점이 노동조합과 공명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죠. 그리고 이는 젠더 억압과 계급 착취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강력하게 주장한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이 진짜 신뢰를 받도록 했습니다. 복합적인 다양성 속에 노동이나 계급 경험과 관련이 있는 페미니즘이 발전할 수 있는 사회적, 정치적 맥락이 제공된 것입니다.
 
물론 일부에서 포스트구조주의 담론에 기반을 둔 페미니즘이 부상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마르크스주의적 형태나 사회재생산 형태를 포함한 페미니즘적 정치경제학은 여전히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대학 내에서, 이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이론적 작업의 상당 부분은 1970년대 말에 처음 발간된 저널 <정치경제학 연구(Studies in Political Economy)>에 수록되었습니다.
 
페미니스트들(특히 Meg Luxton, Bonnie Fox, Wally Seccombe, 그리고 Pat and Hugh Armstrong)은 대부분의 정치경제학 프레임 속에 있는 남성적 편견을 들춰내기 시작했습니다. Margaret Benston의 선구적 작업에 의지하여, 이런 사회주의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은 가사노동 논쟁의 결점을 둘러싸고 길을 탐색했습니다.
 
비록 Himani Bannerji가 지적한 것처럼 그들은 너무 자주 구조주의적 접근에 얽매였고 인종화된 여성의 경험을 이론화하는 것을 부차화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물론적이고 단일한 언어로 젠더와 계급을 이론화하기 위해 분투했습니다. 모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이렌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을 때 사회재생산에 대한 지적인 관심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Q)) 캐나다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집단에서 이탈리아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사상의 영향은 어떤 것이었나요? 특히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와 실비아 페데리치는 이론적 프레임으로서의 사회재생산의 발전에 고유한 기여를 했습니다. 또한 그들의 작업은 미국에서는 꽤 영향력이 있었습니다. 이 전통과의 직접적인 연결이 조금이라도 있었나요?
 
A))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타는 우리가 알기로 영향력이 있어 왔던 유일한 이탈리아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입니다. 그녀의 작업에 의해 영감을 받아서 특히 토론토에서 “가사노동에 임금을”을 위한 소규모 공동체들이 몇 군데 형성되었지만, 비교적 주변적이었고 결코 노동조합에서 일하는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의 접근에 대한 진지한 대안을 구성하지는 못했습니다. 여성을 노동조합에 가입된 임금노동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가사노동자로서 여성을 조직하겠다는 생각보다 더 우세했습니다.
 
달라 코스타의 작업은 가사노동 논쟁의 일부로 여겨졌고, 그래서 건설적인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오늘날 실비아 페데리치의 저술이 매우 널리 읽히고 있습니다. 비록 여기서는 ‘가사노동에 임금을’ 흐름과 관련해서보다는 인클로저, 시초축적, 그리고 여성의 몸이라는 쟁점들에 대한 통찰력과 재고찰과 관련해서 더 많이 받아들여지고 있지만요.
 
Q)) 이제 마무리를 해야 할 것 같은데요. 우리는 이론적 분석이 항상 현장에서의 사회운동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최근에 그리고 오늘날에 두 분들로 하여금 사회재상산과 계급 형성을 연구하도록 자극한 투쟁의 현장은 어디였나요? 여기서 이야기해 주실 특정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A)) 우리의 경험 중 일부는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좌파들이 계급과 젠더를 통합하려고 실천적으로나 이론적으로 분투했던 복합적인 방식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 둘 다에게 특히 중요했던 것은 1980년대 중-후반 온타리오에서 있었던 임신 중지권 투쟁에 개입했던 것이었고요. 이 운동에 참여하면 자본주의 사회가 재생산에 대한 여성의 자유에 대해 얼마나 적대적인지 확연히 알게 됩니다.
 
그리고 이는 우리 둘 다 관심을 갖게 되었던, 온갖 종류의 흥미로운 이론적이고 전략적인 질문들을 제기합니다. 하지만 특히 1990년대 중반 이래로 우리가 조금 덜 교조적인 마르크스주의 환경에서 정치적으로 작업을 시작했을 때(특히 ‘New Socialist 네트워크’에서요), 우리는 계급과 젠더를 구성하는 차원으로서 인종과 인종화에 대해(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섹슈얼리티와 신체적 능력에 따른 차별에 대해) 훨씬 더 진지하게 연구할 필요성을 점점 더 많이 느끼게 되었습니다.
 
반인종주의 및 이주 정의(migrant justice) 운동에 대한 우리의 지지는 확실히 이 이야기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여러 개의 억압의 축들이 “상호교차” 한다고 이야기하는 것만으로는 만족하지 못했습니다.
 
상호교차성 이론이 중요한 질문들을 제기했고 중요한 통찰들을 해냈기는 하지만, 이 이론은 왜 이러한 여러 가지 억압들이 후기 자본주의(late capitalism)에 걸쳐 존재하고 재생산되는지를 설명하는 데, 그리고 그들의 상호작용 방식을 설명하는 데 갈피를 잡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사회재생산 이론은 총체적이면서도 통합된 접근을 하기 때문에, 우리가 생각하기에 이런 영역에서 잠재적으로 더 잘 갖춰져 있습니다.
 
하지만 초기 사회재생산 이론의 몇몇 중요한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反인종주의 그리고 反식민주의 이론 및 실천의 가장 훌륭한 부분에서 배우려는 많은 노력과 진정성 있는 헌신이 요구됩니다. 자본주의와 노동계급 형성이 어떻게 공간적으로 조직되는지 강조하면서 말입니다. 수잔은 몇몇 글에서 자본주의의 공간들이 어떻게 해서 항상 인종화되고 식민주의적인 지를 보여주며 이 과제를 수행해 왔습니다.
 
그리고 <Socialist Register> 최신호에 우리가 합동으로 기고한 글은 국민국가의 지평을 철저히 넘어섬으로써, 노동계급의 재생산을 이주가 중심적인 특징인 전지구적 현상으로 간주하며 분석을 더 심화시키려는 노력을 반영합니다. 우리는 지금이 이 분야에서 특히 더 흥미진진하고, 도전적인 역사유물론적 작업을 하기에 적합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진짜 사회적 투쟁의 살아 있는 맥박은 앞으로 수년 간 이 분야에서의 작업을 계속 추동할 것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참고자료 3 >


" 억압과 착취, 마르크스주의와 ‘상호교차성’ "


 작성: 샤니스 맥빈 (Shanice McBean)

 번역: 박상우

 원문출처: http://rs21.org.uk/2013/08/13/what-is-intersectionality/

 국문출처: http://www.anotherworld.kr/144



상호교차성이 이야기하는 세 가지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는 모든 형태의 억압에 맞서 싸워야 한다. 둘째,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한 사람의 경험은 다른 사람의 경험과 다르다. 왜냐하면 각자가 처한 억압과 착취의 물적 토대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는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익숙한 이야기이다. 그러나 상호교차성이 말하는 세 번째는 쉽게 잊혀지는 이야기이고, 내 생각에 억압에 대한 SWP(영국 사회주의 노동자당)의 이론이 이 부분에서 심각하게 취약하다.


이것은 바로, 한 형태의 억압이 다른 형태의 억압에 의해 규정되거나 또는 다른 형태의 억압을 규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종차별이 성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또는 여성억압이 인종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런 현상들에서는 서로 다른 억압들을 따로 떼어서 보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우리는 이미 모든 억압이 자본주의에 그 물적 토대를 두고 있다는 면에서 다 연결되어 있음을 알고 있다. 모든 착취와 억압이 서로 얽혀있다는 주장은, 최소한 모든 억압이 동일한 사회적 구조에 근간하고 있다는 상호교차성에 대한 인식이 미약하게나마 이미 [좌파의 생각 속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호교차성은 더 나아가서, 예를 들면 흑인 여성이 한 편으로는 성차별주의를 경험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성차별주의와는 별개인 인종차별주의를 경험한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현실에서, 흑인 여성이 겪는 성차별주의는 종종 그들의 피부색에 의해 규정되고, 그들이 겪는 인종주의는 그들의 성에 의해 규정된다. 


흑인 여성으로서 겪는 여성 억압은 백인 여성이 겪는 여성 억압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미묘한 차이가 있다. 마찬가지로, 지배계급 여성들이 겪는 억압이 노동 계급 여성들이 겪는 억압과 어떻게 다른지 이야기할 수 있다.


마르크스는 오늘날 존재하는 상호교차성 이론에 대해 알지 못했지만, ‘포이에르바하에 대한 테제’ 여섯 번째에서 비슷한 이야기를 한다. “그러나 인간적 본질은 어떤 개개인에 내재하는 추상이 아니다. 그것은 현실적으로 사회적 관계들의 총체이다.”




억압의 경험 차이는 중요하다


즉, 당신이 누구인가에 따라 억압에 대한 경험도 달라질 수 있다. 우리가 이미 아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면 대체 왜 상호교차성 이론이 유용한 기술적 도구(descriptive tool)인가? 우리는 한 예로 영국에서의 여성운동사를 볼 수 있다. 1971년 스케그니스 (Skegness)에서 열린 여성해방운동(Women’s Liberation Movement - WLM) 전국대회에서 출산권을 주요 골자로 하는 세 번째 요구안이 통과되었다. 특히 이 요구안은 낙태와 피임에 대한 여성들의 접근권을 요구했다.


물론 이 요구안은 흑인이건 백인이건 관계없이 모든 여성에게 혜택을 가져다 주었다. 특히, 그 때까지 불법적 낙태시술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었던 노동계급 여성들이 혜택을 보았다. 피임 역시, 원하지 않는 아이를 갖지 않을 수 있게 해주었고, 일하는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나는 출산권 요구가 불완전했다고 주장한다. WLM은 출산권에 대한 성차별적 제한이 어떻게 인종차별화되고 섹슈얼리티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 보지 못했다. 만일 알았더라면, 그들은 레즈비언 여성들의 아동입양권도 요구했을 것이며 미국의 유색인종 여성들과 연대해 강제불임시술 반대 요구도 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요구를 하지 못한 것은 부분적으로 운동 내부(특히 미국)에 존재하던 동성애 혐오와 인종차별주의라는 물적 조건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들의 불완전한 이론이 불완전한 실천을 낳은 것도 사실이다. 


WLM은 여성 억압이 특정한 여성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보지 못하였는데, 이는 그들이 무엇을 위해 싸우고, 누구와 관계를 맺고, 어떤 사람들을 운동으로 조직했는지를 보면 알 수 있다. 이 맹점이 결국 레즈비언들과 유색인종 여성들을 소외시켰고, 나는 이것이 후에 WLM이 분열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생각한다 (다른 요소들과 함께).


오늘날 SWP의 여성 해방 이론은 백인의 관점에서 나왔다고 보여질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여성문제에 관한 모임에서 우리는 자주 여성들이 엄마가 되지 않을 권리를 위해 싸워왔다는 이야기를 한다. 물론 이것은 사실이나, 인종과 관련해 미묘하지만 중요한 차이가 있다.


노예제 하에서, 미국의 흑인 여성들은 엄마가 아니라 노예번식의 수단으로 인식됐다. 마치 우리가 사육장에서 어린 동물을 엄마로부터 뺏는 것처럼, 노예 주인들이 아이들을 노예 엄마로부터 빼앗아서 다시 노예로 파는 일은 흔했다.


오늘날에도 흑인 모성을 인식할 때 이런 병적인 잔재가 남아있는 걸 볼 수 있다. 특히 미국에서, 흑인 여성들은 엄마가 되기에 부적합한 존재로 여겨지고, 통상적으로 출산을 하지 않도록 권유를 받는다. 유색인종 여성들이 불임시술의 가장 주된 피해자들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엄마로서 적합하다고 인식되기 위해서 싸워왔다. 오늘날 영국에서도 유사한 문제를 볼 수 있다. 무슬림 엄마들이 아이를 너무 많이 낳고, 복지를 축낸다며 어떤 비난을 받는지를 보자.


이것은 흑인 여성에게서 여성성과 모성이 완전히 배제되었다는 게 아니다. 예를 들면 노예제 폐지 직후에는, 흑인 여성들이 자주 백인 중산층의 아이들을 돌보는 가정부로 고용되었었다 (이것이 흑인유모라는 고정관념(“Mammy” stereotype)을 낳았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는 흑인 여성에게 영향을 끼친 성차별주의가 노예제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걸 볼 수 있다. 이는 흑인여성이 겪는 성차별주의는 인종차별화되었고 서양의 백인여성이 전형적으로 겪는 성차별주의와는 실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호교차성 이론은 파편화를 낳는가?


어떤 사람들은 상호교차성 이론이 파편화로 나아가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여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다음에는 흑인 여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다음에는 흑인이면서 동성애자이면서 장애를 가진 여성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식이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 어떻게 대답할 수 있을까?


일단 나는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억압 받는 흑인이자 동성애자인 장애인인 노동계급 여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뭐가 문제라는지 모르겠다. 그들이 처한 억압의 특수성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가능한 많은 사람들과 관련지으려고 하는 건 좋은 시도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경험의 특수성에 대한 관심이 분열과 분리주의로 이어지는가이다.


사실 오늘날  -  예를 들면 대학 캠퍼스에서 -  상호교차성 이론이 사용되는 방식은, 정확히 그 반대 방향으로 작동한다. 상호교차성은 연대에 대한 호소이다. 억압에 관심있는 모든 이들은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들의 억압에 존재하는 미묘한 차이들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파편화가 아니다. 연대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다.


그러나, 물론 상호교차성이 다른 개념, 예를 들면 억압받는 사람들 자신만이 곧 억압에 저항하는 가장 효과적인 조직자라는 개념과 결합하면 파편화를 낳을 수 있다. 여성들을 조직하던 것이 흑인 여성들만 따로 조직하는 것이 되고, 그 다음에는 동성애 흑인 여성만의 분파를 만드는 식으로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론적 명확성을 가져야 한다. 상호교차성과 억압당하는 사람들의 분리주의적 조직 사이에는 어떠한 내재적인 연관성도 없다. 그렇다고 주장하는 것은, 상호교차성이 주장하지 않는 입장들을 가지고 상호교차성 이론을 비난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마르크스주의 원리들을 스탈린주의와 결합시키려고 시도했다. 그렇다고 그 원리들이 내재적으로 스탈린주의적이지는 않지 않은가.


계급은 상호교차성에 어떻게 들어맞는가?


어떤 이들은 상호교차성이 계급을 단순히 억압의 여러 형태 중 하나로만 보기 때문에 노동 계급을 근본에 둔 마르크스주의와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나는 이것이 상호교차성이 사용되는 설명적 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우리는 상호교차성이 그 자체로 무엇[착취나 억압의 원인]을 설명하는 이론이 아니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상호교차성은 왜 억압이 존재하는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그것은 억압의 다양한 구조들이 혼재됨으로써 나오는 각자의 억압에 대한 미묘한 경험 차이를 설명하려는 것이고, 이 모든 것들이 우리 삶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만일 상호교차성과 함께 사용하는 설명적 틀이 계급을 억압으로 [동일하게] 취급한다면, 상호교차성 역시 계급을 또 하나의 억압으로 취급한다. 예를 들어, 특권 이론(previlege theory)의 틀 안에서 상호교차성을 사용한다면, 상호교차성 이론에 관한 비판을 많이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특권 이론에 대한 비판과 상호교차성 이론에 대한 비판을 혼동해서는 안된다. 특권이론의 틀 안에 상호교차성을 두고는, 특권이론이 끌어낸 결론으로 상호교차성 이론을 비난해서는 안 된다는 이야기이다. 만일 마르크스주의라는 틀 안에서 상호교차성을 이용한다면, 계급의 문제는 즉시 해결된다. 마르크스주의 틀 안에서 상호교차성은 다양한 사회 관계가 억압받고 착취받는 사람들의 삶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잘 묘사하는 연구가 될 수 있다.


오늘날 자본주의는 전지구적 경제 위기와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으로 특징지워진다. 계급 적대감이 주된 위치를 차지 하고, 더 많은 젊은 청년들이 상호교차성의 영향으로 계급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은 일보전진이다. 비록 그들이 계급 착취를 억압의 한 형태로 부르는 실수를 하더라도 말이다.


내 경험으로는, 대학 캠퍼스 내의 젊은 여성들 사이의 여성주의는 매우 상호교차적이다. 이 여성주의자들은 계급 정치에 상당히 개방적인데, 이는 WLM 시기의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는 상당히 낯선 것이다. 상호교차성은 계급 착취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억압과 착취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새로운 이론적 지형은 우리와 여성주의와의 관계에 대해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 여성주의는 더 이상 계급 정치에서 벗어나는 노선이 아니고, 많은 젊은이들이 계급 정치로 나아가게 하는 첫 걸음으로 작동한다.


경험의 정치?


나는 또한 상호교차성이 “경험의 정치”에 기반해서 개인의 경험을 물적 현실보다 우선에 두고 있고, 또 그렇기 때문에 거부되어야 한다고 들었다. 다시 한번 상호교차성은 경험들을 묘사할 뿐이지 설명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겠다. 마르크스주의자로서 우리가 노동자들의 경험으로부터 배워야 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그리고 그 경험을 역사 유물론적으로 설명하고, 그로부터 교훈을 일반화해서 실천에 옮겨야 한다.


상호교차성도 마찬가지다. 만일 우리가 흑인 레즈비언의 경험에서 출발한다고 하면, 그 경험을 마르크스주의적 방법을 사용해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마르크스주의가 흑인 레즈비언들에게 그들이 처한 특정한 억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해방을 위해 싸우도록 하는 해석과 수단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오늘날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상호교차성의 중요성


그래서 이것이 왜 중요한가? SWP 안에 대체 동성애자인 젊은 흑인 여성이 몇이나 되는가? 나는 나 한 명 밖에 모른다. 아마 별로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노동계급 안에는 많이 있다. 물론 우리는 억압받는 사람들을 투쟁으로 끌어 모은다. ‘전쟁저지 연합’(Stop the War)과 반 나치동맹을 통해 당에 흑인 멤버들이 유입되는 것을 보았다. 그러나 얼마나 남아 있는가? 내가 당의 한 지도적 동지로부터 듣기로는 별로 많이 남아있지 않다고 한다.


노동계급 성원들이 직면하고 있는 억압의 [구체적] 특수성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고, 우리가 어떻게 억압받는 사람들을 정말로 끌어들이고 계속 유지할 수 있겠는가? 성소수자 흑인 여성들로 가득찬 당을 세우는 것이 우리가 원하는 것이 아닌가? 토니 클리프가 말한 대로, ‘우리는 19세의 흑인 레즈비언들이 [혁명운동과 조직의] 리더로 부상하길’ 바란다.


이런 종류의 사업은 자동으로 되는 게 아니다. 느긋하게 앉아서 다음 번 투쟁의 고양기를 기다리는 것으로 되는 것도 아니다. 우리가 지금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생각하지 않으면, 투쟁의 고양기에 우리는 ‘모든 억압받는 이들의 호민관’으로 불릴만한 당을 만들어야 하는 우리의 역할을 망각하고 말 수도 있다. 우리가 억압받는 자들의 경험에 대해 알리고 이야기하는 혁명가들이 되어서, 그들의 투쟁을 혁명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이끌어야 한다.


여성 억압에 대해 말하지 않고서 여성을 조직으로 끌어올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 우리가 흑인 여성이나 성전환 여성들에 대해 별로 이야기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겠는가? 만일 그들이 SWP를 자신들을 위해 뭔가 해주는 조직으로 여기지 않는다면 그저 가만히 있을 것인가?


억압에 저항하는 정치 투쟁의 중요성은 아무리 말해도 지나치지 않다. 억압은 노동 계급을 분열시키고 우리를 약하게 만든다.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흑인이든 백인이든 여성이든 남성이든 성전환자이든 아니든, 동성애자이든 이성애자이든, 양성애자이든 모두 자본주의에 저항하는 싸움에 함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우리가 억압에 대항하는 최고의 투사들로 보여져야 한다.


만약 우리의 정치가 정말로 전세계 노동 계급을 향한 것이라면, 우리는 전세계 노동계급의 특수성과 미묘한 차이들에 대해서도 이야기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전세계 노동계급의 여성화와 인종화에 대해 그리고 이것이 국가가 승인하는 유색인종 여성에 대한 성적 학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우리는 무슨 이야기를 해야 할 것인가?


혁명가로서 우리는 어떤 쟁점이 영국에서 자본주의에 저항하는 대중 봉기를 일으킬 것인지 미리 알 수 없다. 그러나 역사는 종종 노동자들에게 힘과 활력을 주는 것이 억압을 둘러싼 문제들에 대한 운동이었음을 알려준다. 


조나스 리스턴 (Jonas Liston)이 블로그에 썼듯이, 1930년대 미국 공산당이 행한 반인종주의 작업들이 (흑백 노동자들) 공통의 경제 투쟁을 위해 흑인 노동자들과 백인노동자들을 같이 조직해야 할 때가 되었을때 조직에 엄청난 힘을 실어 주었다. 실천적으로 그들이 흑인들의 투쟁에 진지하다는 것을 이미 증명했다.


우리는 상호교차성이 점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리고 특정 억압 계층에 속한 사람들의 투쟁이, 특히 젊은 활동가들 중심으로,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특히 트랜스젠더 해방 운동에 대한 첫 논의들이 진행되고, 흑인 여성주의와 그들의 투쟁이 갈수록 현대 여성주의 안에서 가시화되고 있다는 강력한 조짐이 있다.


경제 위기 시기에, 유색인종 여성들은 다른 여성들에 비해 가장 심각한 어려움을 겪어 왔다. 성전환 여성들은 홈리스가 되거나 직장에서의 부당 해고, 성적 신체적 학대, 경찰의 부당함에 노출될 위험이 제일 크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좌파들이 이런 주제들에 대해 이야기하는가?

이러한 이유로 나는 설사 우리가 “상호교차성”이라는 용어를 마음에 들어하지 않더라도, 그 방법론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우리는 언제나 모든 종류의 억압에 대항해서 싸워야 한다. 


하지만 이를 위한 첫 번째 작업은,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특정한 사람들이 어떤 억압을 받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호교차의 방법론이 중요하다. 상호교차성은 모든 여성이 같은 방식으로 여성 억압을 경험하는 게 아니라는 걸 알려주고, 우리에게 그 미묘한 차이들을 논의할 수 있게 해주며, 그럼으로써 우리가 억압받는 사람들의 가장 광범위한 집단에 연관될 수 있게 해준다. 에이몬 맥칸(Eamonn McCann)이 2013 [영국의] 맑시즘 폐막식에서 [SWP의 성폭력 논란을 겨냥해서] 말했듯이, 사회주의자 조직은 억압받는 사람들의 경험과 진지하게 관계맺고 있을 때 그 사람들에 의해서 진지하게 받아들여 진다.


이것이 우리에게 어떤 실천적 의미인가?


이 논의에서 지금까지 가장 어려운 질문은 이것이 실천에서 우리에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것이다. 나는 이 질문에 답할 정도의 경험이나 지식은 없지만, 중요한 몇 가지 제안과 질문을 던지겠다. 일단 우리는 여성 억압에 대한 우리의 이론을 살펴보고, “여성”이 단일한 집단이 아니라는 상호교차성의 핵심 개념을 기억하면서 이론을 확장, 심화시켜야 한다. 그리고 우리의 출판물에서 억압의 구체성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해야 한다.


우리는 억압의 지역적 쟁점들을 가지고 더 많이 조직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인종차별적인 이민국 (UK Border Agency)이 런던에서 과도하게 활동 중인데, 이것에 관해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겠는가? 경찰의 무단 검문과 폭력에 대한 문제들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집회 시위의 자유 지키기 행동’ (Defend the Right to Protest)이 지역에서 이용될 수 있겠는가? 어떻게 하면 더 자주 억압 문제에 관한 정치 투쟁을 작업장으로 가져갈 수 있을까? 노동 조합을 억압의 문제에 관한 풀뿌리 투쟁들과 연결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더 할 수 있을까?


내 정치적 본능은 이러한 질문들에 답하는 것이 우리를 ‘억압받는 이들의 호민관’이라 불릴 수 있는 혁명 조직으로 만들어 줄 실천으로 이끌어줄 것이라 말한다. 흑인 여성과 성전환자들, 레즈비언, 장애인들  - 더 광범위한 노동 계급의 요소들  -  이 가득찬, 분열을 뚫고 모두가 나란히 혁명적 미래를 향해 싸우는 억압받는 이들의 호민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