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비전무예 호패술 - 협성문화재단 2017 NEW BOOK 프로젝트
도기현 지음 / 호밀밭 / 2017년 12월
평점 :
품절
‘조선의 비전무예 호패술’은 호패술의 간략한 역사와 방법을 기술한 소개서이다.
사실 호패술을 ‘조선의 비전무예’라 하기는 좀 어렵다. 그 기원이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들이 있는데, 전승자 대부분이 스승으로 스님을 꼽기 때문에 ‘불가 호신무기’가 아니냐고도 하고, 또 일부는 자신의 스승이 중국의 소림금강문 출신인데, 그곳의 병기 중 하나라며 중국무기술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런데도 이렇게 일컫는것은 중국과 무관하게 한국에 퍼진 기원설이 많고, 소림사 여러 곳에서 단태봉을 알아보는 사람이 없었으며, 또한 기존의 무기사전에도 유사한 무기를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비교적 한국의 무기술일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호패술은 그런 단태봉을 배우고 발전시켜 술기와 응용을 더해 정리한 무술로, 엄밀히말해 현대 무기술이라고 보는게 옳다. 이름인 ‘호패술’도, 짧막한 막대에 끈을 단 형태를 한 무기가 마치 ‘호패’와 같아서 붙인 것일 뿐, 실제 호패와의 연관성은 적다. 모양과 용도는 물론 재질도 크게 다르므로, 실제로 조선시대에 호패를 호신술에 이용했을지는 명확치 않다.
하지만, 이런 역사적인 문제를 떠나서, 단순히 무술로만 본 호패술은 꽤 흥미롭다. 무기가 단순하면서도 그 효과가 크고, 또한 막대를 쥐거나 끈을 잡고 휘두르는 등 사용하는데 있어서도 변화성이 있기 때문이다. 무기류가 금지된 현대에도 소지할 수 있고, 또한 휴대 역시 간편하다는 것 역시 장점으로 꼽을만 하다.
처음 호패술을 접했을 때는 일종의 곤봉술이 아닐까 생각했었는데, 활용성을 생각하면 그보다는 ‘곤’에 더 가까운 듯하다. 그 편이 리치와 파괴력 면에서 더 좋기 때문이다. 실제로 시연 영상 등을 찾아보면 ‘잡고치기’보다는 ‘풀어치기’를 더 주요하게 활용함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호패술이라는 무기술을 소개하는 책으로서는 나쁘지 않지만, 무기술 교본으로서는 썩 좋지 않다. 사진에 뼈대나 움직임, 방향 표시가 없어 알아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비록 시연 장면을 구분 동작으로 나눠 실어두긴 했지만 그것만으로는 제대로 알기 어렵다. 일부 사진은 알아보기 어렵게 되어있어 더 그렇다. 차라리 사진보다는 그림과 해설로 나타내는게 더 나았을 뻔 했다.
정말 호패술을 배워보고 싶다면 책으로는 무리다. 반드시 따로 진행하는 강의를 들어야 할 듯 싶다.
저자인 도기현은 결련택견을 계승하는 무술 연구가이기도 한데, 그래서인지 관련 영상에서는 택견과 섞인듯한 동작이나 기합도 어렵잖게 볼 수 있다. 택견을 한다면 그와 함께 쓸 수 있는 무기술로 더 좋아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