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말할걸 그랬어
소피 블래콜 지음, 최세희 옮김 / arte(아르테)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피 블래콜(Sophie Blackall)의 ‘그때 말할걸 그랬어(Missed Connections: Love, Lost & Found)’는 ‘놓친 인연’에 대한 이야기를 모으고 그것들을 그림을 재탄생시켜 엮은 책이다.

작가가 사람들이 사연을 올리는 사이트 ‘놓친 인연(Missed Connections)’에 대해서 알게 된것은 순전히 우연이었다. 하지만 그곳의 글들은 관심이 가고 좋았으며, 또한 일러스트레이터였던 작가에게는 좋은 소재이기도 했다. 그래서 그곳의 사연들을 그림으로 그리기로 한다.

그 그림들은 처음에 블로그에 올렸었는데, 사람들의 반응이 좋았고 비로소 작가는 ‘놓친 인연’의 사연들이 비단 자기 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먹히는 것임을 확신하게 된다. 그래서 이렇게 책으로 볼 수 있게 된것이다.

사람들의 이야기는 언제나 흥미를 끈다. 우리는 언제나 다른 사람에게 관심이 있고, 그들의 이야기 즉 ‘드라마’를 보고싶어한다. 이건 어떻게 보면 관음증이라고 할 수도 있고, 또 어떻게 보면 대리만족이라고 할 수도 있다. 거기에 작가는 하나 더, ‘시각미’를 더했다.



일러스트레이터인 작가의 그림은 굉장히 독특하다. 사연을 담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그대로 보여주거나 하지않고 완전히 재해석해서 새롭게 그렸다. 그래서 어뜻보면 ‘이게 뭐야’싶기도 하다. 화풍이 그간 자주 보던 것과는 달라 낯설기도 하고, 그림도 사연의 표현 중 일부를 부풀려 과장해서 그렸기 때문이다. 그림은 사연을 보고 떠올렸던 이미지와 달라 같은 감성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그림 자체는 그것대로 매력적이어서 나쁘지 않다.

다만, 책 구성에서는 조금 아쉬운 점이 있는데, 설명하지 않고 넘어가는게 있기 때문이다. “-M4W -26”과 같은 표기가 그렇다. 이런것은 해당 사이트를 사용하는 사람이 아니면 알아보기 어렵다. 미국 사람이 아니면 더 그렇다. 시작할 때 짧게라도 설명하고 넘어갔더라면 더 좋았을걸 그랬다.

그림이 사연과 딱 매칭이 안되는것도 좀 아쉽긴 하다. 사연 자체에 몰입이 잘 안되기 때문이다. 독특한 그림은 분명 그 자체로 매력적이긴 하지만, 사연과 함께여야 의미가 있다는걸 생각하면 사연을 나타내는 그림으로서는 조금 부족한 것 같다. 다만, 감성이란건 다분히 지역색이 있기 마련인지라, 그림이 문제가 아니라 단순히 내가 미국 사람이 아니라서 그런 걸지도 모른다 싶기도 하다.

한국 사람이 이런 사연 일러스트집을 만든다면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